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놀이치료의 역사
Ⅲ. 놀이치료의 프로그램
1. 놀이 프로그램의 작성
1) 프로그램의 구조
2) 놀이 프로그램 과정안
2. 놀이 프로그램의 적용
Ⅳ. 놀이치료와 모래놀이치료
1. 정의
2. 치료 목표
3. 치료적 의의
4. 치료 형태
Ⅴ. 놀이치료와 조작놀이활동
Ⅵ. 놀이치료와 언어치료
1. 정의
2. 치료방법
Ⅶ. 놀이치료와 시각장애아동
Ⅷ. 놀이치료와 만성질환아동 사례
1. 저자
2. 목표
3. 소개
4. 연구방법 및 설계
5. 중재
6. 결과
7. 논의
8. 출처
참고문헌
Ⅱ. 놀이치료의 역사
Ⅲ. 놀이치료의 프로그램
1. 놀이 프로그램의 작성
1) 프로그램의 구조
2) 놀이 프로그램 과정안
2. 놀이 프로그램의 적용
Ⅳ. 놀이치료와 모래놀이치료
1. 정의
2. 치료 목표
3. 치료적 의의
4. 치료 형태
Ⅴ. 놀이치료와 조작놀이활동
Ⅵ. 놀이치료와 언어치료
1. 정의
2. 치료방법
Ⅶ. 놀이치료와 시각장애아동
Ⅷ. 놀이치료와 만성질환아동 사례
1. 저자
2. 목표
3. 소개
4. 연구방법 및 설계
5. 중재
6. 결과
7. 논의
8. 출처
참고문헌
본문내용
1.0이었으나, 프로그램 적용 후는 6.7, 4.6, 68.7로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보행 중 방향을 바꾼 횟수가 1.0회 줄어들고, 방향을 바꾼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7.7 높아진 것으로 보아 보행능력이 매우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다.
아동K는 실외에서 80m 노선 보행시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비어링 횟수가 9, 재정향한 횟수가 6으로 방향을 바꾼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66.7이었다. 그러나 프로그램 적용 후에는 각각 7.3과 4.8로 방향을 바꾼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65.7로 방향을 바꾼 횟수는 1.7회 줄어들었고,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1.0 낮아졌다.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이 낮아진 것은 방향을 바꾼 횟수가 1.7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아동L은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비어링 횟수가 12, 재정향한 횟수가 5로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41.7이었으나, 프로그램 적용 후에는 각각 9.0과 4.8이고, 방향을 바꾼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53.3으로 본 프로그램 적용 후에 나타난 측정 결과로 보아 훈련의 효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S는 프로그램 적용 전에 비어링 횟수가 11, 재정향한 횟수는 6으로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54.5였으나, 프로그램 적용 후에는 각각 8.3, 5.0으로 방향을 바꾼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60.2로 본 프로그램 적용 후에 나타난 측정 결과로 보아 훈련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 아동의 비어링 횟수, 재정향 횟수, 백분율의 평균치도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각각 10.7, 5.7, 53.2였으나, 프로그램 적용 후는 8.2, 4.8, 58.5로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비어링 경향이 매우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다.
Ⅷ. 놀이치료와 만성질환아동 사례
만성질환 아동의 세대간 치료
1. 저자
Hilda Glazer-Wal man, Zimmerman, Garry Landreth, and Douglas Norton
2. 목표
만성질환 아동의 가정에 대한 중재로서 세대간 치료
3. 소개
만성질환 아동의 가족은 전체 가족 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무수한 동시다발적 도전에 직면한다. 대다수 중재는 교육과 지원 규정이 포함되어 이런 문제 있는 가정에 제공된다. 이것은 이점이 있는 것으로 제공되었으며 이 연구는 대안적 접근을 제시한다. 이것은 아동의 만성질환에 의해 가정 환경이 붕괴되어 변화된 것을 도와주기 위한 기술을 부모들에게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이러한 기술들은 세대간 훈련 프로그램에서 가르친다.
세대간 치료는 \"환자 중심 가족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한다. 필수적으로 부모는 감정을 반영하고 인식을 의사소통하기, 적절한 제안 점을 설정하는데 있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아동놀이 치료 기법에서 훈련을 받았다. 부모가 아동을 위한 치료기 관리 되는 것이다.
4. 연구방법 및 설계
한 집단 사전 사후 검사 연구 설계가 채택되었다. 세대간 치료 집단은 두 개의 지방 병원 아동 환자의 부모로 6명의 지원자로 구성되었다. 아동을 4세에서 8세까지로 근위 축증, 뇌성마비, 중증천식, 섭식 장애가 포함되었다.
다음 도구들은 세대간 치료 중재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Spielberger의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는 그들의 현재 불안 수준에 대한 아동의 지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The Child Anxiety Scale(CAS)는 현재 불안 수준에 대한 아동지각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The Porter Parental Acceptance Scale는 그들 자녀와의 관계에서 받은 행동과 수용의 감정에 대한 부모의 자기 보고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5. 중재
세대간 치료 훈련 초기는 1주일에 2시간 10세션으로 구성되었다. 사정세션은 훈련이 시작되기 전에 실시되었고, 기간동안 일반적 정차가 설명되었으며 사후검사로 운영되었으며 환자의 승낙서가 확보되었다. 앞서 주목했듯이 부모들은 기본적인 아동-중심 놀이치료 기술 훈련을 받고 자녀와 함께 정규적으로 마련된 놀이 세션을 갖도록 했다. 훈련초기는 10세션의 세대간 치료 집단을 위해 Garry Landreth에 의해 개발된 것을 기초로 하였다. 마지막 세션 후에 다시 도구가 운영되었다. 모든 세션은 비디오 테이프로 녹화되었다.
6. 결과
비록 측정 도구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지만 질적인 부모 아동에게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저자에 의해 요구되어 부모의 애정 있는 다소의 온화한 환경은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질적 수준은 10세션 동안 가르친 아동-중심 놀이치료 기법을 배우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부모들은 훈련을 시작할 때 주어진 아동의 묘사와 비교했을 때 자신과 자녀에게 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이 보고되었다. 참여한 모든 부모들은 다른 부모들에게도 훈련에 참여할 것을 권고했다.
7. 논의
비록 연구의 대상수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긍정적인 변화가 모든 참여자에 의해 보고되었다. 참여했던 부모들은 \"자녀와 자신들의 관계가 놀랄 만큼 변화했다고 보고했다\" 저자는 이런 질적인 변화가 이 연구의 의미 있는 결과라고 제안했다. 만성질환 아동이 직면하는 도전들은 놀이치료의 독특한 형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8. 출처
Glazer- Waldman, H. R., Zimmerman,J.E.,Landreth,G.L., and Norton,D.(1992). Filial Therapy: an interven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Intervention Journal of Play Therapy 1:31-42.
참고문헌
김경원 / 놀이치료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 관계 변인, 대진대학교, 2008
김명환 / 놀이치료에 대한 목회상담적 고찰, 장로회신학대학교, 2009
엄숙경 / 아동상담과 놀이치료, 상조사, 2002
아서 크레프트 저, 김양순 역 / 놀이치료의 동반자로서 부모 - 자녀의 놀이를 통해서 이해하는 길, ㈜학문사, 2001
유미숙 / 놀이치료 핸드북, 양지, 2003
한정석 /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한미의학, 2000
아동K는 실외에서 80m 노선 보행시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비어링 횟수가 9, 재정향한 횟수가 6으로 방향을 바꾼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66.7이었다. 그러나 프로그램 적용 후에는 각각 7.3과 4.8로 방향을 바꾼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65.7로 방향을 바꾼 횟수는 1.7회 줄어들었고,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1.0 낮아졌다.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이 낮아진 것은 방향을 바꾼 횟수가 1.7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아동L은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비어링 횟수가 12, 재정향한 횟수가 5로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41.7이었으나, 프로그램 적용 후에는 각각 9.0과 4.8이고, 방향을 바꾼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53.3으로 본 프로그램 적용 후에 나타난 측정 결과로 보아 훈련의 효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S는 프로그램 적용 전에 비어링 횟수가 11, 재정향한 횟수는 6으로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54.5였으나, 프로그램 적용 후에는 각각 8.3, 5.0으로 방향을 바꾼 원점수에 대한 백분율은 60.2로 본 프로그램 적용 후에 나타난 측정 결과로 보아 훈련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세 아동의 비어링 횟수, 재정향 횟수, 백분율의 평균치도 프로그램 적용 전에는 각각 10.7, 5.7, 53.2였으나, 프로그램 적용 후는 8.2, 4.8, 58.5로 프로그램 적용 전보다 비어링 경향이 매우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다.
Ⅷ. 놀이치료와 만성질환아동 사례
만성질환 아동의 세대간 치료
1. 저자
Hilda Glazer-Wal man, Zimmerman, Garry Landreth, and Douglas Norton
2. 목표
만성질환 아동의 가정에 대한 중재로서 세대간 치료
3. 소개
만성질환 아동의 가족은 전체 가족 체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무수한 동시다발적 도전에 직면한다. 대다수 중재는 교육과 지원 규정이 포함되어 이런 문제 있는 가정에 제공된다. 이것은 이점이 있는 것으로 제공되었으며 이 연구는 대안적 접근을 제시한다. 이것은 아동의 만성질환에 의해 가정 환경이 붕괴되어 변화된 것을 도와주기 위한 기술을 부모들에게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이러한 기술들은 세대간 훈련 프로그램에서 가르친다.
세대간 치료는 \"환자 중심 가족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한다. 필수적으로 부모는 감정을 반영하고 인식을 의사소통하기, 적절한 제안 점을 설정하는데 있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아동놀이 치료 기법에서 훈련을 받았다. 부모가 아동을 위한 치료기 관리 되는 것이다.
4. 연구방법 및 설계
한 집단 사전 사후 검사 연구 설계가 채택되었다. 세대간 치료 집단은 두 개의 지방 병원 아동 환자의 부모로 6명의 지원자로 구성되었다. 아동을 4세에서 8세까지로 근위 축증, 뇌성마비, 중증천식, 섭식 장애가 포함되었다.
다음 도구들은 세대간 치료 중재에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Spielberger의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는 그들의 현재 불안 수준에 대한 아동의 지각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The Child Anxiety Scale(CAS)는 현재 불안 수준에 대한 아동지각을 측정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The Porter Parental Acceptance Scale는 그들 자녀와의 관계에서 받은 행동과 수용의 감정에 대한 부모의 자기 보고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5. 중재
세대간 치료 훈련 초기는 1주일에 2시간 10세션으로 구성되었다. 사정세션은 훈련이 시작되기 전에 실시되었고, 기간동안 일반적 정차가 설명되었으며 사후검사로 운영되었으며 환자의 승낙서가 확보되었다. 앞서 주목했듯이 부모들은 기본적인 아동-중심 놀이치료 기술 훈련을 받고 자녀와 함께 정규적으로 마련된 놀이 세션을 갖도록 했다. 훈련초기는 10세션의 세대간 치료 집단을 위해 Garry Landreth에 의해 개발된 것을 기초로 하였다. 마지막 세션 후에 다시 도구가 운영되었다. 모든 세션은 비디오 테이프로 녹화되었다.
6. 결과
비록 측정 도구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지만 질적인 부모 아동에게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저자에 의해 요구되어 부모의 애정 있는 다소의 온화한 환경은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질적 수준은 10세션 동안 가르친 아동-중심 놀이치료 기법을 배우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부모들은 훈련을 시작할 때 주어진 아동의 묘사와 비교했을 때 자신과 자녀에게 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이 보고되었다. 참여한 모든 부모들은 다른 부모들에게도 훈련에 참여할 것을 권고했다.
7. 논의
비록 연구의 대상수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긍정적인 변화가 모든 참여자에 의해 보고되었다. 참여했던 부모들은 \"자녀와 자신들의 관계가 놀랄 만큼 변화했다고 보고했다\" 저자는 이런 질적인 변화가 이 연구의 의미 있는 결과라고 제안했다. 만성질환 아동이 직면하는 도전들은 놀이치료의 독특한 형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8. 출처
Glazer- Waldman, H. R., Zimmerman,J.E.,Landreth,G.L., and Norton,D.(1992). Filial Therapy: an interven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Intervention Journal of Play Therapy 1:31-42.
참고문헌
김경원 / 놀이치료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도 관계 변인, 대진대학교, 2008
김명환 / 놀이치료에 대한 목회상담적 고찰, 장로회신학대학교, 2009
엄숙경 / 아동상담과 놀이치료, 상조사, 2002
아서 크레프트 저, 김양순 역 / 놀이치료의 동반자로서 부모 - 자녀의 놀이를 통해서 이해하는 길, ㈜학문사, 2001
유미숙 / 놀이치료 핸드북, 양지, 2003
한정석 / 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한미의학, 2000
추천자료
놀이치료
학교 현장에서의 놀이치료의 혁신적 적용, 한국의 학교상담, 초등학교 집단상담
딥스를 읽고 그 안에서 본 놀이치료 작성
[독서감상문] 놀이치료로 행복을 되찾은 아이, 베티 - ‘변화는 밖이 아니라 안에서 일어나는 ...
피아제(Piaget)의 동화, 조절, 인지적 갈등, 평형화를 모래놀이 상황에서의 모습으로 예를 들...
아동복지의 대상 중 장애아동이나 빈곤아동의 사례를 들어 개별아동복지실천과정의 단계대로 ...
놀이치료에 관한 다양한 이론, west의 4단계 놀이치료과정, Norton과 Norton의 5단계 놀이치...
[놀이치료] 놀이치료이론, 놀이의 심리치료적 요소, 아동의 놀이치료 기본기법(놀이치료방법)
[피아제의 인지발달론] piaget 의 동화, 조절, 인지적 갈등 평형화를 모래놀이 상황에서의 ...
[놀이치료] 놀이치료의 개념(정의)과 효과, 놀이의 치료적 기능, 놀이치료자의 역할 및 자세(...
[게임놀이치료] 게임놀이치료의 정의(개념)와 준비(게임의 치료적 의미, 게임놀이치료자의 역...
놀이치료 사례 분석
[놀이치료이론] 놀이치료의 접근 -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인지행동놀이치료 발달놀이치료 부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