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TN)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TN)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정 양식(신생아실/신생아중환자실)
(1) 일상생활력
(2) 출생력
(3) 건강력
(4) 투약
(5) 검사 및 처치
(6) 신체사정
(7) 신생아 재태기간 사정

2. 간호진단 및 목표설정
(1) Nursing Problem List
(2) Cue Grouping

3. 간호과정표 작성하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6.17
6.18
6.19
6.20
RR
59
60
45
41
39
38
54
PR
128
123
119
146
165
146
135
BP
63/38
62/42
78/58
81/54
76/48
80/56
78/49
T
36.5℃
36.8℃
37.0℃
36.6℃
36.6℃
36.6℃
37.0℃
4.인큐베이터 안의 습도를 60%로 맞춰놓아 가습화된 산소를 제공함
5.매 수유 시 아이의 머리를 올린 후 청색증 증상을 관찰 하면서 수유함
6.14~6.20
과정
내용
날짜
간호사정
O :
-PLT 368▲(E9/L), Eosinophil count0.46▲ (E9/L),
Globulin1.8▼(g/dL)
-Procalcitonin(PCT) 2.87▲(ng/mL)
-조제유에 의존한 인공수유
-목욕을 자주 하지 않음
-r/o Hydronephrosis
-Rt IV injection
-둔부와 생식기 주위에 발적이 있음
6.14
간호진단
오랜 인큐베이터 생활과 높은 염증 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6.14
간호목표
-대상자의 Vital sign이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대상자의 IV site의 접착상태가 양호하고 발적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대상자의 생식기와 둔부에 발적이 나타나지 않는다.
-대상자의 제대가 건조하게 유지되고 감염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6.14
간호계획(이론적근거)
1.정맥주사 부위 감염여부를 수시로 관찰한다.
(IV는 침습적임으로 미생물이 몸속으로 쉽게 침투할 수 있다.)
2.환자 접촉과 관련하여 손위생을 철저하게 한다.
(손위생은 감염예방에 제일 효과적인 방법이다.)
3.직계 가족을 제외한 방문객을 제한한다.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부모를 제외한 방문객은 면회를 제한함)
4.환자 접촉 시 가운, 장갑을 착용한다.
(고위험 신생아는 외부의 접촉에 매우 취약하다.)
5.하루에 한번 씩 통목욕을 시행한다.
(목욕을 통해 몸에 있는 분비물을 제거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막는다.)
6.매일 Vital sign을 확인한다.
(활력징후의 이상은 감염의 증상을 알 수 있는 지표가 된다.)
7.기저귀 찼던 곳의 발적이 나타나는 부위를 주기적으로 관찰한다.
(기저귀의 배소변은 기저귀를 제때 갈아주지 않을 시 감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8.기저귀를 갈아줄 때 항상 제대가 보이게 기저귀를 배꼽 밑으로 채운다.
(제대가 습할 경우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6.14
간호평가
1.정맥주사 부위 감염여부를 매일 관찰함.날짜
6.14
6.15
6.16
6.17
6.18
삽입부위 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접착 상태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2.Vital sign을 측정함분류
날짜: 결과
6.14
6.15
6.16
6.17
6.18
6.19
6.20
RR
59
60
45
41
39
38
54
PR
128
123
119
146
165
146
135
BP
63/38
62/42
78/58
81/54
76/48
80/56
78/49
T
36.5℃
36.8℃
37.0℃
36.6℃
36.6℃
36.6℃
37.0℃
3.기저귀 찬 부위에 조금 발적이 있을시 예방 차원에서 Zinc-oxide 바름
4.기저귀를 갈아줄 때 항상 제대가 보이게 기저귀를 배꼽 밑으로 채워줌
6.20
과정
내용
날짜
간호사정
O :
-낙상 고위험 집단인 65세 이상, 6세 미만의 집단에 포함됨
-목욕이나 간호 처치 시 인큐베이터에서 나오는 과정에서 낙상 가능성
6.14
간호진단
6세미만의 어린이로 입증되는 낙상 고위험 집단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6.14
간호목표
-간호 수행 시 낙상예방 방법을 숙지하고 이행한다.
-대상자는 입원 기간 동안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6.14
간호계획(이론적근거)
1.omnibed나 incubator의 바퀴가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바퀴가 고정되어있지 않으면 incubator가 흔들릴 수 있다)
2.처치 시 반대쪽 Side rail을 항상 올려둔다.
(Side rail을 하지 않은 쪽으로 환아가 낙상할 수 있다.)
3.환아 이동시 Crib을 이용하고 반드시 수평을 유지한다.
(안아서 이동할 시 아이가 낙상할 확률이 크며 Crib이 경사가 있는 상태에서 이동시 Crib이 떨어지는 경우가 생긴다.)
4.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한다.
(65세 이상, 6세 미만의 집단은 낙상고위험 집단임으로 환자의 자리에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한다.)
6.14~6.21
간호평가
1.입원 기간 동안 간호 처치 전 후 omnibed나 incubator의 바퀴가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함
2.처치 시 반대쪽 Side rail을 항상 올려둔다.
3.검사나 목욕을 위해 환아 이동시 Crib을 이용하며 수평을 유지함.
4.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함.
6.21
과정
내용
날짜
간호사정
-출산 직후 모체와 떨어져 NICU에 입원함
-가족들의 드문 면회 횟수
-모유수유가 아닌 조제유를 이용한 수유
-아이의 오랜 인큐베이터 생활
-부모에게 있어서 두 번째 자녀
6.14~6.20
간호진단
모아분리와 관련된 애착장애 위험성
6.20
간호목표
-환아의 부모가 캥거루케어와 모유수유의 장점을 알고 말로 설명할 수 있음
-부모가 자발적으로 매일 한번 씩 면회를 신청하며 캥거루 케어와 모유수유를 시행함
6.20
간호계획(이론적근거)
1.캥거루 케어의 장점을 교육함
(엄마의 가슴에 아기의 가슴을 대고 등을 쓰다듬는 ‘캥거루 간호법’은 엄마와 아기의 애착관계 형성에도 도움이 되고 아기의 호흡을 안정시키는 데도 큰 도움이 된다.)
2.모유수유를 격려함
(모유를 먹이면 아기에게 정신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어 애착이 더 잘생기고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평안한 아이로 자랄 수 있다. 엄마에게는 자식에 대한 사랑과 육아에 대한 자신감을 더할 수 있다.)
3.면회를 격려함.
(잦은 면회가 아이와 부모의 애착형성에 도움이 된다.)
6.20
간호평가
-환아의 부모가 캥거루 케어와 모유수유의 방법과 장점을 교육함.
6.21
4. 참고문헌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홍경자)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홍경자)
-Drug Info (https://www.druginfo.co.kr)
  • 가격2,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21.06.09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