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연구계획서의 작성
II. 자료수집
1. 연구참여자
2. 표집방법
3. 자료수집방법
1) 면접
2) 참여관찰
3) 서류와 문서
4. 자료수집의 정도
* 참고문헌
II. 자료수집
1. 연구참여자
2. 표집방법
3. 자료수집방법
1) 면접
2) 참여관찰
3) 서류와 문서
4. 자료수집의 정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없는 내용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개인적 문서와 출간된 자료와의 차이는 구별되어야 한다.
(4) 자료수집의 정도
질적 연구에서 자료수집이 끝나는 시점은 이론적 포화가 되는 시점으로 더 이상의 자료를 통하여 발견하고자 하는 새로운 것이 발견되지 않을 때를 말한다.
Kuzel는 질적 연구에서 자료수집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Kuzel, 1992 ; 신경림 외, 2004 : 143-144).
1/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 발전해 나가는 융통성 있는 자료의 수집
2/ 자료수집 단위의 연속적 선택과 변화
3/ 점차 초점이 맞춰지는 이론적 발달에 의해 유도되는 자료의 수집
4/ 새로운 적절한 자료가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되는 자료의 수집
5/ 반대되거나 이탈된 자료를 찾기 위한 자료의 수집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4) 자료수집의 정도
질적 연구에서 자료수집이 끝나는 시점은 이론적 포화가 되는 시점으로 더 이상의 자료를 통하여 발견하고자 하는 새로운 것이 발견되지 않을 때를 말한다.
Kuzel는 질적 연구에서 자료수집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Kuzel, 1992 ; 신경림 외, 2004 : 143-144).
1/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 발전해 나가는 융통성 있는 자료의 수집
2/ 자료수집 단위의 연속적 선택과 변화
3/ 점차 초점이 맞춰지는 이론적 발달에 의해 유도되는 자료의 수집
4/ 새로운 적절한 자료가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계속되는 자료의 수집
5/ 반대되거나 이탈된 자료를 찾기 위한 자료의 수집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