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문제제기
1.2 필요성
1.3 목적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1 개요
2.2 자료분석 결과
3. 외국인이 본 한국문화의 주요 특성
3.1 예의범절
3.2 음식
3.3 교육
3.4 교통
4. 결론
1.1 문제제기
1.2 필요성
1.3 목적
2.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1 개요
2.2 자료분석 결과
3. 외국인이 본 한국문화의 주요 특성
3.1 예의범절
3.2 음식
3.3 교육
3.4 교통
4. 결론
본문내용
경우가 많다.
이에 보행자들은 정류장을 이용하기 위해 무조건 신호를 기다리고 차도를 횡단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버스를 이용하기 위해 무단횡단을 한다. 안전을 위해 보행신호를 철저하게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의 교차로에는 대부분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세종시에는 교차로에 신호등보다 회전교차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뉴질랜드에도 회전교차로가 많기 때문에 세종시에서 회전교차로를 이용하게 되었을 때 반가웠다. 그러나 실제로 회전교차로를 이용하면서 많이 당황했다. 회전교차로 통행 방법을 모르는 운전자들이 많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회전교차로에서는 교차로에 진입하려고 하는 차량이 회전하는 차량에게 양보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의 회전교차로에서는 이러한 통행방법을 모르고 교차로에 진입한 차량을 무시하고 무조건 진입하려는 한다.
3) 한국의 고속도로는 제한속도가 대부분 110㎞/h이다.
제한속도가 뉴질랜드의 고속도로보다 10㎞/h 높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동차들은 제한속도를 지키지 않는다는 점에 놀랐다. 규정속도인 110㎞/h를 지키며 운행하고 있는데도, 과속하며 추월하는 차량들이 많았다. 물론 뉴질랜드에서도 과속하는 운전자가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더욱 많은 운전자들이 과속을 하고, 그 속도 또한 뉴질랜드에 비해 훨씬 빠르다고 느껴졌다. 주차 전쟁운전 문화에 주차도 중요한 부분이다.
4) 한국 운전자들의 특징 중 하나는 주차장에서 후진주차를 많이 이용한다는 점이다.
차량을 구입해 직접 운전하기 전까지는 몰랐던 사실이다. 반면 뉴질랜드는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전면주차를 한다. 한국친구에게 후진주차를 차는 이유를 물으니, 출차할 때 후진주차가 더욱 편하기 때문이라는 대답을 들을 수 있었다. 뉴질랜드 사람들은 반대로 생각한다. 후진해서 주차하는 것은 어렵고, 출차할 때 후진하는 것이 더욱 편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의 주차장들이 대부분 좁기 때문에 생겨나지 않았을까 생각도 한다. 특히 한국의 실내 주차장은 주차폭이 매우 좁은 경우가 많아 후진을 이용해 출차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을 수도 있겠다고 느꼈다.
5) 대부분의 한국 도시에서는 주차할 곳을 찾기가 힘들다.
개인적으로 야외에 주차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한국의 경우는 주차장이 대부분 실내나 지하주차장인 경우가 많았다. 주차 공간이 적기 때문인지 주차타워라는 건물이 있는 것도 봤다. 주차타워는 한국에서 처음 봤기 때문에 매우 신기하다고 생각했다. 이렇듯 주차할 곳을 찾기가 힘들어서인지 운자들이 도로에 불법주차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 불법주차는 도로폭을 좁게 만들기 때문에 다른 차량의 운행을 방해하고, 교통체증을 유발한다. 때로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기도 한다. 이것은 다른 운전자들에게도 방해가 될 수 있다. 앞으로 바라는 점 한국에서 운전을 오래하지는 않았지만 앞으로 더욱 안전한 도로환경을 위해 단속이 더 강화되었으면 한다.
6) 전철역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다.
10년 전에 한국에 처음 왔을 때만 하더라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역은 거의 없었다. 스크린도어가 없었던 당시에는 사람들로 붐비는 출·퇴근 시간에 좁은 지하철역에 서 있으면 불안하다고 느끼곤 했다. 선로가 바로 앞에 있는데 수많은 인파들이 서 있다는 게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10년의 가까운 시간 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다. 요즈음은 거의 모든 서울 지하철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광역전철에도 스크린도어를 늘려가고 있는 중이다. 승객들의 안전을 위한 역사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7) 한국의 속도위반 단속카메라다.
한국에는 꽤 많은 속도위반 단속카메라가 운영 중이다. 많은 운전자들이 단속카메라를 싫어하겠지만, 과속하는 차량이 많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요즈음은 승용차마다 설치되어 있는 내비게이션을 통해 단속카메라 위치를 확하게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한 커브길이나 사고 잦은 구간에 설치되어 있으면 통행하는 차량들이 속도를 줄여 사고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4. 결론
문제점: 한국문화는 멀리서 보면 화려해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유교문화의 폐허와 수직적인구조, 천민자본주의의 병폐 등 다양한 문제가 있는데 외국인의 시선으로 한국문화를 바라봄으로써 좀 더 객관적인 시선으로 한국문화를 생긴 근본적인 이유는 국민의 인성 때문인데, 이런 인성이 어디서 길러졌을까? 자살 1위 국가라는 오명은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일까?
해결방안: 외국인들의 시선으로 한 발자국 물러나서 본 한국문화를 통해 객관적인 시야를 확보하게 되었다. 역사가 유구한 한국문화를 단기간에 바꾸기엔 어렵겠지만 한 사람의 작은 행동이 결국 나비효과가 되어 한국문화를 바꾸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한국어 교사를 꿈꾸는 우리 한국어학도에겐 외국인들이 바라보는 한국문화의 문제점을 교육에 대입하며 생각을 하게 되며, 또한 한국사람으로서 우리 자신에게도 그러한 병폐에 스며들어 있는지 다시 돌아보고 반성하게 된다. 이러한 천민자본주의, 물질만능주의, 유럽에 비해 아직은 덜 성숙한 민주주의, 수직적인 구조, 주입식 교육으로 인한 창의성 부족, 냉담한 사회 등 문화적 고질적 병폐는 교육 시스템을 통해 속부터 채우는 인성교육을 토대로 교육해야 한다. 이기주의가 만연한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가면 사회는 더 냉담해질 것이고 척박해질 것이다. 교육적으로 개혁이 필요하다. 스스로를 생각하는 힘과 인성을 채워주는 철학, 인문학을 더 깊이 교육하고, 감성을 일깨워주는 예술적 학문도 그냥 훑어가는 수준이 아니라 더욱 세밀하게 들어가야 할 것이다. 또한, 시험만 보는 것이 아니라, 토론하면서 서로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나누며, 자신의 개성을 짓밟지 않는 한에서, 서로가 조화되는 교육 시스템으로 바꿔 나가야 한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 한국어 교사를 꿈꾸는 경희사이버대학 한국어문학과 학도로서 장차 교육 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의 학생들에게도 이러한 교육체계로 길을 올바르게 인도해야 한다. 올바른 의식체계로 한국문화의 문제점을 의식하며 문화에 관련된 사항들을 교육현장에서 적용하면 장래 한국어 교수 시 학생의 입장이 더욱 이해가 될 것이고 이해도 높은 교류가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보행자들은 정류장을 이용하기 위해 무조건 신호를 기다리고 차도를 횡단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버스를 이용하기 위해 무단횡단을 한다. 안전을 위해 보행신호를 철저하게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의 교차로에는 대부분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세종시에는 교차로에 신호등보다 회전교차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뉴질랜드에도 회전교차로가 많기 때문에 세종시에서 회전교차로를 이용하게 되었을 때 반가웠다. 그러나 실제로 회전교차로를 이용하면서 많이 당황했다. 회전교차로 통행 방법을 모르는 운전자들이 많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회전교차로에서는 교차로에 진입하려고 하는 차량이 회전하는 차량에게 양보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의 회전교차로에서는 이러한 통행방법을 모르고 교차로에 진입한 차량을 무시하고 무조건 진입하려는 한다.
3) 한국의 고속도로는 제한속도가 대부분 110㎞/h이다.
제한속도가 뉴질랜드의 고속도로보다 10㎞/h 높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동차들은 제한속도를 지키지 않는다는 점에 놀랐다. 규정속도인 110㎞/h를 지키며 운행하고 있는데도, 과속하며 추월하는 차량들이 많았다. 물론 뉴질랜드에서도 과속하는 운전자가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더욱 많은 운전자들이 과속을 하고, 그 속도 또한 뉴질랜드에 비해 훨씬 빠르다고 느껴졌다. 주차 전쟁운전 문화에 주차도 중요한 부분이다.
4) 한국 운전자들의 특징 중 하나는 주차장에서 후진주차를 많이 이용한다는 점이다.
차량을 구입해 직접 운전하기 전까지는 몰랐던 사실이다. 반면 뉴질랜드는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전면주차를 한다. 한국친구에게 후진주차를 차는 이유를 물으니, 출차할 때 후진주차가 더욱 편하기 때문이라는 대답을 들을 수 있었다. 뉴질랜드 사람들은 반대로 생각한다. 후진해서 주차하는 것은 어렵고, 출차할 때 후진하는 것이 더욱 편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차이는 한국의 주차장들이 대부분 좁기 때문에 생겨나지 않았을까 생각도 한다. 특히 한국의 실내 주차장은 주차폭이 매우 좁은 경우가 많아 후진을 이용해 출차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을 수도 있겠다고 느꼈다.
5) 대부분의 한국 도시에서는 주차할 곳을 찾기가 힘들다.
개인적으로 야외에 주차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한국의 경우는 주차장이 대부분 실내나 지하주차장인 경우가 많았다. 주차 공간이 적기 때문인지 주차타워라는 건물이 있는 것도 봤다. 주차타워는 한국에서 처음 봤기 때문에 매우 신기하다고 생각했다. 이렇듯 주차할 곳을 찾기가 힘들어서인지 운자들이 도로에 불법주차를 하는 경우도 많았다. 불법주차는 도로폭을 좁게 만들기 때문에 다른 차량의 운행을 방해하고, 교통체증을 유발한다. 때로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기도 한다. 이것은 다른 운전자들에게도 방해가 될 수 있다. 앞으로 바라는 점 한국에서 운전을 오래하지는 않았지만 앞으로 더욱 안전한 도로환경을 위해 단속이 더 강화되었으면 한다.
6) 전철역에 설치되어 있는 스크린도어다.
10년 전에 한국에 처음 왔을 때만 하더라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역은 거의 없었다. 스크린도어가 없었던 당시에는 사람들로 붐비는 출·퇴근 시간에 좁은 지하철역에 서 있으면 불안하다고 느끼곤 했다. 선로가 바로 앞에 있는데 수많은 인파들이 서 있다는 게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10년의 가까운 시간 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다. 요즈음은 거의 모든 서울 지하철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광역전철에도 스크린도어를 늘려가고 있는 중이다. 승객들의 안전을 위한 역사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7) 한국의 속도위반 단속카메라다.
한국에는 꽤 많은 속도위반 단속카메라가 운영 중이다. 많은 운전자들이 단속카메라를 싫어하겠지만, 과속하는 차량이 많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요즈음은 승용차마다 설치되어 있는 내비게이션을 통해 단속카메라 위치를 확하게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심한 커브길이나 사고 잦은 구간에 설치되어 있으면 통행하는 차량들이 속도를 줄여 사고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한다
4. 결론
문제점: 한국문화는 멀리서 보면 화려해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유교문화의 폐허와 수직적인구조, 천민자본주의의 병폐 등 다양한 문제가 있는데 외국인의 시선으로 한국문화를 바라봄으로써 좀 더 객관적인 시선으로 한국문화를 생긴 근본적인 이유는 국민의 인성 때문인데, 이런 인성이 어디서 길러졌을까? 자살 1위 국가라는 오명은 어디서부터 시작된 것일까?
해결방안: 외국인들의 시선으로 한 발자국 물러나서 본 한국문화를 통해 객관적인 시야를 확보하게 되었다. 역사가 유구한 한국문화를 단기간에 바꾸기엔 어렵겠지만 한 사람의 작은 행동이 결국 나비효과가 되어 한국문화를 바꾸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한국어 교사를 꿈꾸는 우리 한국어학도에겐 외국인들이 바라보는 한국문화의 문제점을 교육에 대입하며 생각을 하게 되며, 또한 한국사람으로서 우리 자신에게도 그러한 병폐에 스며들어 있는지 다시 돌아보고 반성하게 된다. 이러한 천민자본주의, 물질만능주의, 유럽에 비해 아직은 덜 성숙한 민주주의, 수직적인 구조, 주입식 교육으로 인한 창의성 부족, 냉담한 사회 등 문화적 고질적 병폐는 교육 시스템을 통해 속부터 채우는 인성교육을 토대로 교육해야 한다. 이기주의가 만연한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가면 사회는 더 냉담해질 것이고 척박해질 것이다. 교육적으로 개혁이 필요하다. 스스로를 생각하는 힘과 인성을 채워주는 철학, 인문학을 더 깊이 교육하고, 감성을 일깨워주는 예술적 학문도 그냥 훑어가는 수준이 아니라 더욱 세밀하게 들어가야 할 것이다. 또한, 시험만 보는 것이 아니라, 토론하면서 서로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나누며, 자신의 개성을 짓밟지 않는 한에서, 서로가 조화되는 교육 시스템으로 바꿔 나가야 한다. 뿐만 아니라 앞으로 한국어 교사를 꿈꾸는 경희사이버대학 한국어문학과 학도로서 장차 교육 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의 학생들에게도 이러한 교육체계로 길을 올바르게 인도해야 한다. 올바른 의식체계로 한국문화의 문제점을 의식하며 문화에 관련된 사항들을 교육현장에서 적용하면 장래 한국어 교수 시 학생의 입장이 더욱 이해가 될 것이고 이해도 높은 교류가 가능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