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시대 청소년 특강 교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문화시대 청소년 특강 교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용어의 이해
3. 한국 다문화가정의 실상
4. 한국의 다문화가정 증가 배경
5. 다문화가정의 문제점
6. 다문화가정이 우리사회에 미치는 영향
7. 다문화사회에 부합하는 청소년들의 바람직한 자세

본문내용

14.3 %
따 돌 림
12.9 %
폭 행
12.3 %
흉 보 기
11.6 %
외모놀림
10.8 %
공무 못한다고 놀림
10.2 %
의 심
10.2 %
기 타
17.4 %
자료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7) 문화 결핍으로 인한 성적저하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는 학습부진아 51명 중 42명 (82%)이 다문화 가정 자녀였다.
8) 외모와 서툰 언어 등으로 동급생뿐 아니라 교사 중에도 다문화 학생에 대해 이질감을 느끼고 배타적인 태도보임(소외감을 견디지 못하고 학업 을 중단하는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40%에 육박)
※ 동남아계 다문화가정 자녀 올해부터 본격 입학
☆ 급증하는 동남아 출신 가정 자녀
1세
16,427 명
2세
17,304 명
3세
16,607 명
4세
15,584 명
5세
10,775 명
6세
8,844 명
7세(취학연령)
7,995 명
8세
6,710 명
9세
6,393 명
13세
5,712 명
자료 : 행정안전부
☆ 올해 전국 초·중·고교에 다니는 다문화 학생 수 4만6,954명(6년 만에 5배).
☆ 지난해 보다 8,276명(21%)이 증가한 수치(교과부 조사)
☆ 2014년에는 7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
6. 다문화가정이 우리사회에 미치는 영향
가. 다문화가정은 인간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함으로써 인류가 더 좋은 방향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아론지브 지음『우월한 유전자는 어떻게 탄생하는가?』“유전자, 섞어야 바뀌고 바뀌어야 진화한다”)
나. 현재 약 5만명 정도인 다문화가정 출신 아이들이 대한민국의 인적자원 으로 기여하는바가 클 것이다.
다. 이중언어구사자의 증가와 타국과의 친교확대로 국가의 외교역량이 확 대될 것이다.
라. 대한민국이 20-50 클럽에 진입하는 원동력 제공(외국인이 없었다면 우리나라 인구가 4,900만명 정도를 정점으로 감소 예상. 인구 5,000만 명은 강국 과 소국을 나누는 기준. 세계 7곳 밖에 없다)
마. 외국인 노동자의 생산유발효과 연 10조원(자료 : 고용노동부)
7. 다문화사회에 부합하는 청소년들의 바람직한 자세
첫째. 다문화에 대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다양성’을 존중한다.
둘째. 단일민족 순혈주의 국수주의를 타파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사회 의식을 가진다.
셋째. 멘토가 되어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지도하고 도와준다.
넷째. 다문화가정을 지원하는 법과 제도를 정비를 위해 국가를 상대로한 청원등 합당한 노력을 기우린다.
끝.

키워드

다문화,   교안,   교육,   특강,   청소년,   문화,   사회,   중학생,   고등학생
  • 가격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7.13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27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