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사정
3. 간호목표
4. 간호중재
5. 이론적 근거
6. 간호평가
2. 간호사정
3. 간호목표
4. 간호중재
5. 이론적 근거
6. 간호평가
본문내용
7.28
PaO2
78mmHg
PaCO2
50mmHg
HCO3-
12mEq/L
혈액검사를 통해 당화혈색소와 전해질 수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ABGA검사를 통해 대사성 산증임을 파악하여, 혈액 내에 H+이 많이 돌아다녀서 산증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I/O check.
- 20분간 250ml output.
DK의 증상으로 다뇨가 있다.
인슐린을 투약한다.
- RI 20 unit SC (Glucose : 458mg/dL)
- RI 15 unit SC (Glucose : 260mg/dL)
- RI 10 unit SC (Glucose : 180mg/dL)
- 인슐린을 투약하여 혈당을 낮춰줌으로써 대사성 산증을 완화시켜준다.
- DK의 증상 중 다뇨로 인해 체액과 전해질이 모두 체외로 빠져나가게 된다. 혈당을 안정시켜줌으로써 다뇨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처방된 수액을 투약한다.
- N/S 1L IV bolus
- NaK 1L IV
- N/S는 탈수 환자에게 많이 사용되는 수액으로 등장성 수액이다.
- 다뇨로 인해 나트륨과 칼륨 전해질이 많이 빠져나가게 된다.
보호자에게 탈수 증상과 징후를 교육한다.
- 탈수 시 입안과 점막이 마르고 소변량이 줄어들며 피부를 집어 올렸을 때 tenting이 나타난다고 교육함.
- 탈수 증상이 나타나면 옆에 있는 콜벨을 사용하여 바로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함.
보호자에게 탈수에 대한 징후 및 증상을 교육시켜 환자의 상태변화에 더 빠르게 대응,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식이요법을 잘 지키도록 교육한다.
-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갑자기 섭취하면 혈당이 급상승하여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함.
혈당의 갑작스러운 증가로 인한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대사성 산증으로 이끌면서 체내의 전해질 수치가 깨지고, 다뇨로 인해 전해질이 체외로 빠져나가게 된다.
간호평가
(간호 목표 및 중재에 대한 평가)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에서 유지됨. (달성)
Na+
140mEq/L
K+
4.5mEq/L
Cl-
99mEq/L
T.Protein
7.0g/dL
<단기목표>
2시간 이내로 혈당수치가 132mg/dL로 떨어짐. (달성)
2시간 이내로 ABGA 수치가 정상범위에 속함. (달성)
pH
7.38
PaO2
85mmHg
PaCO2
42mmHg
HCO3-
24mEq/L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간호중재
I/O check.
- 20분간 250ml output.
DK의 증상으로 다뇨가 있다.
인슐린을 투약한다.
- RI 20 unit SC (Glucose : 458mg/dL)
- RI 15 unit SC (Glucose : 260mg/dL)
- RI 10 unit SC (Glucose : 180mg/dL)
- 인슐린을 투약하여 혈당을 낮춰줌으로써 대사성 산증을 완화시켜준다.
- DK의 증상 중 다뇨로 인해 체액과 전해질이 모두 체외로 빠져나가게 된다. 혈당을 안정시켜줌으로써 다뇨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처방된 수액을 투약한다.
- N/S 1L IV bolus
- NaK 1L IV
- N/S는 탈수 환자에게 많이 사용되는 수액으로 등장성 수액이다.
- 다뇨로 인해 나트륨과 칼륨 전해질이 많이 빠져나가게 된다.
보호자에게 탈수 증상과 징후를 교육한다.
- 탈수 시 입안과 점막이 마르고 소변량이 줄어들며 피부를 집어 올렸을 때 tenting이 나타난다고 교육함.
- 탈수 증상이 나타나면 옆에 있는 콜벨을 사용하여 바로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함.
보호자에게 탈수에 대한 징후 및 증상을 교육시켜 환자의 상태변화에 더 빠르게 대응,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식이요법을 잘 지키도록 교육한다.
-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갑자기 섭취하면 혈당이 급상승하여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함.
혈당의 갑작스러운 증가로 인한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대사성 산증으로 이끌면서 체내의 전해질 수치가 깨지고, 다뇨로 인해 전해질이 체외로 빠져나가게 된다.
간호평가
(간호 목표 및 중재에 대한 평가)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에서 유지됨. (달성)
Na+
140mEq/L
K+
4.5mEq/L
Cl-
99mEq/L
T.Protein
7.0g/dL
<단기목표>
2시간 이내로 혈당수치가 132mg/dL로 떨어짐. (달성)
2시간 이내로 ABGA 수치가 정상범위에 속함. (달성)
pH
7.38
PaO2
85mmHg
PaCO2
42mmHg
HCO3-
24mEq/L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2, 수문사.
PaO2
78mmHg
PaCO2
50mmHg
HCO3-
12mEq/L
혈액검사를 통해 당화혈색소와 전해질 수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ABGA검사를 통해 대사성 산증임을 파악하여, 혈액 내에 H+이 많이 돌아다녀서 산증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I/O check.
- 20분간 250ml output.
DK의 증상으로 다뇨가 있다.
인슐린을 투약한다.
- RI 20 unit SC (Glucose : 458mg/dL)
- RI 15 unit SC (Glucose : 260mg/dL)
- RI 10 unit SC (Glucose : 180mg/dL)
- 인슐린을 투약하여 혈당을 낮춰줌으로써 대사성 산증을 완화시켜준다.
- DK의 증상 중 다뇨로 인해 체액과 전해질이 모두 체외로 빠져나가게 된다. 혈당을 안정시켜줌으로써 다뇨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처방된 수액을 투약한다.
- N/S 1L IV bolus
- NaK 1L IV
- N/S는 탈수 환자에게 많이 사용되는 수액으로 등장성 수액이다.
- 다뇨로 인해 나트륨과 칼륨 전해질이 많이 빠져나가게 된다.
보호자에게 탈수 증상과 징후를 교육한다.
- 탈수 시 입안과 점막이 마르고 소변량이 줄어들며 피부를 집어 올렸을 때 tenting이 나타난다고 교육함.
- 탈수 증상이 나타나면 옆에 있는 콜벨을 사용하여 바로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함.
보호자에게 탈수에 대한 징후 및 증상을 교육시켜 환자의 상태변화에 더 빠르게 대응,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식이요법을 잘 지키도록 교육한다.
-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갑자기 섭취하면 혈당이 급상승하여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함.
혈당의 갑작스러운 증가로 인한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대사성 산증으로 이끌면서 체내의 전해질 수치가 깨지고, 다뇨로 인해 전해질이 체외로 빠져나가게 된다.
간호평가
(간호 목표 및 중재에 대한 평가)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에서 유지됨. (달성)
Na+
140mEq/L
K+
4.5mEq/L
Cl-
99mEq/L
T.Protein
7.0g/dL
<단기목표>
2시간 이내로 혈당수치가 132mg/dL로 떨어짐. (달성)
2시간 이내로 ABGA 수치가 정상범위에 속함. (달성)
pH
7.38
PaO2
85mmHg
PaCO2
42mmHg
HCO3-
24mEq/L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간호중재
I/O check.
- 20분간 250ml output.
DK의 증상으로 다뇨가 있다.
인슐린을 투약한다.
- RI 20 unit SC (Glucose : 458mg/dL)
- RI 15 unit SC (Glucose : 260mg/dL)
- RI 10 unit SC (Glucose : 180mg/dL)
- 인슐린을 투약하여 혈당을 낮춰줌으로써 대사성 산증을 완화시켜준다.
- DK의 증상 중 다뇨로 인해 체액과 전해질이 모두 체외로 빠져나가게 된다. 혈당을 안정시켜줌으로써 다뇨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처방된 수액을 투약한다.
- N/S 1L IV bolus
- NaK 1L IV
- N/S는 탈수 환자에게 많이 사용되는 수액으로 등장성 수액이다.
- 다뇨로 인해 나트륨과 칼륨 전해질이 많이 빠져나가게 된다.
보호자에게 탈수 증상과 징후를 교육한다.
- 탈수 시 입안과 점막이 마르고 소변량이 줄어들며 피부를 집어 올렸을 때 tenting이 나타난다고 교육함.
- 탈수 증상이 나타나면 옆에 있는 콜벨을 사용하여 바로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함.
보호자에게 탈수에 대한 징후 및 증상을 교육시켜 환자의 상태변화에 더 빠르게 대응,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식이요법을 잘 지키도록 교육한다.
-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갑자기 섭취하면 혈당이 급상승하여 당뇨병성 케톤산증으로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함.
혈당의 갑작스러운 증가로 인한 당뇨병성 케톤산증은 대사성 산증으로 이끌면서 체내의 전해질 수치가 깨지고, 다뇨로 인해 전해질이 체외로 빠져나가게 된다.
간호평가
(간호 목표 및 중재에 대한 평가)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에서 유지됨. (달성)
Na+
140mEq/L
K+
4.5mEq/L
Cl-
99mEq/L
T.Protein
7.0g/dL
<단기목표>
2시간 이내로 혈당수치가 132mg/dL로 떨어짐. (달성)
2시간 이내로 ABGA 수치가 정상범위에 속함. (달성)
pH
7.38
PaO2
85mmHg
PaCO2
42mmHg
HCO3-
24mEq/L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2, 수문사.
추천자료
[간호] 당뇨DM 간호과정
모성케이스) 임신성 당뇨(GDM) 간호
[간호과정] 둘째 임신 한 산모 (고혈당, 복부 가스 팽만, 체중증가)
자연분만 간호과정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NSVD 분만실 케이스 case study
NICU) 미숙아 케이스 스터디 A+ (premature baby, CASE, 간호과정, 사례연구)
치질 Hemorrhoid - 치질 케이스 스터디, 치질 case study, 치질 간호과정, 치질 간호진단, He...
폐렴 케이스 스터디 (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
Case study-pnuemonia (폐렴, 케이스, 간호과정, 사례연구)
아동간호학 당뇨병(T1DM) case study, 간호과정1개, 사례포함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당뇨병, 고지혈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