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 요
2. 과달카날 상륙
3. 일본 1차 공세
4. 동솔로몬 해전
5. 일본 2차 공세
6. 일본 3차 총공세
7. 종합 분석
8. 결 론
2. 과달카날 상륙
3. 일본 1차 공세
4. 동솔로몬 해전
5. 일본 2차 공세
6. 일본 3차 총공세
7. 종합 분석
8. 결 론
본문내용
달카날 상륙
(‘43. 8. 7)
과다카날 상륙(\'42. 8. 7)
1. 美 해병1사단 상륙작전(11,000여명)
가. 전투경과
2. 일본의 반격
가. 항공기 긴급출격(90기)
→ 전력의 약 50% 상실
나. 미국 수송선단 1척 손실
3. 미국의 대응
가. 항모3척의 항공기 99기 출격
→ 약 20% 손실(21기 격추)
나. 미해군은 항모의 안전을
위해 후퇴(8. 8/뉴칼레도니아)
* 미 해병대 고립 및 핸더슨 비행
장은 일본의 공중위협에 노출
※ 상륙작전 성공 배경(항공작전 측면)
- 상륙 전(7.30~8.6) 과달카날 항공폭격 실시, 당일에는 라바울의 일본 항공기지 폭격감행
☞ 일본의 초기 항공력 집중운용 여건 방해 (미국의 과다카날 점령 방치한 결과 야기)
일본군 1차 공세(\'42. 8. 17)
1. 일본군의 반격
가. 이찌기 지대 타이부곶 상륙
- 8. 18 야간 / 주력 1,000명
나. 미국은 방어진지 강화
다. 무모한 야간강습(과도한 자신감)
라. 미국의 압도적인 화력 및 방어망
구축 → 공격 실패(8. 21)
2. 미국의 대응(항공작전 측면)
가. 미해병 항공대, 32대의 항공기가 공중폭격 실시
나. 핸더슨 기지 내의 항공기는 이찌기 지대에 기총 사격 실시
☞ 미 해병대(지상군) + 항공력의 합동작전 운용으로 쉽게 제압
※ 일본은 해군 항공대와 함정을 동원한 육해공 합동작전 미실시 → 작전실패
동 솔로몬 해전(\'42. 8. 24)
1. 일본
가. 전 함대세력 집결 → 과달카날 탈환, 함대결전을 통해 미 함대 격파
나. 제 3함대 주력(나구모 제독), 항공기 176대(항모 3척)
2. 미국
가. 미국은 일본의 계획을 사전에 탐지, 함대를 집결
나. 항공기 177대 참가(항모 2척)
* 미국의 항모는 항공기 탑재능력이 일본에 비해 우세
3. 함대항공전 결과 : 일본 패배
가. 일본 항모 1척 손실, 90여대의 항공기와 수백명의 인명손실
나. 미국은 항모 1척 손상, 17대의 항공기 손실
→ 일본은 수송선단 엄호의지 상실
※ 미국은 조종사들의 활약과 항공기의 우수한 장갑능력 보유로 항공기 손실 최소화
※ 일본은 주간 제해권 약화→야간 수송위주(소규모)로 실시(육·해군간 불신 증대)
※ 미·일 주력 항공기 능력비교
1. 주요 전투기능력 비교
가. 미국 : F4f 와일드 캣 나. 일본 : A6M 제로
강점
- 조종석의 장갑 및 연료탱크의
중장갑 우수(고무층)
- 중무장 및 강하에 뛰어남
약점
- 속도, 선회반경은 상대적으로 부족
→ 정면공격 선호
강점
- 기동성과 선회반경 상대적 우수
약점
- 기체 및 연료탱크 장갑이 약함
→ 선회공격(Dog Fighting) 선호
일본, 2차 공세(\'43. 9. 13)
1. 가와구찌 지대
가. 가와구찌 지대 상륙(타이부, 코콤부나)
- 9. 4 야간 / 약 6,500명
나. 피의 능선지구 접근(3개방향 공격)
다. 9. 13 ~ 14 공격 실패
라. 일본군 후퇴
2. 미국의 대응(항공작전 측면)
가. 미국은 토착민, 수색대 및 항공정찰을 통해 공격의도 사전 파악
나. 피의 능선지대 방어선을 강화하여 격퇴
※ 일본 해군 항공기는 지상군 진격부대와의 협조미흡으로 조기에 공격,
해군의 지원사격은 피아의 구별없이 맹폭 → 일본군 패배
일본 3차 총공세(\'43. 10. 23)
1. 일본의 전세 재인식(대본영)
가. 육·해군 협조된 공격 결정
나. 제17군증강(38사단 증원)
다. 야습이 아닌 정공법 계획(화력바탕)
- 3개제대 편성(동시공격)
라. 미군의 증강(7/164연대 증원)
마. 10. 23 총공격 → 무참히 실패
2. 미국의 대응(항공작전 측면)
가. 미국 항공기에 의한 폭격으로 전력물자 수송선 6척 중 5척 좌초(10.17)
→ 일본은 엄청난 화력을 바탕으로 한 정공법 불가판단, 작전계획 변경(정글우회/기습)
※ 미국 항공기의 전력물자 보급선 폭격으로 일본의 합동작전 시행 저지, 2차
공세와 동일한 전투수행(정글우회, 야습) 강요 → 일본의 패배에 큰 영향
과달카날 전투 종합분석
1. 과달카날 전투의 피해도
구 분
연합군(척수/대수)
일본군(척수/대수)
항공력
항공기
118대
893
해상전력
항모
2
1
전함
0
2
경/중순양함
2/6
1/3
구축함
14
11
잠수함
0
6
2. 전역분석
가. 전략적 : 과달카날의 전략적 가치를 모두 인식(핸더슨 비행장 확보노력)
나. 작전적
1) 일본 : 과달카날에 대한 정보획득 실패, 지상기지 항공기(라바울)는 거리의 한계
2) 미국 : 조기경보체계, 관측요원은 일본항공기 움직임 사전파악/대응, 항공기 소모 강요
다. 전술적
1) 일본 : 과달카날에서의 작전시간 제한(15분), 조기경보체계 미비로 항공우세 달성 불가
2) 미국 : 핸더슨비행장 확보, 과달카날 상공의 제공권 유지, 일본의 해상보급 차단, 일본군의 전력증강 저지
3. 항공력 운용측면
가. 일본의 항공력 운용
1) 미드웨이 해전 패배 이후에도 2배 가량의 항공력 보유
2) 우세한 항공력을 집중하지 못하고 축차적으로 운영 → 제공권 획득에 실패
3) 대량 소모전을 통해 베테랑 승무원을 대부분 상실
→ 이후 미국의 항공력에게 제공권 상실 및 패전
나. 미국의 항공력 운용
1) 전 항모(함재기 탑재)를 집중 운용함으로써, 축차적으로 항공력을 투입한
일본에 대등한 항공력 유지 가능 → 국지적 항공우세 지속 달성
2) 일본에게 항공소모전 강요함으로써 항공력을 감쇄시킴
4) 과달카날 전투 이후 미국은 항공력의 수적우세와 정보의 우세를 바탕으로
제공권 지속 유지,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됨
결 론(합동작전 수행측면의 전쟁결과)
1. 일본의 실패
가. 대본영 육군부 주도의 작전수행 (해군과의 갈등 및 불신)
나. 전투 초반 미군에 비해 상대적 우위의 육·해군 전력보유
→ 효과적인 합동작전운용 미흡
(해군항공대와 함정을 이용한 육·해 합동작전 미실시)
2. 미국의 승리
가. 상대적인 지휘통제 우위
* 작전구상 단계에서 육·해군 대립이 있었으나, 상호 협의/목표 일치 후 작전수행
나. 미 해병대의 상륙작전 수행 여건 보장을 위한 효과적인 항공폭격 수행
질의 / 토의
(‘43. 8. 7)
과다카날 상륙(\'42. 8. 7)
1. 美 해병1사단 상륙작전(11,000여명)
가. 전투경과
2. 일본의 반격
가. 항공기 긴급출격(90기)
→ 전력의 약 50% 상실
나. 미국 수송선단 1척 손실
3. 미국의 대응
가. 항모3척의 항공기 99기 출격
→ 약 20% 손실(21기 격추)
나. 미해군은 항모의 안전을
위해 후퇴(8. 8/뉴칼레도니아)
* 미 해병대 고립 및 핸더슨 비행
장은 일본의 공중위협에 노출
※ 상륙작전 성공 배경(항공작전 측면)
- 상륙 전(7.30~8.6) 과달카날 항공폭격 실시, 당일에는 라바울의 일본 항공기지 폭격감행
☞ 일본의 초기 항공력 집중운용 여건 방해 (미국의 과다카날 점령 방치한 결과 야기)
일본군 1차 공세(\'42. 8. 17)
1. 일본군의 반격
가. 이찌기 지대 타이부곶 상륙
- 8. 18 야간 / 주력 1,000명
나. 미국은 방어진지 강화
다. 무모한 야간강습(과도한 자신감)
라. 미국의 압도적인 화력 및 방어망
구축 → 공격 실패(8. 21)
2. 미국의 대응(항공작전 측면)
가. 미해병 항공대, 32대의 항공기가 공중폭격 실시
나. 핸더슨 기지 내의 항공기는 이찌기 지대에 기총 사격 실시
☞ 미 해병대(지상군) + 항공력의 합동작전 운용으로 쉽게 제압
※ 일본은 해군 항공대와 함정을 동원한 육해공 합동작전 미실시 → 작전실패
동 솔로몬 해전(\'42. 8. 24)
1. 일본
가. 전 함대세력 집결 → 과달카날 탈환, 함대결전을 통해 미 함대 격파
나. 제 3함대 주력(나구모 제독), 항공기 176대(항모 3척)
2. 미국
가. 미국은 일본의 계획을 사전에 탐지, 함대를 집결
나. 항공기 177대 참가(항모 2척)
* 미국의 항모는 항공기 탑재능력이 일본에 비해 우세
3. 함대항공전 결과 : 일본 패배
가. 일본 항모 1척 손실, 90여대의 항공기와 수백명의 인명손실
나. 미국은 항모 1척 손상, 17대의 항공기 손실
→ 일본은 수송선단 엄호의지 상실
※ 미국은 조종사들의 활약과 항공기의 우수한 장갑능력 보유로 항공기 손실 최소화
※ 일본은 주간 제해권 약화→야간 수송위주(소규모)로 실시(육·해군간 불신 증대)
※ 미·일 주력 항공기 능력비교
1. 주요 전투기능력 비교
가. 미국 : F4f 와일드 캣 나. 일본 : A6M 제로
강점
- 조종석의 장갑 및 연료탱크의
중장갑 우수(고무층)
- 중무장 및 강하에 뛰어남
약점
- 속도, 선회반경은 상대적으로 부족
→ 정면공격 선호
강점
- 기동성과 선회반경 상대적 우수
약점
- 기체 및 연료탱크 장갑이 약함
→ 선회공격(Dog Fighting) 선호
일본, 2차 공세(\'43. 9. 13)
1. 가와구찌 지대
가. 가와구찌 지대 상륙(타이부, 코콤부나)
- 9. 4 야간 / 약 6,500명
나. 피의 능선지구 접근(3개방향 공격)
다. 9. 13 ~ 14 공격 실패
라. 일본군 후퇴
2. 미국의 대응(항공작전 측면)
가. 미국은 토착민, 수색대 및 항공정찰을 통해 공격의도 사전 파악
나. 피의 능선지대 방어선을 강화하여 격퇴
※ 일본 해군 항공기는 지상군 진격부대와의 협조미흡으로 조기에 공격,
해군의 지원사격은 피아의 구별없이 맹폭 → 일본군 패배
일본 3차 총공세(\'43. 10. 23)
1. 일본의 전세 재인식(대본영)
가. 육·해군 협조된 공격 결정
나. 제17군증강(38사단 증원)
다. 야습이 아닌 정공법 계획(화력바탕)
- 3개제대 편성(동시공격)
라. 미군의 증강(7/164연대 증원)
마. 10. 23 총공격 → 무참히 실패
2. 미국의 대응(항공작전 측면)
가. 미국 항공기에 의한 폭격으로 전력물자 수송선 6척 중 5척 좌초(10.17)
→ 일본은 엄청난 화력을 바탕으로 한 정공법 불가판단, 작전계획 변경(정글우회/기습)
※ 미국 항공기의 전력물자 보급선 폭격으로 일본의 합동작전 시행 저지, 2차
공세와 동일한 전투수행(정글우회, 야습) 강요 → 일본의 패배에 큰 영향
과달카날 전투 종합분석
1. 과달카날 전투의 피해도
구 분
연합군(척수/대수)
일본군(척수/대수)
항공력
항공기
118대
893
해상전력
항모
2
1
전함
0
2
경/중순양함
2/6
1/3
구축함
14
11
잠수함
0
6
2. 전역분석
가. 전략적 : 과달카날의 전략적 가치를 모두 인식(핸더슨 비행장 확보노력)
나. 작전적
1) 일본 : 과달카날에 대한 정보획득 실패, 지상기지 항공기(라바울)는 거리의 한계
2) 미국 : 조기경보체계, 관측요원은 일본항공기 움직임 사전파악/대응, 항공기 소모 강요
다. 전술적
1) 일본 : 과달카날에서의 작전시간 제한(15분), 조기경보체계 미비로 항공우세 달성 불가
2) 미국 : 핸더슨비행장 확보, 과달카날 상공의 제공권 유지, 일본의 해상보급 차단, 일본군의 전력증강 저지
3. 항공력 운용측면
가. 일본의 항공력 운용
1) 미드웨이 해전 패배 이후에도 2배 가량의 항공력 보유
2) 우세한 항공력을 집중하지 못하고 축차적으로 운영 → 제공권 획득에 실패
3) 대량 소모전을 통해 베테랑 승무원을 대부분 상실
→ 이후 미국의 항공력에게 제공권 상실 및 패전
나. 미국의 항공력 운용
1) 전 항모(함재기 탑재)를 집중 운용함으로써, 축차적으로 항공력을 투입한
일본에 대등한 항공력 유지 가능 → 국지적 항공우세 지속 달성
2) 일본에게 항공소모전 강요함으로써 항공력을 감쇄시킴
4) 과달카날 전투 이후 미국은 항공력의 수적우세와 정보의 우세를 바탕으로
제공권 지속 유지,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됨
결 론(합동작전 수행측면의 전쟁결과)
1. 일본의 실패
가. 대본영 육군부 주도의 작전수행 (해군과의 갈등 및 불신)
나. 전투 초반 미군에 비해 상대적 우위의 육·해군 전력보유
→ 효과적인 합동작전운용 미흡
(해군항공대와 함정을 이용한 육·해 합동작전 미실시)
2. 미국의 승리
가. 상대적인 지휘통제 우위
* 작전구상 단계에서 육·해군 대립이 있었으나, 상호 협의/목표 일치 후 작전수행
나. 미 해병대의 상륙작전 수행 여건 보장을 위한 효과적인 항공폭격 수행
질의 / 토의
추천자료
독도의 가치
[일본][일본 방위산업][일본 방위정책][한국, 일본 군사력 비교][자위대][자위대법]일본의 방...
21세기 한국해군의 항공모함 보유 필요성 고찰
[군사력][한국의 군사력][북한의 군사력][중국의 군사력][일본의 군사력][한국][북한][중국][...
미래전의 양상 (항공전을 중심으로)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개념, 일본교과서, 태평양전쟁(미일전쟁, 대동아전쟁) 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내정방침, 임시연통제, 대한민국임시정부 광복군창설, 인성학교유지운동,...
냉전시대의 일본 방위정책 [전후 일본의 안보환경과 재군비 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