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다발성경화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간호력 (NSg.Hx)
 이름(Name) : 한OO, 병실(Ward) : 1407, 나이(Age) : 31세, 성(Sex) : Female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1) 병인론(Pathology)
 (2) 임상증상(Clinical Manifestation)
 (3) 치료(Treatment)및 간호(Nursing care)

3) 대상자의 간호과정(Nursing process for This Case)
 (1) 초기사정자료(Initial Data(간호력))

간호정보 조사지(성인용)

Ⅰ. 사회적 상태 및 병력
Ⅱ. 정신적, 정서적 상태
Ⅲ. 신체적 상태
Ⅳ. 습관

(2) 간호과정(Nursing Process)
#1. 운동장애
#2. 배뇨장애
#3. 피부손상 위험성
#4. 낙상 위험성
#5. 자긍심 저하

(3) 그 외의 가능한 간호진단

4)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ssion)

5) 임상병리적 검사 결과(Lab data)

6) 참고문헌(References)

본문내용

합리적 근거
(Rational)
평가
(evaluation)
·자신의 기분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환자의 privacy를 존중하는 말투와 간호 행위 시 커튼을 사용한다.
·환자와 신뢰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을 환자에게 알려준다.
·환자의 가족들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담이나 교회의 여러 자원을 이용하도록 권장한다.
·보호자와 의료진을 통해 환자가 자긍심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충분한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3) 그 외의 가능한 간호진단
·근긴장도 저하와 관련된 연하장애
·부동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목욕, 화장실)
·역할 변화와 관련된 가족 기능 장애
·장기 입원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지각변화와 관련된 감각 지각 변화
·질병과정 및 대처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피로
·질병의 진행과 관련된 성기능 장애
·활동 부족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4) 투약(Medication and Fluid Admission)
약품명
(Drug used for
the patient/single
dose, frequency)
성인의 표준용량
(Normal dosage
of the drug for
an adult patient)
투약목적
(Purpose of the
medication in the case)
부작용
(Possible side
effect of the
drug)
투약결과
(Result of the
drug including
side effects)
Prednisolone
1일 5-60mg, 1-4분복
내분비장애,류마티스성 장애,교원성 질환,피부질환,알러지성 질환,안과질환,혈액질환,종양성 질환,부종성 질환,신경계 질환,호흡기계 질환,위장관계 질환,기타 결핵성 수막염.
감염증,당뇨병,월경이상,소화성 궤양,위염,정신병조,백혈구 다혈증, 여드름,다모,탈모, 안면홍조,체중증가
부작용 없이 신경 질환 치료를 위해 복용중
Oscal
12세 이상: 1회 1정, 1일 2-3회
임신,수유기,발육기,노년기의 비타민 D 보금,칼슘 결핍 및 기타 칼슘 보급
구역,구토,설사,변비,저혈압,안면홍조,심박불규칙,구역,구토,피부발진
칼슘 보급을 위해 복용중
Folic acid
엽산 결핍증, 타약물 투여로 인한 결핍증 치요: 성인 및 소아에게 1일 0.25-1mg.
엽산결핍증의 예방 및 치료
엽산 보급을 위해 복용중
Baclofen
초회 1회 5mg 1일 3회, 3일 간격으로 1일 3회 1회 5mg씩 증량, 최적용량 1일 30-80mg. 입원환자는 철저한 감독하에 1일 100-120mg가능
경성마비 뇌혈관장애, 뇌성마비,경성척추마비, 척추혈관장애,경부척추증,후종인대골화증,다발성경화증,근위축성 측색경화증,척추소뇌변성증,외상후유증,수술후유증, 기타뇌성질환,기타의 척추병
졸리움,현훈,현기증,정신장애,불면, 운동실조,근긴장 저하,무력감,배뇨장애,심계항진,실신
신경계 질환 치료를 위해 복용중
5) 임상병리적 검사 결과(Lab data)
<>
검사
임상적 의의
2/12
WBC
[4.8-10.4]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혈청병, 순환장애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 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 저하
▲13.30
RBC
[4.2-5.4]
↑-심한설사, 탈수, 급성약중독, 폐섬유증, 다혈구혈증, 이차성 다혈구 혈증
↓-빈혈, 골수기능부전, 용혈성빈혈, 출혈
▼3.49
Hemoglobin
(Hb)[12-16]
↑-COPD, 다혈구혈증, 울혈성 심부전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갑상선기능항진증
▼10.9
Hematocrit
(Hct)[37-47]
↑-적혈구 증가증, 다혈구혈증, 탈수
↓-빈혈, 백혈병, 갑상선기능 항진증, 임신에 의한 용혈성 빈혈, 급성 중증출혈, cirrhosis
▼32.1
Platelet
[130-450]
↑-암, 외상, 만성백혈병, 다혈구혈증, 류마티스관절염, 심장병, 만성췌장염, 경화증, 결핵
↓-감염, 폐렴, 알러지,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암화학요법중, 대형수술후
324
6) 참고문헌(References)
강규숙 외(2001). 기본간호학, 신광출판사
고성희 외(2002). 포켓간호진단가이드, 현문사
서문자 외(2004). 성인간호학上, 수문사
송경애 외(1998). 임상검사와 간호, 수문사
최신임상간호메뉴얼(2004). 현문사
The Lippincott manual of nursing practice(2004). 현문사
www.kimsonline.com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1.1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85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