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방통대 중어중문학과 4학년 중국공연예술 B형] 교재 378-392쪽에 제목이 언급되어 있는 제6세대 감독의 영화 가운데 한 편을 각자 선택하여 감상한 뒤 교재의 내용을 참고하여 감상문을 쓰시오.
<목 차>
Ⅰ. 제 6세대 영화
1. 시대적 배경
2. 영화의 특성
3. 제 6세대 감독
Ⅱ. 지아장커 감독과 스틸라이프
1. 감독소개
2. 스틸라이프의 배경
Ⅲ. 지아장커 감독의 스틸라이프 영화 감상문
1. 스틸라이프 줄거리
2. 스틸라이프 감상문
1) 가난에 물든 사람들
2) 역사의 아픔과 삶의 애환을 품은 곳 - 산샤
3. 영화 스틸라이프의 특징
1) 창작자의 직관과 본능의 영화
2) 두루마리그림처럼 찍힌 공간과 인물들
3) 비범한 추상의 영화
<참고문헌>
<목 차>
Ⅰ. 제 6세대 영화
1. 시대적 배경
2. 영화의 특성
3. 제 6세대 감독
Ⅱ. 지아장커 감독과 스틸라이프
1. 감독소개
2. 스틸라이프의 배경
Ⅲ. 지아장커 감독의 스틸라이프 영화 감상문
1. 스틸라이프 줄거리
2. 스틸라이프 감상문
1) 가난에 물든 사람들
2) 역사의 아픔과 삶의 애환을 품은 곳 - 산샤
3. 영화 스틸라이프의 특징
1) 창작자의 직관과 본능의 영화
2) 두루마리그림처럼 찍힌 공간과 인물들
3) 비범한 추상의 영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직까지도 우리사회에서 보이는 모습이기도 하다. 며칠 전, 대운하 건설 작업 중 고된 노동으로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다는 뉴스를 본 적 있다. 대운하 건설을 위한 자연 파괴와 그 안에서 우리가 겪게 될 이별은 다른 누가 아닌 바로 우리 자신의 몫이 될 것이다. 언제까지 경제적 성장을 명목으로 중요한 것을 놓치고 앉아있을 것인지 반성해야 한다. 이는 경제적 득과 실의 여부와 비교될 수 없는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 영화<스틸라이프>는 중국 사회 뿐 아니라 우리에게도 메시지를 던진다.
3. 영화 스틸라이프의 특징
1) 창작자의 직관과 본능의 영화
지아장커는 다큐멘터리를 찍으러 간 곳에서 그 공간과 사람들로부터 강렬한 느낌을 받아, 3일 만에 시나리오를 쓰고 이 영화를 찍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니까 <스틸 라이프>는 면밀한 구상과 준비의 산물이 아니라 현장의 어떤 기운에서 비롯된 한 창작자의 직관과 본능이 거의 전부를 채워간 영화다. 믿기 힘든 일이다. 그는 시를 쓸 수 있었을 것이다. 혹은 그림을 그릴 수 있었을 것이다. 혹은 또 다른 다큐멘터리를 찍을 수 있었을 것이다. <스틸 라이프>는 그들을 합쳐놓은 것보다 더 깊고 넓다. 슬픈 다큐멘터리이며, 비범한 시이고, 참혹하고 아름다운 풍경화이자 인물화이며 무엇보다 위대한 영화인 <스틸 라이프>를 몇 마디로 말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다만 잊을 수 없는 몇 장면이 준 감흥의 윤곽을 말할 수 있을 뿐이다.
2) 두루마리그림처럼 찍힌 공간과 인물들
<스틸 라이프>를 한마디로 요약할 수 있다면 움직임에 관한 영화다. 시간이 개입한 3차원의 화폭 위에서 움직이거나 움직이지 않는 피사체가 때로 움직이고 때로 멈춘 카메라와 만나 빚어내는 긴장과 조화에 관한 영화이다. 종종 공간을 인물처럼 찍고 인물을 정물처럼 찍는 지아장커가 그들의 비밀 안으로 들어가는 방식은 그 움직임과 멈춤의 드러냄이다. <스틸 라이프>의 모든 장면들에서 피사체와 카메라의 움직임만 분석해도 방대한 논문이 나올 수 있을 정도이다. 그 움직임의 한가운데 회화에서와는 다른 의미로 살아난 정물들과 지아장커 스스로 두루마리그림(手卷畵)의 방식으로 부른 수평트래킹 숏이 있다.
3) 비범한 추상의 영화
<스틸 라이프>는 비범한 추상의 영화다. 순수 추상이 아니라, 사실적인 것과 우화적인 것과 판타지와 환각이 마치 입체파 회화처럼 한 시공간에 배열된 영화다. 남자 이야기가 진행되다 중간에 전혀 다른 톤의 여자 이야기가 끼어들어 완결된 뒤 다시 남자의 이야기의 진행되는 이상한 구성도 입체파적인 발상이다. 지아장커는 이 모든 것을 형식에 대한 자의식으로 드러내지 않고 노동자의 육체의 구체성 안에 새겨 넣었다. 더 빨라지고 더 기괴해지고 더 해독할 길이 없는 괴물 같은 세계를 단단하나 왜소한 노동자의 그을린 육체가 그것에 필사적으로 순응하며 낙오된 자들의 그림자를 짊어지고 느리게 걸어간다. 이 광경은 일찍이 본 적이 없었다.
<참고문헌>
조준현 (2009) 영화로 읽는 중국 역사와 경제, 오름
김미정 (2008) 영화로 보는 중국문화이야기, 신아사
리쩌허우, 김형종 옮김(2005) 중국현대사상사론, 한길사
이인호(2002) 中國 이것이 중국이다, 아이필드
이종희(2002) 중국영화의 어제 오늘 내일, 책세상
최환 (2005) 중국 영화의 이해와 감상, 영남대학교 출판부
오쿠무라 사토시 저(2004) 새롭게 쓴 중국 현대사: 전쟁과 사회주의의 변주곡, 소나무
조너선 스펜스 저, 김희교 역(2006) 현대중국을 찾아서2, 이산
장기철 저(2002) 지아장커, 중국 영화의 미래, 현실문화연구
허문영, 비범하고 위대한 추상의 영화, 영화평론가 씨네21 편집장, 2007
3. 영화 스틸라이프의 특징
1) 창작자의 직관과 본능의 영화
지아장커는 다큐멘터리를 찍으러 간 곳에서 그 공간과 사람들로부터 강렬한 느낌을 받아, 3일 만에 시나리오를 쓰고 이 영화를 찍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러니까 <스틸 라이프>는 면밀한 구상과 준비의 산물이 아니라 현장의 어떤 기운에서 비롯된 한 창작자의 직관과 본능이 거의 전부를 채워간 영화다. 믿기 힘든 일이다. 그는 시를 쓸 수 있었을 것이다. 혹은 그림을 그릴 수 있었을 것이다. 혹은 또 다른 다큐멘터리를 찍을 수 있었을 것이다. <스틸 라이프>는 그들을 합쳐놓은 것보다 더 깊고 넓다. 슬픈 다큐멘터리이며, 비범한 시이고, 참혹하고 아름다운 풍경화이자 인물화이며 무엇보다 위대한 영화인 <스틸 라이프>를 몇 마디로 말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다만 잊을 수 없는 몇 장면이 준 감흥의 윤곽을 말할 수 있을 뿐이다.
2) 두루마리그림처럼 찍힌 공간과 인물들
<스틸 라이프>를 한마디로 요약할 수 있다면 움직임에 관한 영화다. 시간이 개입한 3차원의 화폭 위에서 움직이거나 움직이지 않는 피사체가 때로 움직이고 때로 멈춘 카메라와 만나 빚어내는 긴장과 조화에 관한 영화이다. 종종 공간을 인물처럼 찍고 인물을 정물처럼 찍는 지아장커가 그들의 비밀 안으로 들어가는 방식은 그 움직임과 멈춤의 드러냄이다. <스틸 라이프>의 모든 장면들에서 피사체와 카메라의 움직임만 분석해도 방대한 논문이 나올 수 있을 정도이다. 그 움직임의 한가운데 회화에서와는 다른 의미로 살아난 정물들과 지아장커 스스로 두루마리그림(手卷畵)의 방식으로 부른 수평트래킹 숏이 있다.
3) 비범한 추상의 영화
<스틸 라이프>는 비범한 추상의 영화다. 순수 추상이 아니라, 사실적인 것과 우화적인 것과 판타지와 환각이 마치 입체파 회화처럼 한 시공간에 배열된 영화다. 남자 이야기가 진행되다 중간에 전혀 다른 톤의 여자 이야기가 끼어들어 완결된 뒤 다시 남자의 이야기의 진행되는 이상한 구성도 입체파적인 발상이다. 지아장커는 이 모든 것을 형식에 대한 자의식으로 드러내지 않고 노동자의 육체의 구체성 안에 새겨 넣었다. 더 빨라지고 더 기괴해지고 더 해독할 길이 없는 괴물 같은 세계를 단단하나 왜소한 노동자의 그을린 육체가 그것에 필사적으로 순응하며 낙오된 자들의 그림자를 짊어지고 느리게 걸어간다. 이 광경은 일찍이 본 적이 없었다.
<참고문헌>
조준현 (2009) 영화로 읽는 중국 역사와 경제, 오름
김미정 (2008) 영화로 보는 중국문화이야기, 신아사
리쩌허우, 김형종 옮김(2005) 중국현대사상사론, 한길사
이인호(2002) 中國 이것이 중국이다, 아이필드
이종희(2002) 중국영화의 어제 오늘 내일, 책세상
최환 (2005) 중국 영화의 이해와 감상, 영남대학교 출판부
오쿠무라 사토시 저(2004) 새롭게 쓴 중국 현대사: 전쟁과 사회주의의 변주곡, 소나무
조너선 스펜스 저, 김희교 역(2006) 현대중국을 찾아서2, 이산
장기철 저(2002) 지아장커, 중국 영화의 미래, 현실문화연구
허문영, 비범하고 위대한 추상의 영화, 영화평론가 씨네21 편집장, 2007
추천자료
나의 왼발을 보고 : 영화감상문, 줄거리 및 느낀점
영상예술의 이해 - 영화 ‘인셉션(Inception)’ 영화감상문 (줄거리 요약, 인물 묘사, 창의적 ...
영화 “엘리펀트 (Elephant) 2003”속 청소년의 품행장애 분석 - 영화 엘리펀트 줄거리와 등장...
[영화 속 장애] 일곱 살 지능의 스무 살 그녀 상은이의 성장 - 영화 ≪허브 (Herb)≫에 나타난 ...
[영화 속 언어장애] 영화 『허브 (Herb)』 - 영화 허브 줄거리, 영화 허브 정신장애, 영화 속...
[영화 가을 소나타에 대한 가족치료] 가을 소나타 (Autumn Sonata) 사례분석 - 영화 가을 소...
카드로만든집 사회복지관점 영화감상문(줄거리, 예비사회복지사로서 프로그램제안, 자폐아와...
[최신A+자료] :인턴영화감상문, 인턴 영화 분석, 영화인턴에대한평가및고찰, 영화인턴분...
[최신A+자료] : 사도영화감상문, 사도 역사적고찰및 분석, 영화사도에대한평가및역사적고찰...
최신A+자료 : 서칭포슈가맨영화감상문, 영화서칭포슈가맨에대한평가및비평, 영화서칭포슈가맨...
[최신A+자료]:집으로가는길영화감상문, 집으로가는길 영화 분석과 국가와국민에대한생각, ...
[최신A+자료] :연평해전영화감상문, 연평해전 영화 분석과 북한에대한생각, 영화연평해전에...
[영화 동주 감상문] 영화 동주 감상문 ; 영화 동주의 줄거리와 비평
<<너의 이름은 영화 감상문>>너의 이름은,을 보고,영화감상문,줄거리,독후감,해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