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놀이치료의 개념
II. 놀이의 치료적 기능
III. 놀이치료자의 역할 및 자세
IV. 놀이치료의 대상 및 효과
* 참고문헌
II. 놀이의 치료적 기능
III. 놀이치료자의 역할 및 자세
IV. 놀이치료의 대상 및 효과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택하여 치료에의 참여 동기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놀이치료의 적용범위는 연령 이 외에 문제행동의 유형과도 관련이 있다. 외현화 장애, 내면화장애, 관계상의 어려움, 사회적 기술능력 등 심리적 문제를 가진 아동이 주된 놀이치료의 대상이 된다.
레이(Ray), 브래튼(Bratton), 린(Rhine), 존스(Jones, 2001)는 놀이치료가 실행가능한 치료 기법으로서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놀이치료의 효과분석에 초점을 둔 94개의 연구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놀이치료는 내담아동이 가지도 있던 거의 모든 유형의 문제를 완화하거나 해소하는 데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놀이치료가 행동의 양식, 내담아동의 나이, 성별 등을 막론하고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실제 치료사례를 바탕으로, 오늘날 놀이치료는 다음의 영역을 포함하여 아동의 다양한 문제를 개선 또는 해소하는 데 유용한 치료접근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Landreth, 2002).
머리카락 잡아당기기의 완화(Barlow, Strother & Landreth, 1985)
선택적 함구증의 개선(Barlow, Strother & Landreth, 1986)
공격적인 표출행동의 감소(Willock, 1983)
이혼가족 아동의 정서적 적응의 개선(Mendell, 1983)
학대받고 방임된 아동의 정서적 적응의 개선(Mann & McDermott, 1983)
성폭력 피해아동과 가정폭력을 목격한 아동의 정서적 적응의 개선(Kot, Landreth & Giordano, 1998; Saucier, 1986: Tyndall-Lmd, Landreth & Giordano, 2001)
입원한 아동의 스트레스와불안의 감소(Golden, 1983)
빈약한 읽기능력의 향상(Axline 1947, 1949; Bills, 1950; Bixler, 1945; Mehus, 1953; Pumfrey & Elliot, 1970; Winn, 1959)
학습장애아의 학업수행 능력 증진(Axline, 1949; Guemey, 1983; Holmer, 1937; Jones 1952; Machler, 1965; Moustakas, 1951; Sokoloff, 1959)
학교에서의 부적응 행동 감소(Constantino, Malgady & Roger, 1986; Gaulden 1975; Hannah, 1986; Leland, Walker & Taboada, 1959)
언어문제의 교정(Axline & Rogers, 1945; Dupent et al. , 1953; Reynert, 1946; Winn, 1959)
정신지체아동의 정서적 인지적 문제의 감소(Leland, 1983; Leland & Smith, 1962; Miller, 1948; Moyer & Von Haller, 1956; Pothier, 1967)
사회적 정서적 적응 능력의 향상(Andriola, 1944; Axline, 1948, 1964; Baruch 1952; Conn, 1952; King & Ekstein, 1967; Miller, 1947; Moustakas 1951; Potheir, 1967; Schiffer, 1957; Ude-Pestel, 1977)
말더듬의 개선(Wakaba, 1983)
천식, 궤양성 결장염, 알레르기와 같은 정신신체적 장애의 완화(Dudek, 1967; Jessner, 1951; Miller & Baruch, 1948)
아동 우울증세의 감소(Burroughs et al. , 1997; Springer, Philips, Philips, Cannady & Kerst-Hams, 1992; Tyndall-Lindet et al., 2001)
자아개념의 증진(Bleck & Bleck, 1982; Crow, 1989)
분리불안의 경감(Milos & Reiss, 1982)
* 참고문헌
놀이치료의 이해 - 유가효, 위영희 외 3명 저(양서원, 2014)
놀이치료 - 김연진, 장미경 외 1명 저(창지사, 2009)
놀이치료의 기초 - CHarles E. Schaefer 저, 김은정 역(시그마프레스, 2015)
놀이치료 이론과 실제 - Kevin J. O’Conner, Lisa D. Bravermanr 저, 이승희 외 2명 역(시그마프레스, 2011)
놀이치료개론 - 송영혜 저(에버그린북스, 2015)
놀이치료(아동세계의 이해) - 이숙희, 고인숙 저(교육아카데미, 2003)
레이(Ray), 브래튼(Bratton), 린(Rhine), 존스(Jones, 2001)는 놀이치료가 실행가능한 치료 기법으로서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놀이치료의 효과분석에 초점을 둔 94개의 연구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놀이치료는 내담아동이 가지도 있던 거의 모든 유형의 문제를 완화하거나 해소하는 데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놀이치료가 행동의 양식, 내담아동의 나이, 성별 등을 막론하고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실제 치료사례를 바탕으로, 오늘날 놀이치료는 다음의 영역을 포함하여 아동의 다양한 문제를 개선 또는 해소하는 데 유용한 치료접근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Landreth, 2002).
머리카락 잡아당기기의 완화(Barlow, Strother & Landreth, 1985)
선택적 함구증의 개선(Barlow, Strother & Landreth, 1986)
공격적인 표출행동의 감소(Willock, 1983)
이혼가족 아동의 정서적 적응의 개선(Mendell, 1983)
학대받고 방임된 아동의 정서적 적응의 개선(Mann & McDermott, 1983)
성폭력 피해아동과 가정폭력을 목격한 아동의 정서적 적응의 개선(Kot, Landreth & Giordano, 1998; Saucier, 1986: Tyndall-Lmd, Landreth & Giordano, 2001)
입원한 아동의 스트레스와불안의 감소(Golden, 1983)
빈약한 읽기능력의 향상(Axline 1947, 1949; Bills, 1950; Bixler, 1945; Mehus, 1953; Pumfrey & Elliot, 1970; Winn, 1959)
학습장애아의 학업수행 능력 증진(Axline, 1949; Guemey, 1983; Holmer, 1937; Jones 1952; Machler, 1965; Moustakas, 1951; Sokoloff, 1959)
학교에서의 부적응 행동 감소(Constantino, Malgady & Roger, 1986; Gaulden 1975; Hannah, 1986; Leland, Walker & Taboada, 1959)
언어문제의 교정(Axline & Rogers, 1945; Dupent et al. , 1953; Reynert, 1946; Winn, 1959)
정신지체아동의 정서적 인지적 문제의 감소(Leland, 1983; Leland & Smith, 1962; Miller, 1948; Moyer & Von Haller, 1956; Pothier, 1967)
사회적 정서적 적응 능력의 향상(Andriola, 1944; Axline, 1948, 1964; Baruch 1952; Conn, 1952; King & Ekstein, 1967; Miller, 1947; Moustakas 1951; Potheir, 1967; Schiffer, 1957; Ude-Pestel, 1977)
말더듬의 개선(Wakaba, 1983)
천식, 궤양성 결장염, 알레르기와 같은 정신신체적 장애의 완화(Dudek, 1967; Jessner, 1951; Miller & Baruch, 1948)
아동 우울증세의 감소(Burroughs et al. , 1997; Springer, Philips, Philips, Cannady & Kerst-Hams, 1992; Tyndall-Lindet et al., 2001)
자아개념의 증진(Bleck & Bleck, 1982; Crow, 1989)
분리불안의 경감(Milos & Reiss, 1982)
* 참고문헌
놀이치료의 이해 - 유가효, 위영희 외 3명 저(양서원, 2014)
놀이치료 - 김연진, 장미경 외 1명 저(창지사, 2009)
놀이치료의 기초 - CHarles E. Schaefer 저, 김은정 역(시그마프레스, 2015)
놀이치료 이론과 실제 - Kevin J. O’Conner, Lisa D. Bravermanr 저, 이승희 외 2명 역(시그마프레스, 2011)
놀이치료개론 - 송영혜 저(에버그린북스, 2015)
놀이치료(아동세계의 이해) - 이숙희, 고인숙 저(교육아카데미, 2003)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