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
2.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의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의
※ 참고문헌
2.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의 이러한 개념이 나에게 주는 함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내 생각과 감정이 곧 나의 참모습이라는 것을 인정하고 그런 참모습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면서 그런 나를 사랑할 수 있다면 그것이 참된 행복이라고 할 수 있다.
나 자신으로부터 Joy(기쁨)와 Peace(평강)을 느꼈다면, 타인에게 Grace(은혜)를 베풀어야 한다. 사랑받으려는 사람보다는 사랑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과 가까운 관계를 형성할 수는 없고 또한,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을 수도 없다. 따라서 내 능력이 되는 만큼의 사랑을 주면 충분하다. 그것이 상대방에 대한 내 마음의 표현이며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사랑이다.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고 여전히 불투명한 것들이 많지만 궁극적으로 나는 행복할 것이다. 나를 사랑하면서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일할 수 있어서 행복하다. 무엇보다 사랑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람들과 함께라서 행복하다.
Grace-Joy-Peace 메커니즘에 의하면 이런 행복을 좌우하는 것이 뇌이다. 즉, 뇌의 화학반응 작용으로 인간의 행복에는 도파민, 세로토닌 등의 호르몬이 관여한다.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을 정리해보면 Grace(은혜)는 뇌의 리듬을 통하여 우리를 변화시킨다. Grace(은혜)는 우리가 Joy를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또한 우리가 Peace(평강) 안에 머물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우리의 뇌를 변화시킨다. joy(기쁨)와 Peace(평강)는 다른 어떤 것도 해낼 수 없는 가장 강력한 영향을 우리에게 미친다.
사람은 자기 자신만을 위해서 살 수 없으며, 사랑을 베풀면서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자기만을 생각한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과 더불어 사람에 의해 살아가는 것이다.
Grace-Joy-Peace 메커니즘의 다양한 개념이 내게 내 삶에 주는 함의는 나는 나를 사랑받는 가치 있는 인간으로 여기면서 나를 사랑하고 또한, 나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을 사랑하면서 서로 상생하는 행복을 누리면서 이들과 좋은 관계를 통해 기쁨과 편강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 참고문헌
하혜숙·강지현(2020).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하혜숙(2020). 상담자가 건네는 말. 에피스테메
Daniel Cervone저, 김정희 역, 심리학개론, 시그마프레스, 2017
천성문·이영순 외 3명(2021),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이수연·김규식 외 2명(2021), 상담심리학, 양성원
나 자신으로부터 Joy(기쁨)와 Peace(평강)을 느꼈다면, 타인에게 Grace(은혜)를 베풀어야 한다. 사랑받으려는 사람보다는 사랑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모든 사람과 가까운 관계를 형성할 수는 없고 또한,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을 수도 없다. 따라서 내 능력이 되는 만큼의 사랑을 주면 충분하다. 그것이 상대방에 대한 내 마음의 표현이며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사랑이다.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고 여전히 불투명한 것들이 많지만 궁극적으로 나는 행복할 것이다. 나를 사랑하면서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일할 수 있어서 행복하다. 무엇보다 사랑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람들과 함께라서 행복하다.
Grace-Joy-Peace 메커니즘에 의하면 이런 행복을 좌우하는 것이 뇌이다. 즉, 뇌의 화학반응 작용으로 인간의 행복에는 도파민, 세로토닌 등의 호르몬이 관여한다.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을 정리해보면 Grace(은혜)는 뇌의 리듬을 통하여 우리를 변화시킨다. Grace(은혜)는 우리가 Joy를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또한 우리가 Peace(평강) 안에 머물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우리의 뇌를 변화시킨다. joy(기쁨)와 Peace(평강)는 다른 어떤 것도 해낼 수 없는 가장 강력한 영향을 우리에게 미친다.
사람은 자기 자신만을 위해서 살 수 없으며, 사랑을 베풀면서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자기만을 생각한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과 더불어 사람에 의해 살아가는 것이다.
Grace-Joy-Peace 메커니즘의 다양한 개념이 내게 내 삶에 주는 함의는 나는 나를 사랑받는 가치 있는 인간으로 여기면서 나를 사랑하고 또한, 나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을 사랑하면서 서로 상생하는 행복을 누리면서 이들과 좋은 관계를 통해 기쁨과 편강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 참고문헌
하혜숙·강지현(2020).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하혜숙(2020). 상담자가 건네는 말. 에피스테메
Daniel Cervone저, 김정희 역, 심리학개론, 시그마프레스, 2017
천성문·이영순 외 3명(2021),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이수연·김규식 외 2명(2021), 상담심리학, 양성원
키워드
추천자료
심리학에게묻다 2018년]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내 마음의 생김새에 등장하는 성격유...
(방송통신대 심리학에게 묻다 중간과제물)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
심리학에게묻다 2021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매커니즘에 대해 설...
2021년 2학기 심리학에게묻다 중간시험과제물 공통(Grace-Joy-Peace 메커니즘)
[심리학에게묻다 1학년 공통]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
(심리학에게묻다 1학년) 『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의 메커니즘에 ...
[2021 심리학에게묻다 1공통][출처표기]『심리학에게 묻다』 강의 교재 9장 Grace-Joy-Peac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