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S자료분석실습 8장 연습문제 풀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AS자료분석실습 8장 연습문제 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5.24
④기각역:=3.115
⑤결과해석 : 두 집단 간 분산의 등분산성 검정은 ‘Equality of Variances’에서 얻어진 F 통계량을 이용한다. F 통계량 값은 5.24이며, 이 값에 대응하는 유의확률이 0.0053으로서 유의수준 =0.05>유의확률=0.0053으로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집단이 등분산이라는 가정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4) ①가설 ,
②유의수준
③검정통계량=0.31
④기각역= ==2.10269
⑤결과해석 : 두 집단이 등분산이라는 가정을 만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Method가 Satterthwaite인 행을 참조하여 모평균 차이에 대한 가설검정을 수행한다. 이때 출력된 검정통계량 t값은 0.31(자유도 17.791)이며, 이에 대응하는 유의확률은 0.7611이다. 검정통계량=0.31<=2.10269로 기각역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유의수준 5%에서 기종1과 기종2의 두 집단 간 모평균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연습문제 8.7
data ex8_7;
input x @@;
cards;
1.02 1.00 0.98 1.04 0.99 1.01 1.02 0.99
;
run;
proc means data=ex8_7 clm alpha=0.1;
var x;
run;
->나사의 평균 지름에 대한 90% 신뢰구간은 [0.9928832,1.0196168]입니다.
data ex8_7;
input x @@;
cards;
1.02 1.00 0.98 1.04 0.99 1.01 1.02 0.99
;
run;
proc means data=ex8_7 clm alpha=0.05;
var x;
run;
->나사의 평균 지름에 대한 95% 신뢰구간은 [0.9895669,1.0229331]입니다.
연습문제 8.8
data ex8_8;
input x @@;
cards;
249 250 278 342 312 189 243 289 292 259
;
run;
proc univariate data=ex8_8 alpha=0.05 mu0=250;
var x;
run;
1.가설 ,
2.유의수준
3.검정통계량=1.517383
4.기각역
5.결과해석 : 검정통계량=1.517383<로 기각역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올해 대입수학능력고사 성적의 평균은 250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연습문제 8.9
data ex8_9;
input methodA methodB @@;
cards;
3.8 3.9 3.4 3.9 3.2 4.3 4.0 3.7 3.8 4.5 4.1 4.9 2.9 4.3 5.0 5.1
;
run;
proc ttest data=ex8_9 alpha=0.05;
paired methodA*methodB;
run;
1.가설 ,
2.유의수준
3.검정통계량=-2.75
4.기각역
5.결과해석 : >로 기각역에 속하기 때문에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운동방법에 대한 성취도의 모평균이 서로 같다고 할 수 없다. 또 대응 차의 평균값(-0.5500)이 음수이므로 methodB가 methodA보다 유의적으로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연습문제 8.10
data exe810;
p0=0.1; x=3; n=10;
p_hat=x/n;
z=(p_hat-p0)/sqrt(p0*(1-p0)/n);
p_value=(1-cdf(\'NORMAL\',Z));
label p0=\'검정비율\';
label p_hat=\'표본비율\';
label z=\'검정통계량\';
label p_value=\'유의확률(단측)\';
run;
proc print data=exe810 label;
run;
1.가설 ,
2.유의수준
3.검정통계량=2.10819
4.기각역:1.64
5.결과해석 : sas 프로그램 실행 결과로부터 검정통계량 값은 2.10819이며, 대응되는 유의확률이 0.017507로 유의수준 0.05보다 작으므로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이 기각된다. 이 도시의 어린이 중 간염에 대한 면역성을 가진 비율이 0.1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연습문제 8.11
data ex8_11;
x1=11; n1=50; p1=x1/n1;
x2=8; n2=50; p2=x2/n2;
p_hat=0.19;
z=(p1-p2)/sqrt(p_hat*(1-p_hat)*(1/n1+1/n2));
p_value=(1-cdf(\'NORMAL\',abs(Z)));
label p1=\'A약의 부작용 비율\';
label p2=\'B약의 부작용 비율\';
label p_hat=\'공통모비율\';
label z=\'검정통계량\';
label p_value=\'유의확률\';
run;
proc print data=ex8_11 label;
var p1 p2 p_hat z p_value;
run;
1.가설 ,
2.유의수준
3.검정통계량=0.76472
4.기각역 : 1.96
5.결과해석 : sas 프로그램 실행 결과의 유의확률은 0.22222로 유의수준=0.05 < 유의확률=0.22222로 기각역에 속하지 않으므로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따라서 약 A와 약 B의 부작용 비율은 같다고 할 수 있다.
data ex8_11;
p1=11; n1=50;
p2=8; n2=50;
p_hat=0.19;
z=(p1-p2)/sqrt(p_hat*(1-p_hat)*(1/n1+1/n2));
p_value=(1-cdf(\'NORMAL\',abs(Z)));
label p1=\'A약의 부작용 비율\';
label p2=\'B약의 부작용 비율\';
label p_hat=\'공통모비율\';
label z=\'검정통계량\';
label p_value=\'유의확률\';
run;
proc print data=ex8_11 label;
var p1 p2 p_hat z p_value;
run;
1.가설 ,
2.유의수준
3.검정통계량=38.2360
4.기각역 : 1.96
5.결과해석 : sas 프로그램 실행 결과의 유의확률은 0으로 유의수준=0.05 > 유의확률=0으로 기각역에 속하므로 유의수준 5%에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따라서 약 A와 약 B의 부작용 비율은 같다고 할 수 없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1.05.31
  • 저작시기202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0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