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b ) 유아교사 창의인성 검사도구를 평정척도 형식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평가b ) 유아교사 창의인성 검사도구를 평정척도 형식으로 구성하고자 한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교육평가
‘유아교사 창의인성’ 검사도구를 평정척도 형식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다음의 내용에 근거하여 과제물을 작성하시오.
1. ‘유아교사 창의인성’ 검사도구의 제작 목적과 이유 제시
2. ‘유아교사 창의인성’ 의 조작적 정의 제시
3. ‘유아교사 창의인성’ 검사도구의 하위요인과 각 하위요인의 정의 제시
4. ‘유아교사 창의인성’ 검사도구의 결과물과 검사도구의 실시 과정 설명
5. ‘유아교사 창의인성’ 검사도구의 동형검사신뢰도 산출과정의 상세한 설명
✽참고: 하위요인별 문항은 4문항 이상이어야 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유아 교사 창의, 인성’ 검사 도구의 제작 목적과 이유 제시
2) 유아 교사 창의, 인성’ 의 조작적 정의 제시
3) 유아 교사 창의, 인성’ 검사 도구의 하위요인과 각 하위요인의 정의 제시
4) 유아 교사 창의, 인성’ 검사 도구의 결과물과 검사 도구의 실시 과정 설명
5) 유아 교사 창의, 인성’ 검사 도구의 동형검사 신뢰도 산출과정의 상세한 설명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1
2
3
4
5
5
7
13
41
34

1
2
3
4
5
12
17
36
19
16

1
2
3
4
5
14
28
31
17
10

1
2
3
4
5
8
11
10
46
25

1
2
3
4
5
16
8
36
18
22

1
2
3
4
5
8
12
40
30
18

1
2
3
4
5
14
34
21
18
13
(단위 : 명)
5) 유아 교사 창의, 인성 검사 도구의 동형검사 신뢰도 산출과정의 상세한 설명
먼저 동형검사 신뢰도라고 하는 것은 같은 집단에 대하여 두 가지의 각각 다른 두 동형검사를 실행한 후 얻은 점수의 상관관계를 의미한다. 검사-재검사의 방법으로 산출한 것보다는 오차의 범위를 줄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검사 신뢰도는 다른 신뢰도 검사보다 낮게 나올 가능성이 크며, 이 신뢰도 추정방법은 다른 방법보다 가장 바람직하며, 높은 신뢰도 계수를 얻었다는 것은 그 검사가 상당히 높은 신뢰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이렇게 동형검사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교사 집단, 그리고 먼저 제시하였던 유아 교사 창의, 인성에 대한 검사지가 두 가지가 필요하게 된다. 물론 창의, 인성 검사지의 형태는 같은 형태로 작성이 되어야 하며, 문항도 같은 문항의 수로 작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번거롭다는 단점과 실시 후에 얻는 높은 신뢰도 계수의 장점은 존재한다.
그리고 이 신뢰도 계수를 측정하는 것에 있어서는 상관계수의 측정이 먼저 필요하며, 상관계수를 측정할 때에는 보통 피어슨의 상관계수 측정법을 주로 사용한다. 이 경우에는 엑셀을 이용하거나 하여 제대로 된 계산이 필요하다.
3. 결론
이렇게 유아 교사의 창의, 인성 검사 도구를 평정척도 방식으로 검사하고, 결과의 값을 산출해보았다. 보통 창의나 인성에 대한 교육을 받고, 자신도 그 방법에 대하여 인지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획을 실질적으로 해본다던가, 또는 자신이 직접 사용해본 적이 드물다고 대답한 항목이 더 많았다. 보통으로 선택한 경우는 물어봤을 때 하는 것 같기는 하지만 확실하게 이 방법이 맞는가 아닌가에 대해서는 자신도 잘 모르거나 애매한 경우라고 한 것이다. 그래서 사실 3번의 ‘보통이다’라는 항목은 사실 애매한 답변이며, 내가 검사지를 이용했을 때 과연 사람들은 3번을 많이 답할까에 대한 것도 염려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검사지의 결과는 이후에도 분석을 계속할 예정이지만, 이 검사지에서도 수정할 것이 많다고 생각했다. 특히 3번의 선택지도 그렇지만, 검사지에 있는 문항도 사실 조정이 많이 필요할 것 같다. 조금 더 세분화를 하여, 창의, 인성 교육의 실현성과 의견을 알아가야겠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교육심리학용어사전(2000), 한국교육심리학회
특수교육학용어사전(2009), 국립특수교육원
교육학용어사전(199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하우동설
논문 “유아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서희전(동명대학교) 김혜정(가천대학교)
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창의 인성교육 인식 연구” 이석순(수원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1.08.20
  • 저작시기202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42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