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 주제학습 (임신성 고혈압 PIH)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학 주제학습 (임신성 고혈압 PIH)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와 증상
4. 임신 시 고혈압의 분류
5. 진단 및 진단방법
6. 치료
7. 간호
8. 합병증
9. 만선 고혈압 장애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호흡을 측정한다.
FHT(Fetal Heart Tone)을 사정한다.
매일 체중을 측정한다. 주당 450g의 체중증가는 정상이나 900g의 증가는 자간전증이 의심되고 1.3kg의 증가는 경고징후로 혈압을 자주 측정하고 의학적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소변 배출량(Output)을 사정한다. 시간당 소변량이 30ml 이상, 24시간 소변량은 700ml 이상이어야 한다.
단백뇨는 매시간, 매 배뇨마다 사정한다.
뇨비중이 1.040 이상은 핍뇨와 단백뇨를 의심한다.
부종을 사정한다. 얼굴, 손, 발, 발목, 천골부위 등에서 요흔성 부종(Pitting Edema)의 유무를 확인하고 촉진해본다.
심부건 반사를 사정한다.
두통 여부 및 두통 부위를 사정하고 시각장애가 있는지 확인한다.
오심, 구토 혹은 등 쪽으로 뻗히는 우상복부통증을 사정한다.
의식수준과 정서적 반응을 사정한다.
침상안정과 NST 검사를 실시한다.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Hct, 혈액 응고 시간, 간효소, 전해질 검사의 결과를 확인한다.
8. 합병증
임신성 고혈압 임부의 15~25%에서 단백뇨가 발생하여 자간전증으로 진행된다. 조기에 발병하거나 과거에 유산 경험이 있는 임신성 고혈압 임부의 경우 자간전증으로의 진행이 비교적 높고, 36주 이후 발병한 임신성 고혈압에서는 약 10%만이 자간전증으로 이행한다. 임신성 고혈압 임부의 경우 단백뇨를 제외하고 자간전증의 증상들인 두통, 상복부통증,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할 수 있다.
9. 만성 고혈압 장애
만성 고혈압 장애는 임신 전이나 임신 20주 이전에 발생된 고혈압이다. 만성 고혈압의 고위험군은 2차성 고혈압이거나 표적장기 손상이 있는 경우, 수축기압이 180mmHg, 이완기압이 110mmHg 이상인 경우이며 저위험군은 합병증이 없는 원발성 고혈압으로 이전 임신에서 합병증 없이 수축기압이 180mmHg, 이완기압이 110mmHg 이하인 경우이다.
혈압이 200/100mmHg 이상이면 즉시 Hydralazine과 같은 항고혈압제를 투여하며 신속하게 분만의 필요성을 사정한다. 임신 37주 이후의 중증 고혈압, 자간전증이 발생하면 입원하여 분만하도록 한다.
10. 참고문헌
1.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2012) - 이경혜 외 2. 보건복지부 지정 국민고혈압사업단 홈페이지 http://www.hypertension.or.kr
3. 국가건강정보포털 홈페이지 http://health.mw.go.kr/Main.do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6.11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