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분석의 의의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영분석의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영분석의 개요
제 1 절 경영분석의 의의
제 2 절 경영분석의 목적

경영분석의 방법
제 1 절 경영분석 자료
제 2 절 관광경영분석 방법

재무비율분석 이론
제 1 절 재무비율분석의 의의
제 2 절 재무비율의 분류

재무비율분석 보완
제 1 절 비교분석
제 2 절 구조분석
제 3 절 추세분석
제 4 절 ROI 분석
제 5 절 종합지수법

투자안의 평가

위험 분석
제 1 절 영업레버리지
제 2 절 재무레버리지
제 3 절 결합레버리지

본문내용

EBIT
I : 자금조달원천에 따른 고정재무부담액 : (지급이자)
<예제 >
<위 예제>의 자료에 이자비용이 360,000원이 지급된다면 5,000개의 디스켓을 생산 할 경우 DFL은 얼마이며, 영업이익이 100% 증가 할 경우 순이익은 몇 % 증가 하는가?
풀 이 : ① DFL = S-VC-FC / S-V-FC-I =
(P-VC)Q-FC / (P-VC)Q-FC-I
=(3,000-2,100)5,000-4,050,000 / (3,000-2,100)5,000-4,050,000 - 360,0000 = 5
② DFL이 5 이므로 영업이익이 100% 증가 할 경우 순이익 은 100%의 5배인 500% 증가한다.
계산 : 현재의 순이익
(5,000ㆍ3,000)-(5,000ㆍ2,100)-4,050,000 - 360,000 = 90,000
영업이익이 100% 증가 할 경우의 순이익
(5,500ㆍ3,000)-(5,500ㆍ2,100)-4,050,000-360,000 = 540,000
계산에서 본 것과 같이 DFL이 5이므로 영업이익이 100% 증가하면 순이익은 90,000원의 500%증가한 540,000원이 된다.
영업이익의 변화율과 당기순이익의 변화율이 동일하지 않고, 관광기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각 관광기업의 재무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타인자본을 사용하는 경우 영업이익의 증감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지급하는 이자비용이 있기 때문이다. <표 8-2>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갑 관광기업과 을 관광기업이 영업이익이 동일하게 10% 증감하는데 영업이익의 증감율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을 관광기업이 갑 관광기업 보다 상대적으로 이자비용이 많이 지출되기 때문이다. 즉 이자비용이 지레 역할을 하여 손익확대효과가 더 높게 나옴을 알 수 있다.
재무레버리지도를 측정하면 갑 관광기업은 1.33 이고 (13.3% / 10%)을 관광기업은 5.0(50% / 10%)이다. 즉 갑 관광기업은 영업이익이 10% 증감하면 당기순이익은 10%의 1.33배가 증감함을 의미하며, 을 관광기업은 영업이익이 10% 증감하면 당기순이익은 10%의 5배가 증감함을 의미한다.
<표> 재무레버리지 효과
갑 관광기업
을 관광기업
10% 감소
현재영업이익
10% 증가
10% 감소
현재영업이익
10% 증가
영업이익
이 자(5%)
세전이익
법인세(40%)
180,000
50,000
130,000
52,000
200,000
50,000
150,000
60,000
220,000
50,000
170,000
68,000
90,000
80,000
10,000
4,000
100,000
80,000
20,000
8,000
110,000
80,000
30,000
12,000
당기순이익
78,000
90,000
102,000
6,000
12,000
18,000
증 감 률
13.3% 감소
13.3% 증가
50% 감소
50% 증가
타인자본 : 갑 관광기업 1,000,000원, 을 관광기업: 1,600,000원
제 3 절 결합레버리지
영업레버리지와 재무레버리지를 연결하여 결합레버리지도를 나타낸다. 영업레버리지도는 매출액의 변화가 EBIT의 확대효과를 가져오는 것인데 즉 매출량(생산량)의 증가율과 영업이익(EBIT)의 증가율의 비율로 나타내고, 재무레버리지도는 영업이익(이자 및 법인세차감전순이익)의 증가율과 1주당이익(EPS)의 증가율의 비율로 나타낸다. 그러므로 결합레버리지도에서는 매출(생산량)수준의 변동이 1주당이익(EPS)에 큰 변동을 주게 된다.
결합레버리지도(degree of combined leverage : DCL)가 높다는 것은 기업의 이익이 많다거나 경영성과가 좋다는 것이 아니고, 매출액(생산량)이 증가하면 이익이 급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영업레버리지도와 재무레버리지도를 연결하여 결합레버리지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결합레버리지도 :
Q(P-V)
Q(P-V)-F-I
매출가액 4,000원, 단위당 변동비 2,500원, 고정비가 6,900,000, 이 제품의 손익분기점이 4,600일 때 판매량 5,000단위로 보고, 이 판매량에서 영업레버리지도를 구하였다.(영업레버리지도 12.50) 이것을 결합레버리지도(DCL)에 대입하면 판매량 5,000단위에서 6,000단위로 보고 이자가 1,000,000 이다.
6,000개(₩4,000-₩2,500)
DCL = = 8.18 ≒ 8.2
6,000개(₩4,000-₩2,500)-₩6,900,000-₩1,000,000
EPS는 약 8.18배(≒8.2)로 (82%) 증가한다는 것이다.
결합레버리지도는 단순한 일정한 매출량(생산량)의 규모에 있어서 한계이익 대 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 주고 있다. DCL이 크다는 것은 자본조달에 있어서 타인자본을 많이 사용하였을 때 기대수익률과 타인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적을 때 기대수익률이 다르므로 최적자본구성을 위하여 요인을 분석하여 재무구성을 해야만 한다. 결합레버리지도는 영업레버리지도와 재무레버리지도의 결합에서 높은 영업위험 재무위험이나 낮은 위험의 상쇄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기업의 탄력성과 미래의 영업성과를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서 역할을 한다.
<예제 >
<예제>과 <예제>의 자료를 이용하여 DCL을 구하고 이를 해석하시오.
풀 이 : DCL = S-VC / S-V-FC-I = (P-VC)Q / (P-VC)Q-FC-I
= (3,000-2,100)5,000 / (3,000-2,100)5,000-4,050,000 - 360,0000
= 50
또는 DCL = DOLㆍDFL = 10ㆍ5 = 50
해석 : DCL이 50 이므로 매출액이 10% 증가 할 경우 순이익 은 10%의 50배인 500% 증가한다.
계산 : 현재의 순이익
(5,000ㆍ3,000)-(5,000ㆍ2,100)-4,050,000 - 360,000 = 90,000
매출액이 10% 증가 할 경우의 순이익
(5,500ㆍ3,000)-(5,500ㆍ2,100)-4,050,000-360,000 = 540,000
계산에서 본 것과 같이 DCL이 50이므로 매출액10% 증가 하면 순이익은 50배 증가한 500%가 증가하여 순이익이 90,000원에서 540,000원이 된다.
  • 가격4,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21.06.23
  • 저작시기202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9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