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주제학습 [ 골격계질환 ]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 골격계질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골격계질환
1.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
2. AVN(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대퇴골두무혈성괴사)
3. 골절

Ⅱ. 수술명
1. TKRA(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전슬관절 성형술)
2. THRA(Total Hip Replacement Athroplasty 고관절인공관절 전치환술)

Ⅲ. 환자 간호
1. TKRA 환자 간호
2. THRA 환자 간호
3. 수술 후 통증관리

Ⅳ. 약물
1. 소염진통제
2. PCA 약물

Ⅴ. 기타
1. 근골격계 사정에 대한 기초 학습

Ⅵ. 근골격계 장애 환자의 진단
1. Arthroscopy(관절경검사)
2. 관절 천자
3. Bone scan
4. EMG(electromyography)
5. 골밀도 검사(Bone Densitometry)

본문내용

해서 관절액이 나오거나 또는 생리적 식염수를 압입해서 그다지 저항없이 들어가며 반대로 흡인하면 주사기내에 용이하게 역류해오는 것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각 관절에 제각기 특유한 천자점(穿刺點)이 있다. 어느 관절도 천자가 가능한데 무릎관절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많다.
3. Bone scan
정의
뼈 스캔은 골격계 질환에 대한 예민도와 높은 해상력의 핵의학 영상 검사이다. 뼈 스캔은 뼈의 신생형성이 활발한 부위에 섭취되는 방사성 의약품을 정맥주사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이 방사성 의약품이 전신의 골격에 섭취되는 것을 특수한 장비를 이용하여 영상화한다. 이러한 뼈의 신생형성은 암의 뼈 전이가 있거나 골절, 인대나 힘줄 손상에 의한 뼈 자극, 기타 대사성 질환에 의한 뼈의 무기질 대사 변화, 관절질환 등에서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뼈 스캔에서 높은 섭취 형태로 나타난다.
뼈 스캔은 뼈를 형성하는 뼈모세포(osteoblast)의 활동을 영상화하기 때문에 뼈 병변을 발견하는 데 단순 방사선 촬영보다 훨씬 예민하다. 단순 방사선 촬영이 30∼50%의 뼈 무기질량 변화가 있어야 뼈의 병변을 관찰할 수 있는 데 반하여, 뼈 스캔은 3∼5%의 뼈 무기질량 변화만 있어도 병변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뼈 스캔을 이용하면 조기에 병변을 발견할 수 있다.
검사방법
1) 핵의학과 진찰실에서 환자의 병력 및 검사 이유 등을 확인하는 문진이 이루어진다.
2) 방사성 의약품을 환자에게 정맥주사한다.
3) 전신 뼈에 방사성 의약품이 집적되기 위해 정맥주사 후 약 3~5시간 정도 기다린다. 기다리는 동안 외출이 가능하다.
4) 기다리는 동안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는 것이 좋다. 500ml 이상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된다.
5) 촬영이 예약된 시간에 해당 검사실 앞에서 대기하면 이름이 호명된다.
6) 촬영 직전 방광을 비우기 위해 소변을 본다.
7) 뼈 스캔(bone scan) 촬영은 전신 검사가 먼저 이루어지고 필요한 경우 관심 부위를 추가 촬영하게 된다.
4. EMG(electromyography)
정의
근전도기기(electromyograph)를 사용하여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를 확인하는 검사 방법이다. 다시 말해 신경 자극에 대한 근육의 반응을 근육 내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검사하는 것이다. 근육은 신경의 지배를 받고, 근육 자체에도 미세한 전류가 항상 흐르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바늘이나 전극 등으로 확인하여 근전도기기로 기록하면 말초신경에서 근육 자체에 이르기까지 근육이 제대로 활동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래서 말초신경 및 근육에 여러 문제가 생겼을 경우, 근전도 검사로 이를 정확히 검사할 수 있다. 검사 목적은 주로 근육 위축과 신경 장애와 같이 근육 약화를 초래하는 근육의 상태를 찾아내기 위한 것이다.
종류
1) 근육 내 근전도 검사(intramuscular electromyography)
바늘을 사용하여 근육을 찔러 근전도 검사를 하는 방법으로, 가장 정확한 근전도 검사 방법이다.
2) 표면 근전도 검사(surface electromyography)
피부에 전극을 붙여 근전도 검사를 하는 방법이다. 정확성은 떨어지나 불편함이 적고 활동적인 상태에서 검사할 수 있다.
3) 결과
검사 결과는 환자의 병력 청취, 신경학적 검진 결과, 신경전도검사 결과, 근전도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 내리게 된다. 근전도 검사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문제를 가진 부위가 어디인지 알아내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할 경우에는 근전도 검사를 다시 시행할 수도 있으며, 환자의 임상 상황에 맞추어 원인을 찾기 위한 추가적인 피검사, 영상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5. 골밀도 검사(Bone Densitometry)
검사 목적
인체 특정 부위의 뼈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골질환의 병적인 상태 및 합병증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하는 핵의학 검사이다. 골다공증, 골연화증과 같은 대부분의 대사성 골 질환 환자에서는 뼈의 양이 감소하게 되는데, 뼈의 양을 골밀도라고 하는 지표로 측정하고 이를 정상인의 골밀도와 비교하여 얼마나 뼈의 양이 감소되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 검사 목적이다.
검사 전 간호
① 환자에게 검사 목적을 설명한다.
② 골밀도실에서 검사하며 환자의 키와 몸무게가 중요한 정보가 된다.
③ 검사할 부위에 있는 모든 금속성 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④ 환자에게 금식은 필요하지 않다고 설명한다.
검사 절차
1. 검사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속옷을 제외한 모든 옷을 탈의하고 검사용 가운을 입은 상태
로 검사 테이블에 눕는다. 입원환자는 검사용 가운을 입을 필요없이 환의를 착용한 상태
로 검사를 시행한다.
2. 천장을 바라보는 자세로 똑바로 누운 자세를 유지한다.
3. 골밀도 측정기가 이동하면서 0.1mm 정도로 뼈의 단층 촬영으로 검사가 진행된다.
주로 골다공증 환자에서 골절이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요추와 대퇴골 2군데에 대하여
검사를 시행한다.
4. 촬영 시간은 5분정도이며, 방사선을 이용한 촬영이지만 방사선 노출 위험은 거의 없다.
5. 주로 뼈의 밀도와 칼슘의 농도를 측정하여 정상치와 비교하는데, 1분 이내에 결과를 판 독할 수 있다.
6. 검사 중 움직이지만 않는 것 이외에 특별한 유의사항은 없다.
골밀도 검사 진단 기준
골밀도 검사는 골다공증이 심한 정도를 숫자로 나타내어 준다. 이를 T-score라고 하는데 정상치를 0으로 하여 숫자가 양의 값으로 커질수록 골밀도가 높은 것이고 음의 값으로 커질수록 골밀도가 낮아 골다공증의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WHO에서 말하는 골다공증 진단 기준
정상 (Normal)
정상 성인 골밀도의 1.0 표준 편차 이내의 감소
(BMD>-1.0SD)
골감소증 (Osteopenia)
정상 성인 골밀도의 1.0-2.5 표준 편차 이내의 감소
(-1.0SD>BMD>-2.5SD)
골다공증 (Osteoporosis)
정상 성인 골밀도의 2.5 표준 편차 이하의 감소
(BMD<-2.5SD)
고도 다공증
(Severe Osteoporosis)
정상 성인 골밀도의 2.5 표준 편차 이하이면서
이미 골절이 있는 경우
(BMD<-2.5SD and Fracture)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1.06.09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1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