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사례에 따른 교육자료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당뇨병(diabetes mellitus. DM) 사례에 따른 교육자료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안00환자의 당뇨관리 문제점
2.안00환자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교육내용

본문내용

속 잠을 자게 되고 식사와 약을 거르는 경우가 많음.
⇒국, 찌개, 젓갈, 김치류는 나트륨함량이 높아 자극적인 식습관임.
당질위주의 빵 같은 식품은 소화를 더욱 방해함.
규칙적인 식습관을 갖고 있지 않음.
휴일마다 생활패턴의 변화로 식사와 약복용의 소홀함을 보임.
2.안00환자의 문제점 개선을 위한 교육내용
-교육내용: 당뇨식이교육, 약물교육, 생활습관(운동) 교육=>포스터이용
-주의사항-
닭고기는 껍질을 제거한 뒤 조리해야한다.
오징어, 닭간, 소간, 새우, 전복, 문어, 곱창, 장어, 계란노른자, 메추리알, 뱀장어는 콜레스테롤이 높은 식품임으로 삼간다.
식욕이 없을 때는 굶지 말고 당질을 국물이나 주스로 섭취한다.
식품은 만복감이 있는 것으로 선택한다.
메트포민은 1일 1회 식사와 함께 혹은 식사 직후 약물복용이 원칙입니다.
부작용으로 오심,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위장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그러므로 식사와 함께 복용하세요. 규칙적인 식사와 복약이 중요합니다.
*당뇨병 환자에게 운동이 좋은 점
혈당의 조절을 돕고 인슐린의 효능을 높여 인슐린의 필요량을 줄일 수 있다.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이 감소된다.
폐기능이 향상된다.
운동으로 인한 말초조직에서의 인슐린 감소작용의 증가효과로 고혈당이 개선되고 약물의 요구량이 감소된다.
*당뇨병 환자가 운동하는 방법
어렵고 강도 높은 운동이 아닌 쉽고 일상적으로 할 수 있는 운동이 좋다.
예를 들어 계단 오르기, 아침체조, 가벼운 산책, 출퇴근길 걸어다니기 등
식전, 식후 어느 시기에 해도 좋다.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식후에 운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운동은 매일 같은 시각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식수 30분에 시작하여 30분~1시간 정도의 운동시간이 적절하다.
운동 시에는 넉넉한 신발을 사용하여 발의 혈액순환에 주의하여야한다.
직장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낮에 근무하고 밤에 취침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불가능하다면 낮에 햇빛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30분정도 야외활동 및 산책을 하고 밤에 근무할 때는 식사와 약을 정확하게 챙기는 것이 가장 중요하 다. 휴일에는 평일과 상반된 생활은 오히려 피로를 증진시킴으로 큰 차이가 없
는 생활을 유지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일곱째판 성인간호학2 / 김금순 외 / 수문사 / 13장 내분비계
대한 당뇨병 학회
중앙대학교 병원 건강칼럼 - 당뇨관리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7.27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34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