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3. 결론
이상 본론을 통해 확인했듯이 게으름은 그 시대와 문화의 반영이지 절대적인 가치는 아니다. 특히 게으름을 악덕으로 보는 이면에는 가진 자들이 만들어놓은 교묘한 이데올로기가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과거 소수 특권층에게만 부여되었던 게으름의 기회가 구성원 모두에게 제공될 만큼 풍요롭고 편리한 세상에 살고 있다. 그러므로 자신의 무능과 게으름에서 불행의 원인을 찾고 있다면, 버트란트 러셀의 ‘행복해지려면 게을러지라’는 조언도 경청해볼 만하다.
이제 더 이상 뒤로 미루는 습관 때문에 자책하거나 죄책감을 느낄 필요가 없다. 게으름은 새로운 생각을 키워주는 원천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무조건적인 게으름과 부지런함이 바람직하지 않을 뿐 근면과 게으름의 적절한 조화는 “근심과 걱정이 없는 세상”을 뜻하는 ‘하쿠나 마타타’같은 삶을 우리에게 선사할 것이다. 열심히 일해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에서 벗어나 인간의 진정한 자유와 주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오히려 여가가 필요한 것이다.
4. 참고문헌
폴 라파르그 지음(조형준 옮김), 『게으를 수 있는 권리』, 새물결(2013)
버트런드 러셀 지음(송은경 옮김), 게으름에 대한 찬양, 사회평론(2005)
이상 본론을 통해 확인했듯이 게으름은 그 시대와 문화의 반영이지 절대적인 가치는 아니다. 특히 게으름을 악덕으로 보는 이면에는 가진 자들이 만들어놓은 교묘한 이데올로기가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과거 소수 특권층에게만 부여되었던 게으름의 기회가 구성원 모두에게 제공될 만큼 풍요롭고 편리한 세상에 살고 있다. 그러므로 자신의 무능과 게으름에서 불행의 원인을 찾고 있다면, 버트란트 러셀의 ‘행복해지려면 게을러지라’는 조언도 경청해볼 만하다.
이제 더 이상 뒤로 미루는 습관 때문에 자책하거나 죄책감을 느낄 필요가 없다. 게으름은 새로운 생각을 키워주는 원천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무조건적인 게으름과 부지런함이 바람직하지 않을 뿐 근면과 게으름의 적절한 조화는 “근심과 걱정이 없는 세상”을 뜻하는 ‘하쿠나 마타타’같은 삶을 우리에게 선사할 것이다. 열심히 일해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에서 벗어나 인간의 진정한 자유와 주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오히려 여가가 필요한 것이다.
4. 참고문헌
폴 라파르그 지음(조형준 옮김), 『게으를 수 있는 권리』, 새물결(2013)
버트런드 러셀 지음(송은경 옮김), 게으름에 대한 찬양, 사회평론(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