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문문화의 특성
1) 한문은 왜 문화인가?
2) 한자
3) 서예
4) 유교
5) 불교
6) 과거문화
2. 동학 농민전쟁
1) 배경
2) 전개
3) 평가
3. 참고문헌
1) 한문은 왜 문화인가?
2) 한자
3) 서예
4) 유교
5) 불교
6) 과거문화
2. 동학 농민전쟁
1) 배경
2) 전개
3) 평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이어 대패하였으며, 대장인 김개남까지 붙잡혀버렸다. 손병희의 북접(충청도)은 일본과 정부군의 습격을 받은 이후 해산한 상태였다. 이외에도 강원도와 황해도에서도 동학군이 발흥하였다. 강원도는 수천명 단위로 비교적 규모가 적었기에 쉽게 제압되었다. 황해도는 동학의 세력이 상당히 커서 수만명이 봉기하였지만, 일본군의 대대적인 토벌로 인해 머지 않아 진압되었다.
3) 평가
동학농민운동은 반봉건적이면서도 반외세적인 성향을 짙게 띄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조선 정부군의 위력보다도 일본의 화력에 의해 제압된 경향이 크기 때문에 동학의 잔여세력들은 일본을 상당히 부정적으로 여기게 되었다. 그로 인해 차후 벌어진 항일의병항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이는 차후 독립운동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또한 동학이 요구한 내정개혁 요구 중에 일부인 과부의 재가 허용과 신분제 폐지는 갑오개혁에 반영되었다.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i401500&code=kc_age_40 참조.
위와 같이 긍정적인 부분들이 다소 있지만 여러 가지 한계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먼저, 농민군의 병력은 수십만에 달했으나 대부분 재래식 병기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화력이 상당히 부족하였다. 또한 집강소 설치과정에서 양반·상인세력과 큰 갈등을 빚게 되었는데, 이를 대부분 무력으로 해결하였기 때문에 전 계층에 지지를 얻지 못했고 이는 패배로 귀결되었다. 셋째. 동학군은 몇 개로 나뉘어져 있었다. 전라도를 중심으로 하는 남접은 전봉준과 김개남이 따로 움직였고, 그 외에도 따로 움직이는 세력들이 있었다. 게다가 북접과 효과적이면서도 제대로 된 연합체계를 구성하지도 못했다. 넷 째. 봉건세력을 타파하려는 기치를 내걸었지만,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는 것을 원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는데, 이는 스스로 정치세력이 되는 것을 포기한 것과 마찬가지였다. 다섯 째. 당시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토지와 관련된 개혁책이 없었던 것도 큰 한계점이라 판단된다.
3. 참고문헌
논문
구본관·마금선, 2020,「한국 한자어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고찰 -중국어 및 일본어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이용범, 1982,「한자문화권의 보편성과 특수성」.
2. 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우리역사넷(http://contents.history.go.kr).
3) 평가
동학농민운동은 반봉건적이면서도 반외세적인 성향을 짙게 띄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조선 정부군의 위력보다도 일본의 화력에 의해 제압된 경향이 크기 때문에 동학의 잔여세력들은 일본을 상당히 부정적으로 여기게 되었다. 그로 인해 차후 벌어진 항일의병항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이는 차후 독립운동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또한 동학이 요구한 내정개혁 요구 중에 일부인 과부의 재가 허용과 신분제 폐지는 갑오개혁에 반영되었다.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i401500&code=kc_age_40 참조.
위와 같이 긍정적인 부분들이 다소 있지만 여러 가지 한계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분명하다. 먼저, 농민군의 병력은 수십만에 달했으나 대부분 재래식 병기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화력이 상당히 부족하였다. 또한 집강소 설치과정에서 양반·상인세력과 큰 갈등을 빚게 되었는데, 이를 대부분 무력으로 해결하였기 때문에 전 계층에 지지를 얻지 못했고 이는 패배로 귀결되었다. 셋째. 동학군은 몇 개로 나뉘어져 있었다. 전라도를 중심으로 하는 남접은 전봉준과 김개남이 따로 움직였고, 그 외에도 따로 움직이는 세력들이 있었다. 게다가 북접과 효과적이면서도 제대로 된 연합체계를 구성하지도 못했다. 넷 째. 봉건세력을 타파하려는 기치를 내걸었지만,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는 것을 원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는데, 이는 스스로 정치세력이 되는 것을 포기한 것과 마찬가지였다. 다섯 째. 당시 가장 큰 문제점이었던 토지와 관련된 개혁책이 없었던 것도 큰 한계점이라 판단된다.
3. 참고문헌
논문
구본관·마금선, 2020,「한국 한자어의 문화적 특성에 대한 고찰 -중국어 및 일본어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이용범, 1982,「한자문화권의 보편성과 특수성」.
2. 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우리역사넷(http://contents.history.g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