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능평가에 대한 유용성과 한계에 대한 본인의 의견을 말하기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또래들보다 더 어려운 교육과정을 받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성적이 우수하지 못해 결국 지방에 이름없는 4년제 대학에 진학하게 된 것이다. 반면 IQ가 낮아 돌고래, 말미잘 머리라고 불리던 나의 친구는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에 진학하게 되었는데... 현재 그 친구는 국내 굴지의 대기업에 취업하여 높은 연봉을 받고 있다.
지능평가로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것은 완전 쓸모없는 짓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능평가로 IQ가 높게 나온 아이들은 그만큼 교만과 자신감 때문에 학업을 게을리 하게 되고, 반대로 지능평가로 IQ가 낮게 나온 아이들은 열등감과 학업에 따라가지 못할 수도 있다는 긴장감으로 학업에 그만큼 더 집중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과적으로 지능평가는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판단하는데는 도움이 되겠지만 학생들의 학업성취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능평가로 학생들을 수직 서열화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마음높고 편안하게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2. 참고자료
유아용 정서지능 평가도구 (교사평정에 의한) 이영자 저 | 창지사 | 2000.01.11
지능평가로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평가하고 판단하는 것은 완전 쓸모없는 짓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능평가로 IQ가 높게 나온 아이들은 그만큼 교만과 자신감 때문에 학업을 게을리 하게 되고, 반대로 지능평가로 IQ가 낮게 나온 아이들은 열등감과 학업에 따라가지 못할 수도 있다는 긴장감으로 학업에 그만큼 더 집중할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과적으로 지능평가는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판단하는데는 도움이 되겠지만 학생들의 학업성취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능평가로 학생들을 수직 서열화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마음높고 편안하게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2. 참고자료
유아용 정서지능 평가도구 (교사평정에 의한) 이영자 저 | 창지사 | 2000.01.11
키워드
추천자료
다중지능 이론과 교육과정
측정과 척도
[줄기세포][줄기세포연구][배아줄기세포][배아줄기세포연구]줄기세포의 정의, 줄기세포연구의...
강점관점(strength perspective)
다중지능이론(MI이론)의 개념과 종류, 다중지능이론(MI이론) 교수학습의 필요성, 다중지능이...
인간과심리 1B) 지능과 창의성 이론에 대한 비교논의(2개의 이론 비교)
사회복지실천의 강점관점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정신장애 강점관점(strength perspective)
정부와 민간 간 사회복지 역할분담에 대하여 설명하고 인간이 반드시 해야 할 역할을 한 가지...
[정신건강론 4학년 공통] 영유아교사(또는 복지사)가 겪을 수 있는 스트레스에 대해 조사하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