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력강화운동
- 근력을 강하게 하기 위한 운동
-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 근육길이가 일정하면서, 근육긴장도가 변하는 운동.
- 등장성 운동(isotonic exercise) : 근육의 긴장도가 일정하면서, 근육의 길이가 변하는 운동 ( ex)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
③ 유산소 운동
- 걷기, 자전거 타기, 줄넘기, 수영하기 등과 같이 산소운반 기능을 향상시키는 운동
- 심혈관기능증진, 체중감소, 피로감소, 피로경감, 안녕증진, 우울과 불안을 경감
④ 오락성 운동
- 수영, 댄스, 걷기, 자전거 타기, 낮은 강도의 에어로빅, 정원 가꾸기
- 사회적 인간관계를 유지, 자존감 증진, 우울 해소
- 부적합한 운동: 달리기, 경보, 높은 강도의 에어로빅, 테니스, 접촉성 운동
⑤ 수중 운동
- 관절에 체중부하가 적어 통증 없이 운동이 가능 →전신의 관절운동이 가능
- 공기보다 물이 600~800배 지지적→ 넘어지는 위험부담이 적음
- 관절강직과 근 경축 예방, 재활효과
- 단체운동이 가능
- 1주일에 3회, 1시간 이상, 6개월 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효과적
8) 간호
(1) 침상안정
① 관절이 피곤하지 않을 정도록 최소시간 동안만 실시
→ 장기간 지속: 뼈의 탈 칼슘화, 근육 힘의 상실, 심폐기능의 저하 유발
② 정상 신체선열( body alignment) 유지: 신체의 굴곡기형 예방
→ 단단한 침요에서 안정
→ 체위를 자주 변경
→ 무릎 밑에 베개를 오랫동안 고여주지 말고, 자주 복위를 취해줌(고관절, 요추의
기형예방)
→ 얕은 베개를 목, 발목에 대주고, 수건을 접어서 팔꿈치에 대줌
(2) 통증관리
① 약물요법
② 열요법- 혈액순환과 진통효과 (습열>건열)
- 파라핀요법
: 녹인 파라핀 용액에 환부를 8~10회 넣었다가 꺼낸 후에 고무봉투로 싸서 열을 보존한 뒤, 20~30분 후에 고무봉투와 파라핀막을 제거
→ 제거 직후에는 조직이 유연해짐.
③ 냉요법- 혈관수축과 대사활동 감소로 출혈과 부종을 감소→ 통증완화
④ 전환요법- 근육이완술, 호흡운동, 대화하기, 독서
⑤ 마사지- 염증상태가 심한 경우, 급성기에는 금기
(3) 영양관리
① 염증반응으로 열량소모가 증가하므로 균형잡힌 음식을 섭취
② 비만- 체중조절을 위한 식이요법을 실시
(← 관절에 과중한 부담을 주게 되면 관절의 통증이나 염증이 악화)
③ 비타민, 칼슘, 무기질의 섭취를 증가
④ 변비예방- 과잉의 단백질은 연동운동을 저하시켜 변비를 유발
(4) 보조기 및 보조기구 사용 격려
① 관절의 변형이나 구축을 예방
② 주어진 범위에서 자가간호, 일상생활 수행을 유지 → 운동효과, 자존감 증진
(5) 심리사회적 간호
① 자신의 감정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 정서적 지지
② 주어진 여건 하에서 긍정적인 생활을 하도록지지
Ⅲ. 결론
지금까지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해 알아보았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치유보다는 예방에 중 점을 두고 간호해야 하며 정규적인 운동과 적절한 조기 진단으로 미리 예방하는 것이 무 엇보다 좋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 근력을 강하게 하기 위한 운동
- 등척성 운동(isometric exercise) : 근육길이가 일정하면서, 근육긴장도가 변하는 운동.
- 등장성 운동(isotonic exercise) : 근육의 긴장도가 일정하면서, 근육의 길이가 변하는 운동 ( ex)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
③ 유산소 운동
- 걷기, 자전거 타기, 줄넘기, 수영하기 등과 같이 산소운반 기능을 향상시키는 운동
- 심혈관기능증진, 체중감소, 피로감소, 피로경감, 안녕증진, 우울과 불안을 경감
④ 오락성 운동
- 수영, 댄스, 걷기, 자전거 타기, 낮은 강도의 에어로빅, 정원 가꾸기
- 사회적 인간관계를 유지, 자존감 증진, 우울 해소
- 부적합한 운동: 달리기, 경보, 높은 강도의 에어로빅, 테니스, 접촉성 운동
⑤ 수중 운동
- 관절에 체중부하가 적어 통증 없이 운동이 가능 →전신의 관절운동이 가능
- 공기보다 물이 600~800배 지지적→ 넘어지는 위험부담이 적음
- 관절강직과 근 경축 예방, 재활효과
- 단체운동이 가능
- 1주일에 3회, 1시간 이상, 6개월 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효과적
8) 간호
(1) 침상안정
① 관절이 피곤하지 않을 정도록 최소시간 동안만 실시
→ 장기간 지속: 뼈의 탈 칼슘화, 근육 힘의 상실, 심폐기능의 저하 유발
② 정상 신체선열( body alignment) 유지: 신체의 굴곡기형 예방
→ 단단한 침요에서 안정
→ 체위를 자주 변경
→ 무릎 밑에 베개를 오랫동안 고여주지 말고, 자주 복위를 취해줌(고관절, 요추의
기형예방)
→ 얕은 베개를 목, 발목에 대주고, 수건을 접어서 팔꿈치에 대줌
(2) 통증관리
① 약물요법
② 열요법- 혈액순환과 진통효과 (습열>건열)
- 파라핀요법
: 녹인 파라핀 용액에 환부를 8~10회 넣었다가 꺼낸 후에 고무봉투로 싸서 열을 보존한 뒤, 20~30분 후에 고무봉투와 파라핀막을 제거
→ 제거 직후에는 조직이 유연해짐.
③ 냉요법- 혈관수축과 대사활동 감소로 출혈과 부종을 감소→ 통증완화
④ 전환요법- 근육이완술, 호흡운동, 대화하기, 독서
⑤ 마사지- 염증상태가 심한 경우, 급성기에는 금기
(3) 영양관리
① 염증반응으로 열량소모가 증가하므로 균형잡힌 음식을 섭취
② 비만- 체중조절을 위한 식이요법을 실시
(← 관절에 과중한 부담을 주게 되면 관절의 통증이나 염증이 악화)
③ 비타민, 칼슘, 무기질의 섭취를 증가
④ 변비예방- 과잉의 단백질은 연동운동을 저하시켜 변비를 유발
(4) 보조기 및 보조기구 사용 격려
① 관절의 변형이나 구축을 예방
② 주어진 범위에서 자가간호, 일상생활 수행을 유지 → 운동효과, 자존감 증진
(5) 심리사회적 간호
① 자신의 감정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 정서적 지지
② 주어진 여건 하에서 긍정적인 생활을 하도록지지
Ⅲ. 결론
지금까지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해 알아보았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치유보다는 예방에 중 점을 두고 간호해야 하며 정규적인 운동과 적절한 조기 진단으로 미리 예방하는 것이 무 엇보다 좋다.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추천자료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case study
[간호학]다발성경화증
류마티스관절염 문헌고찰및 케이스스터디(사진포함)
[성인간호학][Osteomyelitis][골수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치매 case study [요양병원 실습 치매 컨퍼런스 - 문헌고찰 간호과정 간호진단 진단검사까지 ...
성인간호학case study-류마티스 관절염
전고관절대치술 Total Hip replacement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A+
[간호학과] 재활간호학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재활간호학 2021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과제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