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눈먼생쥐 조각상
① 4개 역할들에 대해 각각 네 가지를 탐색
② 눈먼 생쥐 조각상 체험을 하고 느낀 점
③눈먼 생쥐 체험을 하고 평소 자신의 대인관계 모습을 되돌아보며 느낀 점
④놀이치료사는 아동의 심리를 만나고, 아동의 삶을 만나 그 마음을 대하고 치료해 나가는 사람으로 놀이치료사로서 아동을 만날 때 주의할 점
2)둘이함께
①상대의 태도와 나의 태도를 경험하면서 들었던 느낌 정리
②본인 스타일과 태도, 동기, 기대, 욕구, 불안, 상상, 좌절, 기쁨, 주변에 대한 감각 인식은?
③ 본인 스타일과 태도, 동기, 기대, 욕구, 불안, 상상, 좌절, 기쁨, 주변에 대한 감각 인식을 생각해볼 때 놀이치료자로서의 자신의 스타일은 어떨지 무엇을 주의하고 생각해야 하는가?
④경험을 통해 알게 된 아동 중심 놀이 치료에서의 치료적 관계의 생각과 느낀 점
3.결론
4.참고문헌
2.본론
1)눈먼생쥐 조각상
① 4개 역할들에 대해 각각 네 가지를 탐색
② 눈먼 생쥐 조각상 체험을 하고 느낀 점
③눈먼 생쥐 체험을 하고 평소 자신의 대인관계 모습을 되돌아보며 느낀 점
④놀이치료사는 아동의 심리를 만나고, 아동의 삶을 만나 그 마음을 대하고 치료해 나가는 사람으로 놀이치료사로서 아동을 만날 때 주의할 점
2)둘이함께
①상대의 태도와 나의 태도를 경험하면서 들었던 느낌 정리
②본인 스타일과 태도, 동기, 기대, 욕구, 불안, 상상, 좌절, 기쁨, 주변에 대한 감각 인식은?
③ 본인 스타일과 태도, 동기, 기대, 욕구, 불안, 상상, 좌절, 기쁨, 주변에 대한 감각 인식을 생각해볼 때 놀이치료자로서의 자신의 스타일은 어떨지 무엇을 주의하고 생각해야 하는가?
④경험을 통해 알게 된 아동 중심 놀이 치료에서의 치료적 관계의 생각과 느낀 점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한 태도로 나를 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내가 상대방에게 기대하던 반응보다 미미하다고 생각하면 실망을 했거나 아쉬움을 느꼈다. 같이 함께 하는 것인데 나는 나만을 위한 생각을 했고 상대도 나만을 위한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적절하게 나도 상대를 배려할 수 있는 태도를 갖춰야 치료자로서 좋은 결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했다.
②본인 스타일과 태도, 동기, 기대, 욕구, 불안, 상상, 좌절, 기쁨, 주변에 대한 감각 인식은?
내가 주변에 대한 상황을 직접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는 수동적인 태도로 상대방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불안이나 좌절감을 느끼게 되는 것 같다. 스스로가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어려움을 헤쳐나가려는 의지가 낮고 부정적인 상상만 하여 결국 태도 자체가 적극적이지 못하다는 생각을 했다. 내가 상대방이 없어도 뭔가 해냈을 때의 기쁨보다는 혼자 어려움 속에서 느끼는 두려움에 대한 감정이 나를 쉽게 사로잡는다고 느꼈다.
③ 본인 스타일과 태도, 동기, 기대, 욕구, 불안, 상상, 좌절, 기쁨, 주변에 대한 감각 인식을 생각해볼 때 놀이치료자로서의 자신의 스타일은 어떨지 무엇을 주의하고 생각해야 하는가?
놀이치료자로서 나는 불만이나 불안, 좌절감을 벗어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더 큰 의의를 두는 것으로 느껴졌다. 놀이 치료가 아동의 불안감이나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단순히 그런 문제 행동에서 벗어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동기부여 그리고 그 속에서 기쁨을 얻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너무 치료자에게 의지하려는 자세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 내 스타일에서 부족한 부분은 채워내고 적절한 관계를 통해 올바른 놀이치료자의 역할을 해내야 한다.
④경험을 통해 알게 된 아동 중심 놀이 치료에서의 치료적 관계의 생각과 느낀 점
아동 중심 놀이 치료에서 치료자는 눈을 감았을 때 느껴지는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가장 불안하고 두려움이 가득 찬 그 시점에서 아동이 두려움에서 벗어나 스스로에 대한 신뢰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상상을 통해 근본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행동이나 환경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동기부여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치료자가 함께 눈을 감고 있는 그 순간에 대한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그 속에서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은 자기의 몫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치료자가 눈을 감고 있는 그 순간에 모든 것을 해결 해주거나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 간접적인 도움을 줌으로써 수동적인 자세가 아니라 능동적인 자세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3.결론
아동 중심 놀이 치료는 아동과 치료자 사이의 적절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치료자로서 갖춰야 할 태도가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그 태도를 위해 우리가 노력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치료자로서 적절한 역할 수행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4.참고문헌
1) Young, Ed. \"일곱 마리 눈먼 생쥐\", 시공주니어, 1999
②본인 스타일과 태도, 동기, 기대, 욕구, 불안, 상상, 좌절, 기쁨, 주변에 대한 감각 인식은?
내가 주변에 대한 상황을 직접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는 수동적인 태도로 상대방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불안이나 좌절감을 느끼게 되는 것 같다. 스스로가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어려움을 헤쳐나가려는 의지가 낮고 부정적인 상상만 하여 결국 태도 자체가 적극적이지 못하다는 생각을 했다. 내가 상대방이 없어도 뭔가 해냈을 때의 기쁨보다는 혼자 어려움 속에서 느끼는 두려움에 대한 감정이 나를 쉽게 사로잡는다고 느꼈다.
③ 본인 스타일과 태도, 동기, 기대, 욕구, 불안, 상상, 좌절, 기쁨, 주변에 대한 감각 인식을 생각해볼 때 놀이치료자로서의 자신의 스타일은 어떨지 무엇을 주의하고 생각해야 하는가?
놀이치료자로서 나는 불만이나 불안, 좌절감을 벗어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더 큰 의의를 두는 것으로 느껴졌다. 놀이 치료가 아동의 불안감이나 잘못된 행동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단순히 그런 문제 행동에서 벗어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동기부여 그리고 그 속에서 기쁨을 얻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너무 치료자에게 의지하려는 자세를 제공하지 않기 위해 내 스타일에서 부족한 부분은 채워내고 적절한 관계를 통해 올바른 놀이치료자의 역할을 해내야 한다.
④경험을 통해 알게 된 아동 중심 놀이 치료에서의 치료적 관계의 생각과 느낀 점
아동 중심 놀이 치료에서 치료자는 눈을 감았을 때 느껴지는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가장 불안하고 두려움이 가득 찬 그 시점에서 아동이 두려움에서 벗어나 스스로에 대한 신뢰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상상을 통해 근본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행동이나 환경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동기부여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치료자가 함께 눈을 감고 있는 그 순간에 대한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그 속에서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은 자기의 몫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치료자가 눈을 감고 있는 그 순간에 모든 것을 해결 해주거나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 간접적인 도움을 줌으로써 수동적인 자세가 아니라 능동적인 자세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3.결론
아동 중심 놀이 치료는 아동과 치료자 사이의 적절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치료자로서 갖춰야 할 태도가 무엇인지를 생각하고 그 태도를 위해 우리가 노력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도 이해하고 치료자로서 적절한 역할 수행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4.참고문헌
1) Young, Ed. \"일곱 마리 눈먼 생쥐\", 시공주니어, 1999
키워드
추천자료
초등특수학급 가게놀이 수업 세안
[놀이치료]놀이의 정의, 놀이의 역할, 놀이의 특징, 놀이의 기능, 놀이치료의 시작, 놀이치료...
정신지체의 정의, 정신지체의 분류, 정신지체의 특성, 정신지체아 놀이치료의 필요성, 정신지...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연극놀이학습,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지명탐색학습, ...
장애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의 의의와 유형, 정신지체아동, 지체장애아동(지체부자...
[교육활동][지도활동][교수학습활동][수업활동]인성교육활동 사례, 통일교육활동 사례, 정보...
[놀이치료][놀이][모래놀이치료]놀이치료의 역사, 놀이치료의 프로그램, 놀이치료와 모래놀이...
사회복지 프로그램) 장애를 가진 노인(고령 장애 노인)의 건강성 확보를 통한 삶의 질 개선 ...
사회복지 프로그램) 통합적 접근을 통한 농촌 다문화 가정 부모의 아동 양육 역량 강화 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