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신체적 장애와 관련된 조음장애
II. 잘못된 음운과정과 관련된 조음장애
III. 발달마비성조음장애와 실행증
* 참고문헌
II. 잘못된 음운과정과 관련된 조음장애
III. 발달마비성조음장애와 실행증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애 혹은 발달구어실행증(apraxia)의 신호를 보이는 아동들은 안면근육의 근육도가 비정상적이다(한쪽이 다른 한쪽보다 더 심하다).
낮은 근육도는 부드럽고 약간 처지는 얼굴 표정을 만든다. 반면 비정상적으로 높은 근육도는 긴장된 모습을 보이거나 일그러지고 찡그린 얼굴이 될 수도 있다. 어떤 아동은 침을 흘리거나 음식을 먹는 데 문제를 가질 수 있다.
마비성조음장애 아동은 비구어운동이나 말을 빨리하는 데 어려움을 가진다. 이것은 초어를 늦게 습득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아동이 성장해 갈수록 아동의 말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발달구어실행증 아동을 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이 아동들은 발달마비성조음장애의 특징인 운동 문제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실행증은 말소리의 성분을 프로그램화하고 결합하고 연결하는 데 장애를 보이는 것을 말한다(Jaffee, 1984). 단순구어실행증 아동은 언어를 비교적 정상적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근육의 약함이나 마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간단한 말을 모방하지 못한다.
실행증을 가진 아동은 자신의 오류를 인식하고 수정하려 애쓰지만 오히려 자신이 의도하는 것을 상대방이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구어실행증은 전반적인 언어문제라기보다 음소적 문제에 더 가깝다. 그러나 실행증은 수용언어와 표현언어능력에서 불일치를 보인다. 구어실행증 아동은 종종 단단어 수준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다단어 문장을 발화할 수 있을 무렵에도 구어의 운율은 정상적이지 않다.
학령기 이전의 실행증 아동이 다양한 의사소통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언어를 기초로 한 중재와 집중적인 개인치료가 요구된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낮은 근육도는 부드럽고 약간 처지는 얼굴 표정을 만든다. 반면 비정상적으로 높은 근육도는 긴장된 모습을 보이거나 일그러지고 찡그린 얼굴이 될 수도 있다. 어떤 아동은 침을 흘리거나 음식을 먹는 데 문제를 가질 수 있다.
마비성조음장애 아동은 비구어운동이나 말을 빨리하는 데 어려움을 가진다. 이것은 초어를 늦게 습득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아동이 성장해 갈수록 아동의 말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발달구어실행증 아동을 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이 아동들은 발달마비성조음장애의 특징인 운동 문제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실행증은 말소리의 성분을 프로그램화하고 결합하고 연결하는 데 장애를 보이는 것을 말한다(Jaffee, 1984). 단순구어실행증 아동은 언어를 비교적 정상적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근육의 약함이나 마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간단한 말을 모방하지 못한다.
실행증을 가진 아동은 자신의 오류를 인식하고 수정하려 애쓰지만 오히려 자신이 의도하는 것을 상대방이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구어실행증은 전반적인 언어문제라기보다 음소적 문제에 더 가깝다. 그러나 실행증은 수용언어와 표현언어능력에서 불일치를 보인다. 구어실행증 아동은 종종 단단어 수준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다단어 문장을 발화할 수 있을 무렵에도 구어의 운율은 정상적이지 않다.
학령기 이전의 실행증 아동이 다양한 의사소통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언어를 기초로 한 중재와 집중적인 개인치료가 요구된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언어장애와 조음지도
[언어치료 ] 언어치료의 정의, 목적, 대상, 종류, 조음장애와 유창성장애의 치료방법[A+★★★★★]
[언어장애][언어장애치료][언어장애인]언어장애의 정의, 언어장애의 원인과 언어장애의 분류 ...
[언어장애][언어치료][언어장애 정의][언어장애 종류][언어장애 원인][언어장애 출현율][언어...
[조음장애][구개파열][언어치료]조음장애의 원인, 구개파열의 원인, 구개파열의 유형, 구개파...
[조음장애][음운장애][발음장애][조음평가]조음장애(음운장애, 발음장애) 요인, 조음장애(음...
조음장애(발음장애, 음운장애)의 원인, 조음장애(발음장애, 음운장애)와 조음검사, 조음장애(...
[조음][조음의 자질][조음의 구분][조음의 요소][조음의 위치][조음과 조음장애][조음과 조음...
[음성장애세미나] 신경학적 음성장애
★우수자료★[조음助淫장애][발음장애][음운장애]조음장애(발음장애, 음운장애)원인, 조음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