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bright처럼 abab의 각운을 보인다.
3. A Hymn to God the Father
-17세기 초반 형이상학파 종교시인인 존 던 (John Donne, 1572~1631)의 시로써 초기에는 Jack Donne이지만, 후기에는 Doctor Donne이 된다. 이 시는 1623년 중병을 앓던 시기에 쓴 hymn(찬가, 찬송가)으로써 각 연은 약강5보격 4행 + 약강4보격 1행 + 약강2보격 1행이고, 각운은 ababab의 구조를 갖는다. pun(동음이의어)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죽음 이후 구원의 소망을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특징이다.
4. The Waking
20세기 중반 미국시인인 Theodore Roethke(1908~63)의 시로써 시 초기에는 자연의 세밀한 묘사 치중하는데 반해, 후기에는 인간, 신, 죽음, 영원, 우주 등의 주제를 다룬다. 정신질환을 시적 충동으로 승화하여 표현한다. 필연적인 죽음(sleep)으로 가는 과정으로서의 삶에 대한 인식을 waking으로 표현하며 철학적인 물음과 묘사가 특징적이다. villanelle 시형(19행=3행구 5개 + 4행구 1개)이며 각운은 aba aba aba aba aba abaa 구조를 갖는다.
3. A Hymn to God the Father
-17세기 초반 형이상학파 종교시인인 존 던 (John Donne, 1572~1631)의 시로써 초기에는 Jack Donne이지만, 후기에는 Doctor Donne이 된다. 이 시는 1623년 중병을 앓던 시기에 쓴 hymn(찬가, 찬송가)으로써 각 연은 약강5보격 4행 + 약강4보격 1행 + 약강2보격 1행이고, 각운은 ababab의 구조를 갖는다. pun(동음이의어)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죽음 이후 구원의 소망을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특징이다.
4. The Waking
20세기 중반 미국시인인 Theodore Roethke(1908~63)의 시로써 시 초기에는 자연의 세밀한 묘사 치중하는데 반해, 후기에는 인간, 신, 죽음, 영원, 우주 등의 주제를 다룬다. 정신질환을 시적 충동으로 승화하여 표현한다. 필연적인 죽음(sleep)으로 가는 과정으로서의 삶에 대한 인식을 waking으로 표현하며 철학적인 물음과 묘사가 특징적이다. villanelle 시형(19행=3행구 5개 + 4행구 1개)이며 각운은 aba aba aba aba aba abaa 구조를 갖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