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반사회성 성격장애란
2.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강력사건 - 반사회성 성격장애 사건
1) 사건 - 데이트 폭력
2) 분류
3) 근거
3.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치료적 접근을 위한 방법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반사회성 성격장애란
2.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강력사건 - 반사회성 성격장애 사건
1) 사건 - 데이트 폭력
2) 분류
3) 근거
3.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치료적 접근을 위한 방법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그 수법과 과정 그리고 범죄적 결과물이 너무나도 끔찍했기에 한국 사회에 엄청난 충격을 던져줬다. 또한 체포 이후에도 죄책감이라고는 눈을 씻어도 찾아볼 수 없는 그의 행동과 취조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늘어놓는 그의 거짓말은 유영철이라는 범죄자를 기존의 흉악범죄자를 구분 짓기에 충분했다.
유영철이 체포된 후에 그에게 진행한 사이코패스 검사인 PCL-R검사에서 유영철이 40점 만점에 34점을 맞았다는 사실이 언론을 통해 퍼져나가면 사이코 패스라는 단어가 점차 대중들에게 노출되어 갔다. 이 때문에 검증되지 않은 허술한 사이코패스 테스트가 인터넷에서 대대적으로 유행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후 2006년 정남규, 2009년 강호순에 의해서 저질러진 사이코패스의 강력범죄가 연속으로 발생하면서 사이코패스는 범죄와는 관련이 없는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할리우드의 스릴러 영화에서만 등장하던 사이코패스라는 소재는 한국영화와 드라마에서도 이질감 없이 쓰이는 소재가 되었다. 이러한 사이코패스에 대한 자료 중 흥미로운 글을 접했다. 사이코패스들은 교화 및 치료가 불가능한 존재이며, 동시에 이들의 뇌는 일반적인 사람들과는 다른 존재라는 글이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강력사건을 찾아 성격장애적 관점에서 가해자의 성격장해를 분류, 근거를 제시하고 치료적 접근을 위한 방법을 기술해 보았다. 반사회성 성격장애에 대해서 한 가지 특기해야 할 사실이 있다. 반사회성 성격장애는 일반 인구보다 반사회성 성격장애 환자들의 일차 친족들 중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입양 연구에서는 유전적, 환경적 요소가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발병 위험도에 다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이는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발현에 있어서 유전적인 요소를 무시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 유전적인 요소가 반사회성 성격장애 발현의 모든 원인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쌍둥이 사이에서도 반사회성 성격장애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이 태어나기도 하기 때문이다.”그저 유전적인 영향으로 반사회성 성격장애자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두는 선에서 그쳐야 한다.
참고문헌
민병배, 유성진 (2009), 성격장애의 인지치료, 학지사.
민성길(2015).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제 2 판). 서울: 학지사.
김정남, 2003,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
유영철이 체포된 후에 그에게 진행한 사이코패스 검사인 PCL-R검사에서 유영철이 40점 만점에 34점을 맞았다는 사실이 언론을 통해 퍼져나가면 사이코 패스라는 단어가 점차 대중들에게 노출되어 갔다. 이 때문에 검증되지 않은 허술한 사이코패스 테스트가 인터넷에서 대대적으로 유행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후 2006년 정남규, 2009년 강호순에 의해서 저질러진 사이코패스의 강력범죄가 연속으로 발생하면서 사이코패스는 범죄와는 관련이 없는 일반인에게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할리우드의 스릴러 영화에서만 등장하던 사이코패스라는 소재는 한국영화와 드라마에서도 이질감 없이 쓰이는 소재가 되었다. 이러한 사이코패스에 대한 자료 중 흥미로운 글을 접했다. 사이코패스들은 교화 및 치료가 불가능한 존재이며, 동시에 이들의 뇌는 일반적인 사람들과는 다른 존재라는 글이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강력사건을 찾아 성격장애적 관점에서 가해자의 성격장해를 분류, 근거를 제시하고 치료적 접근을 위한 방법을 기술해 보았다. 반사회성 성격장애에 대해서 한 가지 특기해야 할 사실이 있다. 반사회성 성격장애는 일반 인구보다 반사회성 성격장애 환자들의 일차 친족들 중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입양 연구에서는 유전적, 환경적 요소가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발병 위험도에 다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이는 반사회성 성격장애의 발현에 있어서 유전적인 요소를 무시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 유전적인 요소가 반사회성 성격장애 발현의 모든 원인이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쌍둥이 사이에서도 반사회성 성격장애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이 태어나기도 하기 때문이다.”그저 유전적인 영향으로 반사회성 성격장애자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두는 선에서 그쳐야 한다.
참고문헌
민병배, 유성진 (2009), 성격장애의 인지치료, 학지사.
민성길(2015).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제 2 판). 서울: 학지사.
김정남, 2003,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
추천자료
(가족폭력) 가정폭력 및 가정폭력방지법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안
무동기범죄
성폭력 위기개입
폭력가족 레포트
최근 청소년과 관련한 사례(학생의 집단따돌림) 해결방안 제시 & 현대사회의 기본적 특성...
성,사랑,사회4B) 여성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겪게 되는 폭력에 대해서 조사한 후 구체적인 사...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강력사건을 찾아 성격장애적 관점에서 가해자의 성격장애를 분류 근...
[성격장애]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는 강력사건을 찾아 성격장애적 관점에서 가해자의 성격장...
[여성복지론] 최근 여성에 대한 이슈 또는 여성문제에 대한 사례를 설명하고 해결책을 논하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