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노인 대상 치매예방 재활놀이
1) 치매예방 재활놀이의 개념과 의의
2) 치매예방 재활놀이의 핵심 구성 요소
(1) 협동
(2) 도구 활용
(3) 놀이
참고문헌
1) 치매예방 재활놀이의 개념과 의의
2) 치매예방 재활놀이의 핵심 구성 요소
(1) 협동
(2) 도구 활용
(3) 놀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림 7>은 종전에는 칠판에 그려 활용했던 놀이였는데, 규칙을 새롭게 만들어 전혀 다른 놀이로 활용하고 있다. 이처럼 연구자가 변형하여 새롭게 제작한 장비에서 보듯이 같은 놀이라 하더라도 눈으로 보이는 시각적인 효과는 노인들의 참여의지를 고취시키는데 효과적이다.
(3) 놀이
놀이는 사람들이 생활하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고 놀이를 통해 몰입과 자유로움을 경험하고, 예측할 수 없는 독특한 방법으로 내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 그리고 환경에 반응할 수 있게 한다(신혜원, 2009). 그러므로 놀이는 인간의 성장 발달과정에 중요한 역할뿐만이 아니라, 인간의 삶을 긍정적으로 영위하게 하는데도 필요한 활동이다(유미숙, 2009).
놀이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참여하는 것이 아닌 내부적인 요인으로 참여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놀이는 누군가의 강요나 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선택과 욕망으로 수행된다. 이는 타인의 통제를 받기 싫어하는 노년기에 걸 맞는 중요한 특징으로 노인 스스로가 사회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기분을 선사하여, 재사회화의 간접적인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부정적인 정서 상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손화자, 2016).
노인의 긍정적 변화에 놀이가 활용하는 것은 놀이가 가지고 있는 회복적인 힘 때문인데, 이러한 힘으로 인해 놀이는 신체기능의 향상이나 심리치료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박찬옥, 2004). 신혜원(2009)에서 쉐퍼(Schaefer)가 제시한 놀이의 회복적인 요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3> 놀이의 회복적인 요인
공포
극복
반복적인 놀이 경험은 두려움을 감소시킴으로서 새로운 동료들과의 관계 형성이나 낯선 환경으로부터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창조적
사고
놀이를 경험하는 과정 속에 다양한 문제 해결방법을 찾기 위해 다각도로 생각하고 실행하며 많은 시행착오를 겪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창의적인 사고를 갖게 한다.
정화
놀이를 통해 그 동안 표출하지 못했던 강렬한 슬픔이나 불안 같은 감정들을 방출함으로서 정서적인 이완을 하게 된다. 이는 놀이의 대표적인 회복 기능의 하나이다.
환상과
상상
놀이를 통해 유연하고 다양한 상상력을 동원하게 되고 상상을 통해 자신이 처한 현실에서 벗어나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야기를 진행시키며 결과를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외로움, 불안, 질투, 공포, 지겨움, 상실 등에서 회복하게 된다.
관계
증진
놀이를 통해 타인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형성하게 됨으로서 남을 이해하고 자신을 사랑하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는 사회적 은퇴로 인한 사회적 노화를 일정부분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긍정적
정서
놀이가 가진 기본적인 속성으로 긍정적인 정서를 통해 놀이를 하는 동안 즐겁고 행복한 느낌을 갖게 됨으로서 그동안의 다양한 갈등과 스트레스를 잊어버리게 되고 자신 자신을 활성화 하게 한다.
참고문헌
권중돈(2010),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김경화(2007), “경증치매 노인을 위한 몬테소리 프로그램 활용방안”, 한국사회 복지위원회, 3(2), 65-78.
김민정(2016),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수용전념치료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 례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선일(2015), “농업의 가지를 적용한 박물관 교유의 협동학습 연구: 농업박물 관 어린이 농업박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영옥(2000), “유아의 협동 작업을 위한교수-학습모형 연구: 대안적 학습 형 태의 설계”, 유아교육연구, 20(2), 201-222.
김현나(2015), “치료레크리에이션이 노인의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 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9(1), 112-124.
김홍록(2003), “노인의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위한 복지시설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5, 129-155.
노용구(2006), “노인의 심리 및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2), 77-88.
류진희(2000),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신체 활동』, 서울: 양서원.
박선태·최병태·서보준·송은희·김극명·신성일·이은경(2015), 『노인복지론』, 경기: 공동체.
박윤자(2012), “협동적 유아 자연 친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찬옥(2006), 『유아놀이지도』, 서울: 학문사.
손화자(2016), “민요를 통한 노인놀이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효주(2009), “노인특성을 고려한 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혜원(2015), “초기 치매 의심 노인을 위한 통합적 노인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노인치료연구, 19(3), 95-109.
오병희(2001), “협동놀이를 통한 일반 아동의 특수아동에 대한 수용태도 변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미숙 역(2009), 『놀이치료: 치료관계의 기술』, 서울: 학지사.
이나영(2008), “유아의 협동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전남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순천(2014), “협동적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재·김현나(2007), 『맛있는 레크리에이션』, 서울: 대경북스.
전남희·조원일(2018), “유튜브에 나타난 노인여가 프로그램의 영역별 대상과 기능적 요소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42(8), 43-57.
조용기 역(2010),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서울: 교우사.
조장은(2013), “시각적 흥미를 유발하는 그래픽 디자인: 패러다임을 통한 시각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지선(2005), “인지능력 활성화를 통한 영문법 지도: 귀납적 특성을 통한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은경·강정원(2001), “협력적 동작 표현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1(3), 5-26.
(3) 놀이
놀이는 사람들이 생활하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쉽게 접할 수 있고 놀이를 통해 몰입과 자유로움을 경험하고, 예측할 수 없는 독특한 방법으로 내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 그리고 환경에 반응할 수 있게 한다(신혜원, 2009). 그러므로 놀이는 인간의 성장 발달과정에 중요한 역할뿐만이 아니라, 인간의 삶을 긍정적으로 영위하게 하는데도 필요한 활동이다(유미숙, 2009).
놀이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참여하는 것이 아닌 내부적인 요인으로 참여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놀이는 누군가의 강요나 명령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선택과 욕망으로 수행된다. 이는 타인의 통제를 받기 싫어하는 노년기에 걸 맞는 중요한 특징으로 노인 스스로가 사회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기분을 선사하여, 재사회화의 간접적인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부정적인 정서 상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손화자, 2016).
노인의 긍정적 변화에 놀이가 활용하는 것은 놀이가 가지고 있는 회복적인 힘 때문인데, 이러한 힘으로 인해 놀이는 신체기능의 향상이나 심리치료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박찬옥, 2004). 신혜원(2009)에서 쉐퍼(Schaefer)가 제시한 놀이의 회복적인 요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3> 놀이의 회복적인 요인
공포
극복
반복적인 놀이 경험은 두려움을 감소시킴으로서 새로운 동료들과의 관계 형성이나 낯선 환경으로부터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창조적
사고
놀이를 경험하는 과정 속에 다양한 문제 해결방법을 찾기 위해 다각도로 생각하고 실행하며 많은 시행착오를 겪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창의적인 사고를 갖게 한다.
정화
놀이를 통해 그 동안 표출하지 못했던 강렬한 슬픔이나 불안 같은 감정들을 방출함으로서 정서적인 이완을 하게 된다. 이는 놀이의 대표적인 회복 기능의 하나이다.
환상과
상상
놀이를 통해 유연하고 다양한 상상력을 동원하게 되고 상상을 통해 자신이 처한 현실에서 벗어나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야기를 진행시키며 결과를 만들어낸다. 이를 통해 외로움, 불안, 질투, 공포, 지겨움, 상실 등에서 회복하게 된다.
관계
증진
놀이를 통해 타인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형성하게 됨으로서 남을 이해하고 자신을 사랑하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이는 사회적 은퇴로 인한 사회적 노화를 일정부분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긍정적
정서
놀이가 가진 기본적인 속성으로 긍정적인 정서를 통해 놀이를 하는 동안 즐겁고 행복한 느낌을 갖게 됨으로서 그동안의 다양한 갈등과 스트레스를 잊어버리게 되고 자신 자신을 활성화 하게 한다.
참고문헌
권중돈(2010),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김경화(2007), “경증치매 노인을 위한 몬테소리 프로그램 활용방안”, 한국사회 복지위원회, 3(2), 65-78.
김민정(2016),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수용전념치료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 례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선일(2015), “농업의 가지를 적용한 박물관 교유의 협동학습 연구: 농업박물 관 어린이 농업박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김영옥(2000), “유아의 협동 작업을 위한교수-학습모형 연구: 대안적 학습 형 태의 설계”, 유아교육연구, 20(2), 201-222.
김현나(2015), “치료레크리에이션이 노인의 우울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 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9(1), 112-124.
김홍록(2003), “노인의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위한 복지시설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25, 129-155.
노용구(2006), “노인의 심리 및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0(2), 77-88.
류진희(2000),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신체 활동』, 서울: 양서원.
박선태·최병태·서보준·송은희·김극명·신성일·이은경(2015), 『노인복지론』, 경기: 공동체.
박윤자(2012), “협동적 유아 자연 친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찬옥(2006), 『유아놀이지도』, 서울: 학문사.
손화자(2016), “민요를 통한 노인놀이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효주(2009), “노인특성을 고려한 노인요양시설 치유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혜원(2015), “초기 치매 의심 노인을 위한 통합적 노인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 노인치료연구, 19(3), 95-109.
오병희(2001), “협동놀이를 통한 일반 아동의 특수아동에 대한 수용태도 변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미숙 역(2009), 『놀이치료: 치료관계의 기술』, 서울: 학지사.
이나영(2008), “유아의 협동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전남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순천(2014), “협동적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재·김현나(2007), 『맛있는 레크리에이션』, 서울: 대경북스.
전남희·조원일(2018), “유튜브에 나타난 노인여가 프로그램의 영역별 대상과 기능적 요소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42(8), 43-57.
조용기 역(2010),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서울: 교우사.
조장은(2013), “시각적 흥미를 유발하는 그래픽 디자인: 패러다임을 통한 시각 표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지선(2005), “인지능력 활성화를 통한 영문법 지도: 귀납적 특성을 통한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은경·강정원(2001), “협력적 동작 표현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1(3), 5-2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