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전 자료 조사
1) 신윤복은 누구이며, 그가 살았던 시대는 어떤 시대였는가?
2) 신윤복과 김홍도의 풍속화 비교
3) 혜원전신첩
2. 감상 후기
1) 신윤복은 누구이며, 그가 살았던 시대는 어떤 시대였는가?
2) 신윤복과 김홍도의 풍속화 비교
3) 혜원전신첩
2. 감상 후기
본문내용
무에 걸터앉아서 눈을 게슴츠레 뜬 채 동물의 짝짓기를 호기심 있게 바라보고 있다. 개인적으로 두 여성의 표정이 굉장히 야릇하다고 느꼈다. 그림 속인물의 표정이 이렇게도 생생하게 다가오는 이유는 아마도 신윤복은 관찰력이 뛰어난 사람이여서 인물의 심리를 잘 파악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부탐춘>
개인적으로 신윤복을 ‘인간의 욕망을 과감하게 표현한 솔직한 화가’라고 평가하고 싶다. <이부탐춘>에서 동물의 짝짓기를 야릇하게 쳐다보는 두 여자를 그렸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 여성이라고 하면, 정조를 지켜야하기 때문에 성적욕망을 드러내서는 안된다는 관념이 있다. 하지만 신윤복은 기존의 유교적 규율을 깬 그림을 그렸다. 여성도 인간이기에 성적욕망이 있다는 것을 솔직하게 드러낸 작품이 <이부탐춘>이라고 생각한다. <단오풍정>에서는 스님의 성적욕망이 나타난다. 냇가에서 목욕하는 여인들을 바위틈에서 훔쳐보는 동자승을 통해서 스님에게도 성적욕망이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신윤복은 인간 본연의 욕망, 특히 성적욕망을 그림 속 인물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했던 것 같다. 이는 조선시대 당시 유교적인 규율에서 어긋난 것이고, 신윤복 그림의 이러한 특징 때문에 현재까지도 사랑받고 있는 것 같다. 또한, 사전 자료 조사내용과 동일한 시대적 상황이 <<혜원전시첩>>에서 나타난다. 18세기에 유흥풍조가 성행하고, 기녀들이 급증한 세태를 반영한 장면이 <<혜원전시첩>>의 대부분 장면에서 드러난다. 30장면 중 다수의 장면이 기녀와 양반의 춘정을 나타낸 것에서 이러한 시대적 상황이 드러난다.
<단오풍정>
개인적으로 <<혜원전신첩>>의 30가지의 장면 중 가장 마음에 들었던 장면은 <월하정인>이다. 우선, 달의 모양과 배치가 마음에 든다. 아래를 향해서 누운 초승달이 남녀의 은밀한 사랑을 더욱 말랑말랑하게 만들어주는 것 같다. 밤하늘의 어두움과 달의 밝음을 나타내는 배경색도 마음에 든다. 그림의 중간이 접힌 형태로 담벼락에 조심스럽게 붙어있는 남녀의 모습도 마음에 든다. 전시회에서 이 그림을 한참 동안 감상했다. 금기된 사랑의 은밀함이 너무 두근거려서 <월하정인>에서 눈을 뗄 수 없었던 것 같다. 나도 이런 은밀한 사랑을 해보고 싶다고 생각을 했다.
<참고자료>
-이나라, 혜원 신윤복, 그는 누구인가, newspeople, 2008
-이한빛, 혜원 풍속도, 겸재의 풍경 디지털을 만나 \'바람을 그리다\',헤럴드 경제, 2017
-네이버 지식백과
<이부탐춘>
개인적으로 신윤복을 ‘인간의 욕망을 과감하게 표현한 솔직한 화가’라고 평가하고 싶다. <이부탐춘>에서 동물의 짝짓기를 야릇하게 쳐다보는 두 여자를 그렸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 여성이라고 하면, 정조를 지켜야하기 때문에 성적욕망을 드러내서는 안된다는 관념이 있다. 하지만 신윤복은 기존의 유교적 규율을 깬 그림을 그렸다. 여성도 인간이기에 성적욕망이 있다는 것을 솔직하게 드러낸 작품이 <이부탐춘>이라고 생각한다. <단오풍정>에서는 스님의 성적욕망이 나타난다. 냇가에서 목욕하는 여인들을 바위틈에서 훔쳐보는 동자승을 통해서 스님에게도 성적욕망이 있다는 것을 드러낸다. 신윤복은 인간 본연의 욕망, 특히 성적욕망을 그림 속 인물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했던 것 같다. 이는 조선시대 당시 유교적인 규율에서 어긋난 것이고, 신윤복 그림의 이러한 특징 때문에 현재까지도 사랑받고 있는 것 같다. 또한, 사전 자료 조사내용과 동일한 시대적 상황이 <<혜원전시첩>>에서 나타난다. 18세기에 유흥풍조가 성행하고, 기녀들이 급증한 세태를 반영한 장면이 <<혜원전시첩>>의 대부분 장면에서 드러난다. 30장면 중 다수의 장면이 기녀와 양반의 춘정을 나타낸 것에서 이러한 시대적 상황이 드러난다.
<단오풍정>
개인적으로 <<혜원전신첩>>의 30가지의 장면 중 가장 마음에 들었던 장면은 <월하정인>이다. 우선, 달의 모양과 배치가 마음에 든다. 아래를 향해서 누운 초승달이 남녀의 은밀한 사랑을 더욱 말랑말랑하게 만들어주는 것 같다. 밤하늘의 어두움과 달의 밝음을 나타내는 배경색도 마음에 든다. 그림의 중간이 접힌 형태로 담벼락에 조심스럽게 붙어있는 남녀의 모습도 마음에 든다. 전시회에서 이 그림을 한참 동안 감상했다. 금기된 사랑의 은밀함이 너무 두근거려서 <월하정인>에서 눈을 뗄 수 없었던 것 같다. 나도 이런 은밀한 사랑을 해보고 싶다고 생각을 했다.
<참고자료>
-이나라, 혜원 신윤복, 그는 누구인가, newspeople, 2008
-이한빛, 혜원 풍속도, 겸재의 풍경 디지털을 만나 \'바람을 그리다\',헤럴드 경제, 2017
-네이버 지식백과
추천자료
'조선인'신윤복을 통해서본 조선사회와 여성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사와 사회교육의 특징 및 사회교육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A+레포트)
(NGO 분석) 한국의 NGO의 특성과 역할, 등장 배경, 사례, 문제점, 나아갈 방향 제언 (다방면 ...
남-북한 뉴스 및 보도 언어 비교분석(A+레포트)
할리 데이비슨 오토바이와 효성 오토바이 비교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제시(A+레포트)
이러닝(e-learning)학습활동(교육활동) 사례, 영어낱말쓰기학습활동(교육활동) 사례, 놀이학...
[단원 김홍도][풍속화][혜원 신윤복]단원 김홍도의 일생,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단원 김홍도...
(A+레포트) 세종시대의 통신수단과 현대시대의 통신수단 비교 및 사례 총체적 조사분석
단원 김홍도의 생애와 김홍도의 풍속화 작품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