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survey3;
run;
proc print;
run;
proc format;
value f_age 1=\'20대\' 2=\'30대\' 3=\'40대\';
value f_gender 1=\'남\' 2=\'여\';
value f_residence 1=\'A지역\' 2=\'B지역\' 3=\'C지역\' 4=\'D지역\';
libname save \'C:\\Users\\223-9\\Desktop\\안녕\';
data save.ds;
set survey123;
q1m=mean(of q11-q14);
q2m=mean(of q21-q24);
q3m=mean(of q31-q34);
label q1m=\'학습지도\';
label q2m=\'학급경영\';
label q3m=\'업무수행\';
format gender f_gender. age f_age. residence f_residence. ;
title \'VBAR / DISCRETE TYPE options\';
proc gchart data=save.ds;
vbar age / discrete type=cpct;
run;
문제7.2
[예.7-1-1.sas]에서 생성한 영구 데이터셋 save.ds의 q2m 변수에 대하여 다음 수평막대도표가 출력되도록 sas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title \'HBAR / MIDPOINTS REF\';
proc gchart data=save.ds;
hbar q2m / midpoints=1 to 5 by 0.5 ref=10 20 30;
run;
문제7.3
[예.7-1-1.sas]에서 생성한 영구 데이터셋 save.ds의 residence 변수에 대하여 다음 수평막대도표가 출력되도록 sas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title \'HBAR / GROUP\';
proc gchart data=save.ds;
hbar residence / discrete group=age ref=5 10 15;
run;
문제7.4
[예.7-1-1.sas]에서 생성한 영구 데이터셋 save.ds의 q1m 변수에 대하여 수직막대도표가 residence의 값에 따라 따로 출력되도록 sas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title \'VBAR; BY\';
proc sort data=save.ds out=ex7_4;
by residence;
run;
proc gchart data=ex7_4;
vbar q1m / midpoints=1.6 to 3.6 by 0.4 ref=5 10 15 20;
by residence;
run;
문제7.5
[예.7-2-5.sas]에서 생성한 영구 데이터셋 ds7_2의 q2m 변수를 y-축에, id 변수를 x-축에
다음과 같이 위치하도록 산점도를 출력하는 sas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data ds7_2;
set save.ds;
if id>40 then delete;
title \'SYMBOL 문을 이용한 GPLOT\';
symbol1 v=circle i=needle c=red;
proc gplot data=ds7_2;
plot q2m*id=1;
run;
문제7.6
자유도가 각각 10과 15인 카이제곱분포의 확률밀도함수에 대한 그래프를 다음 그림과 같이 한 화면에 표시하는 sas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title \'Chi-square df=10, 15\';
data ex7_6;
do x=0 to 40 by 0.05;
y1=pdf(\'chisquare\',x,10);
y2=pdf(\'chisquare\',x,15);
output;
end;
run;
symbol1 v=point i=join c=red;
symbol2 v=point i=join c=blue;
proc gplot data=ex7_6;
plot y1*x=1 y2*x=2 / overlay haxis=0 to 40 by 5;
run;
run;
proc print;
run;
proc format;
value f_age 1=\'20대\' 2=\'30대\' 3=\'40대\';
value f_gender 1=\'남\' 2=\'여\';
value f_residence 1=\'A지역\' 2=\'B지역\' 3=\'C지역\' 4=\'D지역\';
libname save \'C:\\Users\\223-9\\Desktop\\안녕\';
data save.ds;
set survey123;
q1m=mean(of q11-q14);
q2m=mean(of q21-q24);
q3m=mean(of q31-q34);
label q1m=\'학습지도\';
label q2m=\'학급경영\';
label q3m=\'업무수행\';
format gender f_gender. age f_age. residence f_residence. ;
title \'VBAR / DISCRETE TYPE options\';
proc gchart data=save.ds;
vbar age / discrete type=cpct;
run;
문제7.2
[예.7-1-1.sas]에서 생성한 영구 데이터셋 save.ds의 q2m 변수에 대하여 다음 수평막대도표가 출력되도록 sas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title \'HBAR / MIDPOINTS REF\';
proc gchart data=save.ds;
hbar q2m / midpoints=1 to 5 by 0.5 ref=10 20 30;
run;
문제7.3
[예.7-1-1.sas]에서 생성한 영구 데이터셋 save.ds의 residence 변수에 대하여 다음 수평막대도표가 출력되도록 sas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title \'HBAR / GROUP\';
proc gchart data=save.ds;
hbar residence / discrete group=age ref=5 10 15;
run;
문제7.4
[예.7-1-1.sas]에서 생성한 영구 데이터셋 save.ds의 q1m 변수에 대하여 수직막대도표가 residence의 값에 따라 따로 출력되도록 sas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title \'VBAR; BY\';
proc sort data=save.ds out=ex7_4;
by residence;
run;
proc gchart data=ex7_4;
vbar q1m / midpoints=1.6 to 3.6 by 0.4 ref=5 10 15 20;
by residence;
run;
문제7.5
[예.7-2-5.sas]에서 생성한 영구 데이터셋 ds7_2의 q2m 변수를 y-축에, id 변수를 x-축에
다음과 같이 위치하도록 산점도를 출력하는 sas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data ds7_2;
set save.ds;
if id>40 then delete;
title \'SYMBOL 문을 이용한 GPLOT\';
symbol1 v=circle i=needle c=red;
proc gplot data=ds7_2;
plot q2m*id=1;
run;
문제7.6
자유도가 각각 10과 15인 카이제곱분포의 확률밀도함수에 대한 그래프를 다음 그림과 같이 한 화면에 표시하는 sas 프로그램을 작성하여라.
title \'Chi-square df=10, 15\';
data ex7_6;
do x=0 to 40 by 0.05;
y1=pdf(\'chisquare\',x,10);
y2=pdf(\'chisquare\',x,15);
output;
end;
run;
symbol1 v=point i=join c=red;
symbol2 v=point i=join c=blue;
proc gplot data=ex7_6;
plot y1*x=1 y2*x=2 / overlay haxis=0 to 40 by 5;
ru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