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형 치료의 이해
2. 인형진단평가의 이해
3. 인형진단평가의 해석
2. 인형진단평가의 이해
3. 인형진단평가의 해석
본문내용
고를 표현.
◈ 동물상징체계들이 갖는 풍부하고 다양한 의미체계는 내담자들에게 쉽고 안전 하게 서로에게 향했던 투사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데 도움.
3) 해석
▶ 동물인형의 상징체계 + 내담자 경험 속 동물인형 의미체계
= 자기 인식, 타인 인식, 가족관계 인식, 대인/또래 관계 인식
▶ 상징체계 해석 (동물인형의 8가지 상징체계)
*강함 vs 약함
*독립 vs 의존
*방어 vs 공격
*긍정적 소망 vs 부정적 소망
【 동물인형의 3가지 차원 】
첫째, 가축화된 동물과 야생동물
둘째, 초식동물과 육식동물
셋째, 아니마적 동물과 아니무스적 동물
의미체계
동물인형
가축화된 동물
양, 말 강아지 병아리 젖소 토끼 세파트, 고양이 돼지, 낙타.
→ 사회화, 순응과 복종, 원시적 본능의 통제를 의미.
야생동물
코끼리, 사자 흑표범, 호랑이 멧돼지 상어 코브라 악어 뱀
도마뱀 공룡캥거루, 팬더, 북극곰 버팔로 독수리, 호랑이.
→ 통제할 수 없는 힘, 비사회화, 원시적 자연의 본능
초식동물
코끼리, 캥거루, 팬더, 말, 양, 젖소, 토끼, 버팔로, 낙타.
육식동물
불곰, 흑표범, 사자, 호랑이, 상어, 코브라, 뱀, 악어, 독수리
아니마적 동물
(남성이 지니는 무의식적 여성적 요소)
호랑이, 양, 말, 젖소, 토끼, 캥거루, 코끼리, 조개.
아니무스 동물
(여성이 지니는 무의식적 남성적 요소)
불곰, 흑표범, 사자, 돼지, 뱀, 공룡, 독수리, 버팔로
4)동물왕국의 수 상징체계
◈ 동물왕국을 객관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수의 상징에 대한 기본적 이해 요구.
◈ 기본 전제: 수의 상징체계가 갖고 있는 심리적 정서적차원에서의의미를 탐 구하는 것.
◈ 수는 가장 원시적인 질서의 원형, 의식화된 질서의 원형이다.
◈ 피타고라스학파는 수에 일정한 상징체계가 있음을 알고 있었고, 우주를 이해하는 원리의 핵심으로 보았다 .
【 수의 상징체계 】
수
상징체계
1
수 1이 가진 긍정적인 의미체계는 통일성, 전체성, 안전과 안정감, 창조성, 새로운 시작이다. 반면에 부정적인 의미체계는 단일성(oneness)이 갖는 의미의 한계로 가로막히고 고착되고, 좌절된 느낌, 무기력하고 불안정하고 우울하고 혼란스러운 느낌을 포함하고 있다.
2
수 2가 가진 긍정적인 의미체계는 균형, 죽음과 양의 에너지의 균형 반영, 긍정과 부정의 조화이다. 반면에 부정적인 의미체계는 대극, 분리, 혼란, 갈등, 전쟁의 발생, 분열, 압도당한 느낌, 저항과 반응이다.
3
수 3이 가진 긍정적인 의미체계는 강한 희망의 표현과 창의성, 목표 지향적, 집중, 활동적인, 혁신적인 측면이다. 반면에 부정적인 의미체계는 실패의 감정, 충분한, 만족스럽지 않은, 자기 의심 혹은 교만으로 가득 찬, 팽창된 자아, 참을성 없는, 자기중심적인, 너무 많거나 혹은 너무 적은, 내면의 힘, 야망이다.
4
수 4가 가진 긍정적인 의미체계는 질서의 분화, 수용되는 느낌, 논리와 감정의 균형, 차별화를 나타낸다. 반면에 부정적인 의미체계는 안정감의 부족, 경직성, 지나친 규범과 구조에 대한 강조 등을 나타낸다.
◈ 동물상징체계들이 갖는 풍부하고 다양한 의미체계는 내담자들에게 쉽고 안전 하게 서로에게 향했던 투사를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데 도움.
3) 해석
▶ 동물인형의 상징체계 + 내담자 경험 속 동물인형 의미체계
= 자기 인식, 타인 인식, 가족관계 인식, 대인/또래 관계 인식
▶ 상징체계 해석 (동물인형의 8가지 상징체계)
*강함 vs 약함
*독립 vs 의존
*방어 vs 공격
*긍정적 소망 vs 부정적 소망
【 동물인형의 3가지 차원 】
첫째, 가축화된 동물과 야생동물
둘째, 초식동물과 육식동물
셋째, 아니마적 동물과 아니무스적 동물
의미체계
동물인형
가축화된 동물
양, 말 강아지 병아리 젖소 토끼 세파트, 고양이 돼지, 낙타.
→ 사회화, 순응과 복종, 원시적 본능의 통제를 의미.
야생동물
코끼리, 사자 흑표범, 호랑이 멧돼지 상어 코브라 악어 뱀
도마뱀 공룡캥거루, 팬더, 북극곰 버팔로 독수리, 호랑이.
→ 통제할 수 없는 힘, 비사회화, 원시적 자연의 본능
초식동물
코끼리, 캥거루, 팬더, 말, 양, 젖소, 토끼, 버팔로, 낙타.
육식동물
불곰, 흑표범, 사자, 호랑이, 상어, 코브라, 뱀, 악어, 독수리
아니마적 동물
(남성이 지니는 무의식적 여성적 요소)
호랑이, 양, 말, 젖소, 토끼, 캥거루, 코끼리, 조개.
아니무스 동물
(여성이 지니는 무의식적 남성적 요소)
불곰, 흑표범, 사자, 돼지, 뱀, 공룡, 독수리, 버팔로
4)동물왕국의 수 상징체계
◈ 동물왕국을 객관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수의 상징에 대한 기본적 이해 요구.
◈ 기본 전제: 수의 상징체계가 갖고 있는 심리적 정서적차원에서의의미를 탐 구하는 것.
◈ 수는 가장 원시적인 질서의 원형, 의식화된 질서의 원형이다.
◈ 피타고라스학파는 수에 일정한 상징체계가 있음을 알고 있었고, 우주를 이해하는 원리의 핵심으로 보았다 .
【 수의 상징체계 】
수
상징체계
1
수 1이 가진 긍정적인 의미체계는 통일성, 전체성, 안전과 안정감, 창조성, 새로운 시작이다. 반면에 부정적인 의미체계는 단일성(oneness)이 갖는 의미의 한계로 가로막히고 고착되고, 좌절된 느낌, 무기력하고 불안정하고 우울하고 혼란스러운 느낌을 포함하고 있다.
2
수 2가 가진 긍정적인 의미체계는 균형, 죽음과 양의 에너지의 균형 반영, 긍정과 부정의 조화이다. 반면에 부정적인 의미체계는 대극, 분리, 혼란, 갈등, 전쟁의 발생, 분열, 압도당한 느낌, 저항과 반응이다.
3
수 3이 가진 긍정적인 의미체계는 강한 희망의 표현과 창의성, 목표 지향적, 집중, 활동적인, 혁신적인 측면이다. 반면에 부정적인 의미체계는 실패의 감정, 충분한, 만족스럽지 않은, 자기 의심 혹은 교만으로 가득 찬, 팽창된 자아, 참을성 없는, 자기중심적인, 너무 많거나 혹은 너무 적은, 내면의 힘, 야망이다.
4
수 4가 가진 긍정적인 의미체계는 질서의 분화, 수용되는 느낌, 논리와 감정의 균형, 차별화를 나타낸다. 반면에 부정적인 의미체계는 안정감의 부족, 경직성, 지나친 규범과 구조에 대한 강조 등을 나타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