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 정보
2) 병력
3) 질병기술사례환자의 질병 조사 결과 기술
4) 신체검진
5) 기능사정
6)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7) 약물
8) 간호과정
2) 병력
3) 질병기술사례환자의 질병 조사 결과 기술
4) 신체검진
5) 기능사정
6)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7) 약물
8) 간호과정
본문내용
, 휠체어 등은 대상자의 거동을 지지하여 낙상의 위험을 낮추고 예방한다.)
3. 침상난간을 확인하고, 침상난간을 항상 올리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침상난간을 올리지 않고 대상자를 방치 시 낙상의 위험이 증가한다.)
4. 대상자 옆에 간병사가 항상 함께 상주하도록 하고, 대상자 이동시 간병사와 동행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대상자 옆에 간병사를 상주하도록 하여, 낙상을 예방한다.)
5. 대상자와 간병사에게 낙상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이동시 반드시 미끄럽지 않은 신발을 착용할 것.
-밤에는 야간 조명등을 켤컷.
-휠체어 사용시 잠금장치를 확인하고 이동할 것.
-필요시 응급호출기를 사용하도록 할 것.
(이론적 근거: 낙상 예방교육을 실시함으로 대상자가 낙상 고위험군임을 알고, 예방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6. 낙상을 예방하는 환경을 조성한다.
-주변을 정리정돈하도록 한다.
-병실바닥과 화장실 바닥에 물기가 없게 하고, 필요시 미끄럼 방지 판을 적용한다
-침대, 이동용 침대, 휠체어 등은 반드시 바퀴를 고정시킨 후 환자 이동을 한다.
-적절한 물품을 환자의 손이 닿는곳에 둔다.
-화장실과 침대 옆에 응급호출장치를 설치하고 사용법을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대상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낙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7. 대상자에게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인식 시키고, 간병사와 보행보조기구 없이 혼자 거동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대상자가 병식부족으로 인해 혼자 거동하여 낙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낙상 위험도를 사정하였고, 침상에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하고, 대상자에게 낙상위험군 팔찌를 부착하였음-by.RN
(Morse scale= 80점)
2. 대상자가 지팡이, 보행보조기, 휠체어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격려하였음 - by.RN, SN
3. 침상난간을 확인하고, 침상난간을 항상 올리도록 하였음. - by. RN, SN
4.대상자 옆에 간병사가 항상 함께 상주하도록 하고, 대상자 이동시 간병사와 동행하도록 하였음. - by.RN, SN
5. 대상자와 간병사에게 낙상 예방교육을 실시하였음. - by.RN, SN
6. 낙상을 예방하는 환경을 조성하였음. - by.RN, SN
7. 대상자에게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인식 시키고, 보호사와 보행보조기구 없이 혼자 거동하지 않도록 교육하였음. - by.RN, SN
평가
(Evaluation)
장기 목표 : 대상자는 5월 7일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음- 목표달성
단기 목표 : 1. 대상자에게 병식 인식하도록 교육하였으나, 받아들이지 못하며, 보조구 없이 돌아다니려는 양상을 보임
(목표 미달성)
2. 대상자와 간병인은 낙상예방을 위한 방법을 배움으로써 이를 2가지 이상 말하였다.(목표 달성)
3. 대상자와 간병인은 낙상 예방을 위한 방법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였다.(목표 달성)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자료)
S
x
O
-오른쪽 허벅지에 2x2cm의 수포 있음.
-붉고 삼출물 약간 있음(거즈에 뭍어나는 정도)
-피부가 얇고 약해져 있음
간호진단
(Nursing goals)
오른쪽 허벅지의 수포, 노화와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목표
장기목표 : 1.대상자는 감염증상이나, 상처부위 oozing양상을 보이지 않는다.
2.대상자는 피부조직이 점진적으로 개선되어 정상상태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 대상자의 상처를 매일 사정하고 무균적인 드레싱을 적용하여, 더 이상의 피부손상을 막는다.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Rational)
1. 대상자의 상처부위를 매일 사정하고, 피부통합성을 위협 할 수 있는 내·외적 위험요인을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상처부위 사정을 통하여 치유정도나 감염여부를 사정할 수 있다.)
2. 대상자의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이론적 근거: 세균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3. 대상자의 상처부위는 무균적으로 드레싱한다.
(이론적 근거: 세균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무균적으로 드레싱을 시행한다.)
4.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식단을 통해 단백질과 수분을 적절하게 섭취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 영양상태의 불량은 상처치유를 지연시킨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상처부위를 매일 사정하였으며, 피부통합성을 위협할 수 있는 내·외적 요인을 사정하였음 - by.RN
04/29
상처부위 oozing양상 없으며, simple dressing 적용 중
04/30
상처부위 oozing양상 없으며, simple dressing 적용 중
05/01
상처부위 oozing양상 없으며, simple dressing 적용 중
05/02
상처부위 oozing양상 없으며, simple dressing 적용 중
05/03
상처부위 oozing양상 없으며, simple dressing 적용 중
2. 대상자의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였음 - by.RN
3. 대상자의 상처부위를 무균적으로 드레싱 하였음 - by. RN
(드레싱 전문 간호사가 무균적으로 simple dressing 적용하는 것을 관찰함)
4. 대상자에게 단백질과 수분을 적절하게 섭취하도록 하였음- by.RN, SN
(대상자에게 나온 식단을 적절하게 섭취할 것을 권유하였으며, 대상자는 따라 섭취하는 모습을 보임)
평가
(Evaluation)
장기목표 : 1. 대상자는 감염증상이나, 상처부위 oozing양상을 보이지 않았음 (목표달성)
2. 대상자의 상처부위는 현재 점진적으로 개선중 이나, 아직 정상적인 조직으로 상처가 치유되지 않았음(부분달성)
단기목표 : 대상자의 상처를 매일 사정하고 무균적인 드레싱을 적용하였으며 더 이상의 피부손상은 보이지 않았다.(목표달성)
※ 참고문헌
차영남 외 4명.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2013).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2011).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송경애 외 4명. 기본간호학 상(2013). 수문사
송경애 외 4명. 기본간호학 하(2013). 수문사
대한민국 의학 정보센터(http://www.kimsonline.co.kr/)
KMLE 의학 검색 엔진 (http://www.kmle.co.kr)
3. 침상난간을 확인하고, 침상난간을 항상 올리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침상난간을 올리지 않고 대상자를 방치 시 낙상의 위험이 증가한다.)
4. 대상자 옆에 간병사가 항상 함께 상주하도록 하고, 대상자 이동시 간병사와 동행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대상자 옆에 간병사를 상주하도록 하여, 낙상을 예방한다.)
5. 대상자와 간병사에게 낙상 예방교육을 실시한다.
-이동시 반드시 미끄럽지 않은 신발을 착용할 것.
-밤에는 야간 조명등을 켤컷.
-휠체어 사용시 잠금장치를 확인하고 이동할 것.
-필요시 응급호출기를 사용하도록 할 것.
(이론적 근거: 낙상 예방교육을 실시함으로 대상자가 낙상 고위험군임을 알고, 예방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일 수 있다.)
6. 낙상을 예방하는 환경을 조성한다.
-주변을 정리정돈하도록 한다.
-병실바닥과 화장실 바닥에 물기가 없게 하고, 필요시 미끄럼 방지 판을 적용한다
-침대, 이동용 침대, 휠체어 등은 반드시 바퀴를 고정시킨 후 환자 이동을 한다.
-적절한 물품을 환자의 손이 닿는곳에 둔다.
-화장실과 침대 옆에 응급호출장치를 설치하고 사용법을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대상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낙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7. 대상자에게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인식 시키고, 간병사와 보행보조기구 없이 혼자 거동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이론적 근거: 대상자가 병식부족으로 인해 혼자 거동하여 낙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낙상 위험도를 사정하였고, 침상에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하고, 대상자에게 낙상위험군 팔찌를 부착하였음-by.RN
(Morse scale= 80점)
2. 대상자가 지팡이, 보행보조기, 휠체어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격려하였음 - by.RN, SN
3. 침상난간을 확인하고, 침상난간을 항상 올리도록 하였음. - by. RN, SN
4.대상자 옆에 간병사가 항상 함께 상주하도록 하고, 대상자 이동시 간병사와 동행하도록 하였음. - by.RN, SN
5. 대상자와 간병사에게 낙상 예방교육을 실시하였음. - by.RN, SN
6. 낙상을 예방하는 환경을 조성하였음. - by.RN, SN
7. 대상자에게 자신의 질병에 대해 인식 시키고, 보호사와 보행보조기구 없이 혼자 거동하지 않도록 교육하였음. - by.RN, SN
평가
(Evaluation)
장기 목표 : 대상자는 5월 7일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음- 목표달성
단기 목표 : 1. 대상자에게 병식 인식하도록 교육하였으나, 받아들이지 못하며, 보조구 없이 돌아다니려는 양상을 보임
(목표 미달성)
2. 대상자와 간병인은 낙상예방을 위한 방법을 배움으로써 이를 2가지 이상 말하였다.(목표 달성)
3. 대상자와 간병인은 낙상 예방을 위한 방법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였다.(목표 달성)
간호사정
(주관적/
객관적 자료)
S
x
O
-오른쪽 허벅지에 2x2cm의 수포 있음.
-붉고 삼출물 약간 있음(거즈에 뭍어나는 정도)
-피부가 얇고 약해져 있음
간호진단
(Nursing goals)
오른쪽 허벅지의 수포, 노화와 관련된 피부손상
간호목표
장기목표 : 1.대상자는 감염증상이나, 상처부위 oozing양상을 보이지 않는다.
2.대상자는 피부조직이 점진적으로 개선되어 정상상태를 유지한다.
단기목표 : 대상자의 상처를 매일 사정하고 무균적인 드레싱을 적용하여, 더 이상의 피부손상을 막는다.
간호계획
&
이론적 근거
(Rational)
1. 대상자의 상처부위를 매일 사정하고, 피부통합성을 위협 할 수 있는 내·외적 위험요인을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상처부위 사정을 통하여 치유정도나 감염여부를 사정할 수 있다.)
2. 대상자의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이론적 근거: 세균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3. 대상자의 상처부위는 무균적으로 드레싱한다.
(이론적 근거: 세균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무균적으로 드레싱을 시행한다.)
4.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식단을 통해 단백질과 수분을 적절하게 섭취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 영양상태의 불량은 상처치유를 지연시킨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상처부위를 매일 사정하였으며, 피부통합성을 위협할 수 있는 내·외적 요인을 사정하였음 - by.RN
04/29
상처부위 oozing양상 없으며, simple dressing 적용 중
04/30
상처부위 oozing양상 없으며, simple dressing 적용 중
05/01
상처부위 oozing양상 없으며, simple dressing 적용 중
05/02
상처부위 oozing양상 없으며, simple dressing 적용 중
05/03
상처부위 oozing양상 없으며, simple dressing 적용 중
2. 대상자의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하였음 - by.RN
3. 대상자의 상처부위를 무균적으로 드레싱 하였음 - by. RN
(드레싱 전문 간호사가 무균적으로 simple dressing 적용하는 것을 관찰함)
4. 대상자에게 단백질과 수분을 적절하게 섭취하도록 하였음- by.RN, SN
(대상자에게 나온 식단을 적절하게 섭취할 것을 권유하였으며, 대상자는 따라 섭취하는 모습을 보임)
평가
(Evaluation)
장기목표 : 1. 대상자는 감염증상이나, 상처부위 oozing양상을 보이지 않았음 (목표달성)
2. 대상자의 상처부위는 현재 점진적으로 개선중 이나, 아직 정상적인 조직으로 상처가 치유되지 않았음(부분달성)
단기목표 : 대상자의 상처를 매일 사정하고 무균적인 드레싱을 적용하였으며 더 이상의 피부손상은 보이지 않았다.(목표달성)
※ 참고문헌
차영남 외 4명.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2013). 현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2011).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송경애 외 4명. 기본간호학 상(2013). 수문사
송경애 외 4명. 기본간호학 하(2013). 수문사
대한민국 의학 정보센터(http://www.kimsonline.co.kr/)
KMLE 의학 검색 엔진 (http://www.kmle.co.kr)
추천자료
ICH케이스
ICH케이스
[간호학]ICH케이스(NSICU)
[성인간호학][길랭바레 증후군][Gillian-Barre syndrome]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
뇌출혈(뇌내출혈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대상자 CASE STUDY
[노인간호학 실습] 치매 dementi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간호학과)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케이스 입니다...
노인간호학 알츠하이머 치매 A+ 케이스자료 간호학과 실습 과제
노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뇌경색, 치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