목차
목차
1,『중국공연예술』 제4장을 참고하여 강창곡예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2500자 내외로 서술하시오. (35점)
1, 중국공연예술의 양식적 특성과 미학
2, 곡예의 개념과 구성요소
3, 강창곡예의 종류와 특징
2,『중국공연예술』 제8장을 참고하여 잡극의 형성과정과 특징, 대표작가와 작품을 2500자 설명하시오. (35점)
1, 잡극의 형성과정
2, 잡극의 작가와 작품
참고문헌
1,『중국공연예술』 제4장을 참고하여 강창곡예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2500자 내외로 서술하시오. (35점)
1, 중국공연예술의 양식적 특성과 미학
음악, 대사, 춤, 무대장치 등의 여러 요소들 가운데 중국 공연예술에서는 음악이 대체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1,『중국공연예술』 제4장을 참고하여 강창곡예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2500자 내외로 서술하시오. (35점)
1, 중국공연예술의 양식적 특성과 미학
2, 곡예의 개념과 구성요소
3, 강창곡예의 종류와 특징
2,『중국공연예술』 제8장을 참고하여 잡극의 형성과정과 특징, 대표작가와 작품을 2500자 설명하시오. (35점)
1, 잡극의 형성과정
2, 잡극의 작가와 작품
참고문헌
1,『중국공연예술』 제4장을 참고하여 강창곡예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2500자 내외로 서술하시오. (35점)
1, 중국공연예술의 양식적 특성과 미학
음악, 대사, 춤, 무대장치 등의 여러 요소들 가운데 중국 공연예술에서는 음악이 대체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본문내용
국의 대표적 전통극 형식인 원잡극과 비교해 볼 때, 남희는 곡이 완만하고 섬세하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남희는 투박하기는 하지만 노래, 대사, 동작 등의 표현수단으로 이야기를 연출한다는 중국의 전통극의 기본적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다.
4)명잡기
주원장(朱元璋)은 명조 집권 초기 문화 전권정치를 실시하고 희곡문화는 소강상태를 맞이하지만, 16세기 가정 연간에 이르러 남희가 전기로 변화하면서 새로운 발전의 전기를 맞이한다. 전기라는 극종은 청대까지 이어지므로 명·청전기라고 습관적으로 부른다. 명·청전기는 형식상 남희의 체제를 계승하였지만, 훨씬 우아하고 세련된 모습으로 변모한다. 극본 하나는 30척 정도로 구성되며, 상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음악은 남희와 원 잡극처럼 곡패연투체에 속한다. 그러나 전기는 1척이 하나의 궁조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곡패는 다소 내용의 필요에 따라서 결정된다. 등장하는 각색은 남희와 마찬가지로 노래 할 수 있다.
2, 잡극의 작가와 작품
1) 원나라
몽고족은 1234년 중국대륙의 북방을 점령하였고 1279년에는 중국 대륙 전체를 점령하였다. 몽고족 치하에서 한족 사회는 전통적 질서가 해체되고, 새로운 질서가 구축되었다. 이로 인해 문인文人계급의 지위가 추락하고 출세의 길이 막힌 문인이 잡극 창작에 참여하게 되었다. 원잡극의 시기 구분은 전기인 몽고시대(1234~1279)에는 관한경關漢卿파 (현실주의 경향, 생생한 구어체로 당시 사회현실을 충실히 반영)가 주도하였고 왕실보王實甫파(낭만주의 경향, 우아한 문체로 고전적 소재를 즐겨 다룸) 역시 쌍벽을 이루었다. 이 시기 작품 ‘대도명령’의 주요 줄거리는원대元代의 유명 배우 주렴수珠秀는 탈적脫籍하여 배우보다는 현모양처로 살기를 바라지만, 그녀의 오랜 동료이자 연인인 관한경關漢卿은 조정의 의원보다는 잡극雜劇작가와 배우로서의 삶을 자신의 천직이라고 여기며 극 창작에 매진한다. 조정의 장군인 빠투루巴圖魯는 잡극을 좋아하여 자주 행원行院에 들르면서 주렴수를 사랑하게 되고, 주렴수의 진심을 알고는 자신의 목숨을 걸고 주렴수의탈적 문서를 빼내준다. 그러나 주렴수는 관한경의 모습을 보며 자신의 삶은 무대 위에 있을 때 비로소 의미가 있음을 깨닫고는 탈적 문서를 찢어버리고, 배우로 남기로 결정한다. 무대 위에서는 화려하지만 무대 아래에서는 모욕적인 삶을 살았던 원대의 배우들, 하지만 그들은 결국 무대 위의 삶을 천명으로 받아들이고 예술혼으로 승화시킨다. 관한경의 《두아원竇娥寃》은 중국희곡 중 가장 비극적인 작품으로 가련하고 의로운 주인공 ‘1두아’를 통해 사회의 불의를 폭로하지만 결말은 상투적이다.
왕실보의 《서상기西廂記》는 당나라 원진元의 전기소설 앵앵전 을 개편한 것이고금나라 동해원의 제궁조 《서상기제궁조》는 원래 비극적 결말이 희극喜劇적으로 바뀌었다. 사랑에 빠진 청춘 남녀의 고뇌와 환희를 그렸으며 전통적 질서와 욕구 실현의 의지 사이의 타협과 조화를 주제로 한다. 청대 유행한 사심극寫心劇은 잡극 창작을 통하여 자아의 내면을 토로하는 작품으로 1) 등장인물의 입을 통하여 자아를 대변하고 2) 작가가 직접 극중에 들어가서 자신의 내면을 직접 토로한다. 잡극은 이제 더 이상 희곡(연극)이 아니라 개인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문체의 일종으로 변모하였다. 작가가 직접 극중에 들어가서 자신의 내면을 직접 토로하기에 이르는데 요연 《시주별집》의 《소비파 》에서는 다음 장면이 등장한다. (생이 등장한다.) …… 소생은 성은 요廖, 이름은 연燕, 별호는 시주柴舟이며, 소주 곡강 사람이올시다. 사람들은 모두 제 몸이 제비처럼 가볍고, 뼈는 장작처럼 말랐다고 합니다만, 부귀가 또 무엇이 어렵겠습니까! 말은 이렇게 하지만 입에만 달린 것, 가난하여 살아갈 길이 없습니다. 며칠째 쌀독이 바닥났으니 문장을 논한다고 요기가 되겠습니까? 술잔도 비었 으니 글자를 씹는다고 취하겠습니까? 빈곤의 시름 하루하루 심해지니 풍성한 해는 또 언제일까요? (축이 궁귀窮鬼로 분장하여 등장한다. 이리저리 다니며 우스개를 한다.) 보시오. 궁귀가 가장 쫓기 어려우니 웃다가 울다가 인정도 없고 감정도 없어. 전후좌우를 떠나지 않으니 주매신이 둘인가. (잡이 학마로 분장하여 등장한다. 이리저리 다니며 우스개를 한다.) 또 학질 귀신 붙기 쉬워. 추웠다 더웠다 갔다가 왔다가. 봄, 여름, 가을, 겨울, 분간도 못해. ……작가 요연이 주인공으로 바로 등장하여 자신의 신세를 풀어내는 것이다.
참고문헌
중국공연예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4)명잡기
주원장(朱元璋)은 명조 집권 초기 문화 전권정치를 실시하고 희곡문화는 소강상태를 맞이하지만, 16세기 가정 연간에 이르러 남희가 전기로 변화하면서 새로운 발전의 전기를 맞이한다. 전기라는 극종은 청대까지 이어지므로 명·청전기라고 습관적으로 부른다. 명·청전기는 형식상 남희의 체제를 계승하였지만, 훨씬 우아하고 세련된 모습으로 변모한다. 극본 하나는 30척 정도로 구성되며, 상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음악은 남희와 원 잡극처럼 곡패연투체에 속한다. 그러나 전기는 1척이 하나의 궁조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곡패는 다소 내용의 필요에 따라서 결정된다. 등장하는 각색은 남희와 마찬가지로 노래 할 수 있다.
2, 잡극의 작가와 작품
1) 원나라
몽고족은 1234년 중국대륙의 북방을 점령하였고 1279년에는 중국 대륙 전체를 점령하였다. 몽고족 치하에서 한족 사회는 전통적 질서가 해체되고, 새로운 질서가 구축되었다. 이로 인해 문인文人계급의 지위가 추락하고 출세의 길이 막힌 문인이 잡극 창작에 참여하게 되었다. 원잡극의 시기 구분은 전기인 몽고시대(1234~1279)에는 관한경關漢卿파 (현실주의 경향, 생생한 구어체로 당시 사회현실을 충실히 반영)가 주도하였고 왕실보王實甫파(낭만주의 경향, 우아한 문체로 고전적 소재를 즐겨 다룸) 역시 쌍벽을 이루었다. 이 시기 작품 ‘대도명령’의 주요 줄거리는원대元代의 유명 배우 주렴수珠秀는 탈적脫籍하여 배우보다는 현모양처로 살기를 바라지만, 그녀의 오랜 동료이자 연인인 관한경關漢卿은 조정의 의원보다는 잡극雜劇작가와 배우로서의 삶을 자신의 천직이라고 여기며 극 창작에 매진한다. 조정의 장군인 빠투루巴圖魯는 잡극을 좋아하여 자주 행원行院에 들르면서 주렴수를 사랑하게 되고, 주렴수의 진심을 알고는 자신의 목숨을 걸고 주렴수의탈적 문서를 빼내준다. 그러나 주렴수는 관한경의 모습을 보며 자신의 삶은 무대 위에 있을 때 비로소 의미가 있음을 깨닫고는 탈적 문서를 찢어버리고, 배우로 남기로 결정한다. 무대 위에서는 화려하지만 무대 아래에서는 모욕적인 삶을 살았던 원대의 배우들, 하지만 그들은 결국 무대 위의 삶을 천명으로 받아들이고 예술혼으로 승화시킨다. 관한경의 《두아원竇娥寃》은 중국희곡 중 가장 비극적인 작품으로 가련하고 의로운 주인공 ‘1두아’를 통해 사회의 불의를 폭로하지만 결말은 상투적이다.
왕실보의 《서상기西廂記》는 당나라 원진元의 전기소설 앵앵전 을 개편한 것이고금나라 동해원의 제궁조 《서상기제궁조》는 원래 비극적 결말이 희극喜劇적으로 바뀌었다. 사랑에 빠진 청춘 남녀의 고뇌와 환희를 그렸으며 전통적 질서와 욕구 실현의 의지 사이의 타협과 조화를 주제로 한다. 청대 유행한 사심극寫心劇은 잡극 창작을 통하여 자아의 내면을 토로하는 작품으로 1) 등장인물의 입을 통하여 자아를 대변하고 2) 작가가 직접 극중에 들어가서 자신의 내면을 직접 토로한다. 잡극은 이제 더 이상 희곡(연극)이 아니라 개인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문체의 일종으로 변모하였다. 작가가 직접 극중에 들어가서 자신의 내면을 직접 토로하기에 이르는데 요연 《시주별집》의 《소비파 》에서는 다음 장면이 등장한다. (생이 등장한다.) …… 소생은 성은 요廖, 이름은 연燕, 별호는 시주柴舟이며, 소주 곡강 사람이올시다. 사람들은 모두 제 몸이 제비처럼 가볍고, 뼈는 장작처럼 말랐다고 합니다만, 부귀가 또 무엇이 어렵겠습니까! 말은 이렇게 하지만 입에만 달린 것, 가난하여 살아갈 길이 없습니다. 며칠째 쌀독이 바닥났으니 문장을 논한다고 요기가 되겠습니까? 술잔도 비었 으니 글자를 씹는다고 취하겠습니까? 빈곤의 시름 하루하루 심해지니 풍성한 해는 또 언제일까요? (축이 궁귀窮鬼로 분장하여 등장한다. 이리저리 다니며 우스개를 한다.) 보시오. 궁귀가 가장 쫓기 어려우니 웃다가 울다가 인정도 없고 감정도 없어. 전후좌우를 떠나지 않으니 주매신이 둘인가. (잡이 학마로 분장하여 등장한다. 이리저리 다니며 우스개를 한다.) 또 학질 귀신 붙기 쉬워. 추웠다 더웠다 갔다가 왔다가. 봄, 여름, 가을, 겨울, 분간도 못해. ……작가 요연이 주인공으로 바로 등장하여 자신의 신세를 풀어내는 것이다.
참고문헌
중국공연예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추천자료
[중국공연예술 짝수형] (1) 6.4천안문사태 이후 대두한 제6세대 감독들이 만들어 낸 영화의 ...
[중국공연예술 A형] 교재 제14장과 제15장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20세기 초부터 21세기 초에 ...
[중국공연예술 B형] 교재 378-392쪽에 제목이 언급되어 있는 제6세대 감독의 영화 가운데 한 ...
[중국공연예술 B형] 교재 348-377쪽에 제목이 나와 있는 중국영화 가운데 한 편을 각자 선택...
[중국공연예술 B형] 교재 348-377쪽에 제목이 나와 있는 중국영화 가운데 한 편을 각자 선택...
중국공연예술 A형 20세기 초부터 21세기 초에 이르는 중국영화의 발달과정에 대해
중국공연예술 B형 패왕별희(覇王別姬) ※교재 348-377쪽에 제목이 나와 있는 중국영화 가운데...
(중국공연예술 A형) 지아장커 감독의 극영화 가운데 각자 한 편을 선택하여 감상한 뒤 교재의...
중국영화의발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