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 상처부위를 irrigation하고, 환아가 통증을 호소하며 울음을 터뜨리자, Lidocaine(Xylocaine)을 분무하여 환부를 마취를 시킴.
Lidocaine은 기본적으로 국소마취제라는 것과 수술실 실습때 이와 같은 환아의 열상시 Xylestesin-A를 점막 하에 주사하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이번 ER 실습을 하면서는 심실성 부정맥에 가장 많이 쓰인다고 배웠는데, 이렇게 분무하는 것을 보고 의문을 가졌다.
뿌리는 국소마취제 Lidocaine과 Xylestesin-A?
Lidocaine 투여방법
장점
단점
간호
경막외
전달
침윤
표면
200㎎
40∼200㎎
40∼200㎎
적당량
도포 또는
분무
경막외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표면마취, 심실성 부정맥에서 빠른 효과
지속시간이 길다
국소적 자극 효과가 없다.
출혈 또는 쇼크 상태의 환자, 주사 부위 또는 그 주위에 염증 환자, 패혈증 환자, 이 약 또는 기타의 Amide계 국소마취제에 과민증 환자 주의
방광경검사에 유용하며, 치과적 치료나 수술에 사용한다.
졸음, 호흡기 억압 등 부작용을 관찰해야 한다.
Xylestesin-A
용량 및 투여방법
투약 목적 및 효과
부작용
점막하 조직의 주사로 주사 비율을 15초 이내에 0.5ml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주로 치과 영역에서의 전달, 침윤마취시 사용된다.
Lidocaine과
Epinephrine이 포함된 침윤마취.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1~3분후 즉각적인 마취효과를 발휘하여 60분 동안 지속된다.
1. 혈압강화, 안면창백, 맥박이상, 호흡억제 등의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한다.
2. 졸림, 흥분, 현기, 구역, 구토 등의 증상
3. 두드러기 등의 피부증상, 부종 등
음독 환자 응급 간호
독성물질을 취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치료가 과연 위세척이었을까?
Thoracostomy시에도 Thoracic catheter는 28 Fr. 였는데, 위세척시 Gastric catheter도 28 Fr. ???
오염제거(Decontamination) : 보조적 처치(기도 유지, 호흡 보조, 정맥로 확보)를 시작한 후 중독물질의 제거로 치료 방향을 제거해야 한다. 중독물질의 제거는 체내로 흡수되는 중독 물질의 양을 줄여 독성을 최소화하는 과정으로 세 가지 단계가 있다.
1. 독소의 체내 유입을 줄인다.
2. 체내에 들어온 독소의 흡수를 줄인다.
대상자에게 시행한 위세척(gastric lavage) : 관을 위 속에 넣고 물이나 식염수로 위를 채우고 비우는 과정을 반복하여 먹은 중독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위세척이 먹은 후 1시간 이내에 시행하지 않으면 위로부터 중독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이득없이 폐흡인이나 식도, 위장관의 천공과 같은 합병증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매우 높은 독성을 가진 물질을 먹고 이것이 활성탄에 흡착되지 않거나 해독제가 없는 경우와 같은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더 이상 흔히 사용되는 중독물질의 제거법이 아니다.
독소의 흡수를 줄이기 위하여 가장 효과적이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을 사용하는 것이다. 활성탄은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중독물질을 쉽게 흡착하여 독소가 혈류로 흡수되는 것을 막는다.
3. 독소의 배설을 증가시킨다. 흔히 활성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소비톨(sorbitol)과 같은 설사제는 위의 운동성을 증가시켜 흡수되기 위해 장관 내에 독소가 머무르는 시간을 줄여준다.
※ Reference
BLEDSOE, PORTER, CHERRY / 역자 : 전국응급구조학과 교수협의회(2006년) / 내과응급 / 도서출판 한미의학
Lidocaine은 기본적으로 국소마취제라는 것과 수술실 실습때 이와 같은 환아의 열상시 Xylestesin-A를 점막 하에 주사하는 것을 보았다. 그리고 이번 ER 실습을 하면서는 심실성 부정맥에 가장 많이 쓰인다고 배웠는데, 이렇게 분무하는 것을 보고 의문을 가졌다.
뿌리는 국소마취제 Lidocaine과 Xylestesin-A?
Lidocaine 투여방법
장점
단점
간호
경막외
전달
침윤
표면
200㎎
40∼200㎎
40∼200㎎
적당량
도포 또는
분무
경막외마취, 전달마취, 침윤마취, 표면마취, 심실성 부정맥에서 빠른 효과
지속시간이 길다
국소적 자극 효과가 없다.
출혈 또는 쇼크 상태의 환자, 주사 부위 또는 그 주위에 염증 환자, 패혈증 환자, 이 약 또는 기타의 Amide계 국소마취제에 과민증 환자 주의
방광경검사에 유용하며, 치과적 치료나 수술에 사용한다.
졸음, 호흡기 억압 등 부작용을 관찰해야 한다.
Xylestesin-A
용량 및 투여방법
투약 목적 및 효과
부작용
점막하 조직의 주사로 주사 비율을 15초 이내에 0.5ml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주로 치과 영역에서의 전달, 침윤마취시 사용된다.
Lidocaine과
Epinephrine이 포함된 침윤마취.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1~3분후 즉각적인 마취효과를 발휘하여 60분 동안 지속된다.
1. 혈압강화, 안면창백, 맥박이상, 호흡억제 등의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한다.
2. 졸림, 흥분, 현기, 구역, 구토 등의 증상
3. 두드러기 등의 피부증상, 부종 등
음독 환자 응급 간호
독성물질을 취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치료가 과연 위세척이었을까?
Thoracostomy시에도 Thoracic catheter는 28 Fr. 였는데, 위세척시 Gastric catheter도 28 Fr. ???
오염제거(Decontamination) : 보조적 처치(기도 유지, 호흡 보조, 정맥로 확보)를 시작한 후 중독물질의 제거로 치료 방향을 제거해야 한다. 중독물질의 제거는 체내로 흡수되는 중독 물질의 양을 줄여 독성을 최소화하는 과정으로 세 가지 단계가 있다.
1. 독소의 체내 유입을 줄인다.
2. 체내에 들어온 독소의 흡수를 줄인다.
대상자에게 시행한 위세척(gastric lavage) : 관을 위 속에 넣고 물이나 식염수로 위를 채우고 비우는 과정을 반복하여 먹은 중독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위세척이 먹은 후 1시간 이내에 시행하지 않으면 위로부터 중독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리고 많은 이득없이 폐흡인이나 식도, 위장관의 천공과 같은 합병증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매우 높은 독성을 가진 물질을 먹고 이것이 활성탄에 흡착되지 않거나 해독제가 없는 경우와 같은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더 이상 흔히 사용되는 중독물질의 제거법이 아니다.
독소의 흡수를 줄이기 위하여 가장 효과적이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을 사용하는 것이다. 활성탄은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중독물질을 쉽게 흡착하여 독소가 혈류로 흡수되는 것을 막는다.
3. 독소의 배설을 증가시킨다. 흔히 활성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소비톨(sorbitol)과 같은 설사제는 위의 운동성을 증가시켜 흡수되기 위해 장관 내에 독소가 머무르는 시간을 줄여준다.
※ Reference
BLEDSOE, PORTER, CHERRY / 역자 : 전국응급구조학과 교수협의회(2006년) / 내과응급 / 도서출판 한미의학
추천자료
Ruptur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knee,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정형외과 ...
복부대동맥류( AAA : abdominal aortic aneurysm) 케이스
병원취업정보 (서울주요대학병원/대구경북권대학병원)
[정신간호] Case study(임상) - DSM-IV-TR, 감각지각장애(환청).ppt
폐렴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급성심근경색, MI A+받은 특급자료입니다!!!!!!!! - 급성 심근 경색 AMI : Acute Myocardial ...
CASE STUDY - Parkinsons disease(PD) - 파킨슨 케이스 스터디 A+
응급실 토혈 hematemesis case study
간호학과 과제 : 간호사정(nanda) ER 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