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와 종교(종교로 보는 직업)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본주의와 종교(종교로 보는 직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주제 선정 이유, 배경
Ⅱ. 본 론

1. 직업이란
루터의 직업개념
2. 직업의 분류
3. 루터의 직업이 종교개혁에 미친 영향
4. 직업의 중요성, 의의
5. 직업의 선택
6. 직업 활동의 본질과 의무
7. 노동의 이유
8. 성경에서 보는 직업(일, 노동)
Ⅲ. 결 론
마치며
Ⅳ. 참 고 자 료

본문내용

하여 이용가능하게 되지 않는 한 우리는 경제에 관하여 이야기조차 꺼낼 수 없다. 게다가 일은
단순히 삶에 필요한 것을 생산하기 위한 수단일 뿐 아니라, 집에의 접근수단이며, 집을 이루기 위한 수단이다. 공동체 혹은 사회가 일을 바라보는 방식은 그 안의 모든 사람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비록 근대 세계에 들어와 크게 세속화되었으나 하느님 개념들은 사회의 주된 일의 개념들의 근거가 되어 왔으며, 그것들의 원형이 되었다. 일은 인간이 서로를 지배하고 착취하는 가장 직접적인 방식이다. 그리고 일을 통하여 다른 사람들을 통제하는 자들은 일의 가치와 의미, 유인과 통제, 그리고 그 분배에 관하여 사회에서 가르치는 내용을 통제할 수 있다.
리처드 박스터는 믿음이 좋은 머슴을 고용할 것을 추천했다. 왜냐하면 그런 머슴은 “마치 하느님 당신이 그에게 그러게 하도록 요청한 듯이 하느님에 대한 복종 속에서 당신의 모든 일을 해줄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피터 안토니는 “최고관리자인 하느님의 약속은 가장 편리한 수단이다. 근대 경영 노력의 대부분은 노동자 자신의 정신 속에서 세속적인 그러나 똑같이 전능한 등치의 존재를 발견하는 일에 목표를 두어 왔다.” 이렇게 지적한다.
마치며
직업은 현실은 담지만, 종교는 이상을 소유해서 입니다. 그만큼 두 개념은 무의식 속에 따로 분리되어 인식되어왔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 신앙적 영향력은 직업의 높낮이와 비례하지 않는다. 누구나 사람은 직업으로 성취를 꿈꾼다. 그러나 직업을 두고 의무를 고민하지는 않는다. 대게 조건을 따지며 \'하고 싶은 일\'만 원하지, \'해야만 하는 일\'을 찾지는 않는다. 직업의 목적을 어디에 두느냐의 차이인 것 같다.
성경적 직업관.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으로부터 세계를 다스리고 책임질 의무를 부여받았으며, 따라서 직업은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섬김\'의 차원에서 창조적으로 자신의 은사를 발휘하는 것이어야 한다.
‘종교(기독교)와 직업’이라는 주제를 정하면서 엄청 많은 고민을 하였다. 종교와 직업하면 종교와 관련된 직업. 즉, 수녀, 승려, 목사 등등 이런 것들이 생각나서 이 주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어려웠다. 하지만 종교와 직업이 종교와 관련된 직업으로만 받아들여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포털사이트와 문헌을 찾아보면서 알게 되었다.
참고자료
1. 네이버 지식백과, 직업(베버: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01359&cid=41908&categoryId=41934
2. 위키백과, 직업
https://ko.wikipedia.org/wiki/%EC%A7%81%EC%97%85
3. Zum학습백과, 직업의 의미와 기능
http://study.zum.com/book/12188
4.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직업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4635&cid=40942&categoryId=31846
5. 위키백과, 게마인샤프트와 게젤샤프트
https://ko.wikipedia.org/wiki/%EA%B2%8C%EB%A7%88%EC%9D%B8%EC%83%A4%ED%94%84%ED%8A%B8%EC%99%80_%EA%B2%8C%EC%A0%A4%EC%83%A4%ED%94%84%ED%8A%B8
6. 하나님의 경제학(신론과 정치경제학), 한울, M.더글라스 믹스 지음, 164~167p
7. 그리스도인의 경제윤리, 지평서원, 리차드 스틸 지음, 13~20p, 31~49p, 229~235p
8. 현대인과 기독교 윤리, 종로서적, 윌리엄 바클레이 지음, 99~118p
9.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막스 베버지음, 59~70p, 73~122p
10. 직업과 종교, 베버, 직업(계층)과 종교에 대한 논의
http://m.egloos.zum.com/bhang813/v/1875616
11. ‘직업과 신앙의 하나됨’, ‘직업을 통한 선교’를 위하여
http://www.christiantoday.co.kr/articles/261521/20130224/%EC%A7%81%EC%97%85%EA%B3%BC-%EC%8B%A0%EC%95%99%EC%9D%98-%ED%95%98%EB%82%98%EB%90%A8-%EC%A7%81%EC%97%85%EC%9D%84-%ED%86%B5%ED%95%9C-%EC%84%A0%EA%B5%90-%EB%A5%BC-%EC%9C%84%ED%95%98%EC%97%AC.htm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06.07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0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