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특정 공포증
1. 공포증의 이해
2. 특정 공포증의 핵심증상
** 특정 공포증의 진단 기준
3. 특정 공포증 여성 사례
4. DSM-5의 특정공포증 4가지 하위유형(공포대상의 종류에 따른 구분)
5. 특정 공포증의 유병률
Ⅱ. 특정 공포증의 원인과 치료
Ⅲ. 광장공포증
1. 광장공포증의 핵심증상
** 광장공포증 진단기준:
2. 특정 공포증과의 차이점
3. 광장공포증의 유병률
Ⅳ. 광장공포증의 원인과 치료
1. 공포증의 이해
2. 특정 공포증의 핵심증상
** 특정 공포증의 진단 기준
3. 특정 공포증 여성 사례
4. DSM-5의 특정공포증 4가지 하위유형(공포대상의 종류에 따른 구분)
5. 특정 공포증의 유병률
Ⅱ. 특정 공포증의 원인과 치료
Ⅲ. 광장공포증
1. 광장공포증의 핵심증상
** 광장공포증 진단기준:
2. 특정 공포증과의 차이점
3. 광장공포증의 유병률
Ⅳ. 광장공포증의 원인과 치료
본문내용
를 느끼며, 그러한 상황에서 당혹스러운 증상이 나타나는 것과 상황을 회피할 수 없다는 것을 두려워함.
2) 반면, 특정 공포증을 지닌 사람은 상황 자체에 의한 손상을 두려워함
예) 비행공포증은 비행기의 추락사고.
**광장공포증 : 특정한 상황에서 공황증상이 나타날 것을 두려워함.
**특정 공포증 : 특정 상황 자체에 의한 손상을 두려워함.
3. 광장공포증의 유병률
1) 측정도구에 따라 0.6%~6%까지 다양하게 보고 됨.
2) 한국인의 경우, 광장 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이 가장 많이 피하는 상황은 대중교통수단(26.2%), 폐쇄된 공간(13.8%), 쇼핑센터(8.7%)의 순서로 나타남.
▶ 광장공포증의 원인과 치료
1. 인지 행동적 입장(두 가지 심리적 요인 제시)
광장공포증을 유발하는 심리적 기제를 분석하면서 공포에 대한 공포이론(fear of fear theory)을 주장.
1) 공포에 대한 공포: 공포의 결과로 유발되는 당혹감과 혼란감, 통제 상실, 졸도, 심장발작, 정신이상에 대한 두려움을 뜻함.
2) 불안을 유발한 선행사건을 잘못 해석하는 경향성. 예) 특정한 상황과 잘못 연결시키는 것.
2. 광장공포증에 대한 통합적인 모델(Barlow, 2002)
1) 광장공포증을 지닌 사람은 쉽게 불안을 경험하는 생물학적, 심리적 취약성을 지님.
2)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하면 과장된 생리적인 공포반응을 경험.
3) 설명할 수 없는 모호한 신체감각을 위험한 것으로 해석하며 신체내적인 단서를 두려워하게 됨.
4) 이러한 두려움은 미래에 다양한 상황에서 원치 않는 신체감각이 발생할 것을 예상하게 만들고 그 결과로 여러 상황을 회피하게 함.
5) 이러한 상황의 회피로 인해서 원치 않는 신체감각에 대한 두려움이 지속되고 이러한 감각이 정말로 해로운 것이라는 믿음을 강화시킴.
6) 이러한 악순환을 통해서 광장공포증 환자는 특정한 상황을 두려워하면서 회피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됨.
3. 광장공포증의 치료
1) 광장공포증은 인지행동치료를 통해서 가장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음.
- 신체감각에 대한 민감성을 둔화시키고 회피행동을 완화시키는 행동 치료적 요소.
- 공포를 강화하는 잘못된 인지과정을 수정하는 인지 치료적 요소
2) 광장공포증은 주로 항우울제를 통해서 완화될 수 있으나 약물치료는 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대신 중단하면 재발률이 높음.
3) 광장공포증은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함께 시행했을 때 가장 큰 치료효과가 나타남.
※ 보충.
▶광장공포증의 원인과 치료
원인 : 특질불안(선천적으로 물려 받은 불안), 부정적 정서성(높은 신경증적 경향성), 불안 민감성
공포에 대한 공포가설
① 공포의 결과로 인해 유발되는 끔찍한 후유증에 대한 두려움
② 불안을 유발한 선행사건의 장소에 대한 잘못된 해석.
심리적요인 아동기의 분리 불안(고립 불안-애착대상과 떨어짐), 아동기 애정결핍
치료 : **항우울제, 항불안제, 효과 빠르지만 재발율 높음.
**점진적인 노출치료(심상적 노출, 실제적 노출) 등 인지행동치료
2) 반면, 특정 공포증을 지닌 사람은 상황 자체에 의한 손상을 두려워함
예) 비행공포증은 비행기의 추락사고.
**광장공포증 : 특정한 상황에서 공황증상이 나타날 것을 두려워함.
**특정 공포증 : 특정 상황 자체에 의한 손상을 두려워함.
3. 광장공포증의 유병률
1) 측정도구에 따라 0.6%~6%까지 다양하게 보고 됨.
2) 한국인의 경우, 광장 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이 가장 많이 피하는 상황은 대중교통수단(26.2%), 폐쇄된 공간(13.8%), 쇼핑센터(8.7%)의 순서로 나타남.
▶ 광장공포증의 원인과 치료
1. 인지 행동적 입장(두 가지 심리적 요인 제시)
광장공포증을 유발하는 심리적 기제를 분석하면서 공포에 대한 공포이론(fear of fear theory)을 주장.
1) 공포에 대한 공포: 공포의 결과로 유발되는 당혹감과 혼란감, 통제 상실, 졸도, 심장발작, 정신이상에 대한 두려움을 뜻함.
2) 불안을 유발한 선행사건을 잘못 해석하는 경향성. 예) 특정한 상황과 잘못 연결시키는 것.
2. 광장공포증에 대한 통합적인 모델(Barlow, 2002)
1) 광장공포증을 지닌 사람은 쉽게 불안을 경험하는 생물학적, 심리적 취약성을 지님.
2) 스트레스 사건을 경험하면 과장된 생리적인 공포반응을 경험.
3) 설명할 수 없는 모호한 신체감각을 위험한 것으로 해석하며 신체내적인 단서를 두려워하게 됨.
4) 이러한 두려움은 미래에 다양한 상황에서 원치 않는 신체감각이 발생할 것을 예상하게 만들고 그 결과로 여러 상황을 회피하게 함.
5) 이러한 상황의 회피로 인해서 원치 않는 신체감각에 대한 두려움이 지속되고 이러한 감각이 정말로 해로운 것이라는 믿음을 강화시킴.
6) 이러한 악순환을 통해서 광장공포증 환자는 특정한 상황을 두려워하면서 회피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됨.
3. 광장공포증의 치료
1) 광장공포증은 인지행동치료를 통해서 가장 효과적으로 치료될 수 있음.
- 신체감각에 대한 민감성을 둔화시키고 회피행동을 완화시키는 행동 치료적 요소.
- 공포를 강화하는 잘못된 인지과정을 수정하는 인지 치료적 요소
2) 광장공포증은 주로 항우울제를 통해서 완화될 수 있으나 약물치료는 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대신 중단하면 재발률이 높음.
3) 광장공포증은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함께 시행했을 때 가장 큰 치료효과가 나타남.
※ 보충.
▶광장공포증의 원인과 치료
원인 : 특질불안(선천적으로 물려 받은 불안), 부정적 정서성(높은 신경증적 경향성), 불안 민감성
공포에 대한 공포가설
① 공포의 결과로 인해 유발되는 끔찍한 후유증에 대한 두려움
② 불안을 유발한 선행사건의 장소에 대한 잘못된 해석.
심리적요인 아동기의 분리 불안(고립 불안-애착대상과 떨어짐), 아동기 애정결핍
치료 : **항우울제, 항불안제, 효과 빠르지만 재발율 높음.
**점진적인 노출치료(심상적 노출, 실제적 노출) 등 인지행동치료
추천자료
[이상심리학] 불안장애의 정의, 원인, 종류, 특징, 치료방안 레포트 (2007년 ★★★★★ 추천 우수...
불안장애의 종류와 설명
불안장애와 신체형 장애에 대해..
불안장애와 신체형 장애에 대해 설명하시오
불안장애 및 기분장애에 관한 미디어에서 논하는 주요쟁점 - 미디어 내용/감상평과 주요 이슈...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 불안장애의 이해, 불안장애의 유형과...
3 이상심리학 [전문상담교사 임용고시]
불안장애 개념 특징 및 불안장애 유형에 따른 원인 증상 치료법 연구
2021년 1학기 이상심리학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광장공포증과 사회불안장애의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