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각국의 퇴비기준 항목
2. 우리나라의 비료퇴비 기준
3. 일본의 퇴비관련 기준
4. 미국의 퇴비관련 기준
5. 캐나다의 퇴비관련 기준
6. 유럽의 퇴비관련 기준
2. 우리나라의 비료퇴비 기준
3. 일본의 퇴비관련 기준
4. 미국의 퇴비관련 기준
5. 캐나다의 퇴비관련 기준
6. 유럽의 퇴비관련 기준
본문내용
allium
none
none
none
none
none
Zinc
2500
2500
2800
150/223
2800
PCBs
10
1
none
none
1. Part 360-4.4 limits for sludge and septage which can be applied to field crops. Also applicable to Class II composts and sludge products, which may not be applied to food chain crops.
2. Part 360-5.3 standards fo Class I composts and sludge products, which may be applied to crops except those for direct human consumption.
3. Part 360-4.4 (g) Amount that may be added over time. Lower number applies to Ag Soil groups 1-3, higher number to groups 4-10. Dose not apply sludge products.
4. Limits for molybdenum were deleted form U.S. EPA rules pending reconsideration.
5. 캐나다의 퇴비관련 기준
▣ 농지이용 하수오니의 함유중금속 최대허용농도
중금속( mg/kg DS)
온타리오주
알버타주
브리티시 컬럼비아
퀘벡주
비소
170
-
75
15(30)
붕소
-
133
-
100(200)
카드늄
34
27
20(25)
10(15)
코발트
340
-
150
50(100)
크롬
2,800
2,000
-
500(1,000)
구리
1,700
2,700
-
600(1,000)
납
1,100
2,000
500(1,000)
300(500)
수은
11
13
5(10)
5(10)
몰리브덴
94
-
20
20(25)
니켈
420
400
180(200)
100(180)
세렌
34
-
14
14(25)
아연
4,200
4,000
1,850(2,500)
1,750(2,500)
▣ 퇴비 등급별 품질 기준
구 분
농 도 코 드
토양축적제한농도
(kg/ha)
비 고
Code 1
Code 2
Code 3
Code 4
규제항목
(ppm)
As
< or = 13
> 13-30
> 30-50
>50
15
-색상 : 갈색, 검정
-실온이상으로 20℃ 이상 재열이 발생이 없을 것.
-무게로 60℃% 이상의 유기물질 감소
Cd
< or = 2.6
> 2.6-5
> 5-20
>20
4
Cr
< or = 210
> 210-250
> 250-800
>800
Co
< or = 26
> 26-50
> 50-300
>300
30
Cu
< or = 100
> or = 100
> 100-500
>500
Pb
< or = 150
> 150-500
> 500-1000
>1000
100
Hg
< or = 0.8
> 0.8-2
> 2-10
>10
1
Mo
< or = 5
> 5-10
> 10-40
>40
4
Ni
< or = 50
> 50-100
> 100-500
>500
Se
< or = 2
> 2.6-3
> 3-10
>10
Zn
< or = 315
> 315-500
> 500-1500
>1500
등급
A Type
B Type
C Type
D Type
기타 원료혼합비
무게비1%이하
무게비2%이하
무게비10%이하
무게비10%이상
사용 용도
농경지, 가정 정원, 원예, 공원, 임업양식 산업외에 높은 품질의 상품을 요구하는 사업에 적용
숲이나 공원 또는 식용으로 활용되지 않는 원예, 양식 사업, 공급의 계약에 대한 제한된 잠재력을 지닌 개간 사업에 사용
상업지역, 공업지역, 제한된 개간사업에 적용
허가된 매립지에 처분
6. 유럽의 퇴비관련 기준
▣ 농지이용 하수오니 및 토양의 중금속의 농도(EC지침)
중금속
토양중의 농도(㎎/㎏ DS)
오니중의 농도
(㎎/㎏ DS)
토양중의 투여최대량
(㎏DS/㏊/년)
토양의 pH 6~7
토양의 pH 7 이상
Cd
1~3
20~40
0.15
Pb
50~300
750~1,200
15.0
Hg
1~1.5
16~25
0.1
Cu
50~140
50~210
1,000~1,750
12.0
Ni
30~75
30~112.5
300~400
3.0
Zn
150~300
150~450
2,500~4,000
30.0
▣ 유럽지역의 퇴비 등급별 품질 기준
구 분
네 덜 란 드
벨 기 에
프 랑 스
Compost
Clean
Compost
Very Clean
Compost
Agriland
Parkland
SSMO
Class A
Class B
As(ppm)
25
15
5
-
-
-
-
-
Cd(ppm)
2
1
0.7
5
1
8
8
3
Cr(ppm)
200
70
50
150
200
70
-
-
Co(ppm)
-
-
-
10
20
-
-
-
Cu(ppm)
300
90
25
100
500
90
-
-
Hg(ppm)
2
0.7
0.2
5
5
0.7
8
8
Mo(ppm)
5
-
-
-
-
-
-
-
Ni(ppm)
50
20
10
50
100
20
200
200
Pb(ppm)
200
120
65
600
1,000
20
200
200
Zn(ppm)
900
280
250
1,000
1,500
280
-
-
Inerts(%)
-
-
-
-
-
-
〈20
〈35
Glass
-
-
-
-
-
-
〈6
〈12
Plastic
-
-
-
-
-
-
〈0.5
〈1.2
ROM(%)
20
20
20
40
40
-
-
-
Particle size(mm)
-
-
-
-
-
-
≤11.2
-
*SSMO : Source Separated Mixed Organic, ROM : Reduction in Organic Matter
▣ 독일의 하수슬러지 및 퇴비중 다이옥신류 기준
하수슬러지
기 준
100 ng Ⅰ-TEQ/kg-건조중량
1986/87년 조사결과
202 ngⅠ-TEQ/kg-건조중량
1990년 조사결과
50~60ngⅠ-TEQ/kg-건조중량
퇴 비
가이드라인
17ngⅠ-TEQ/kg-건조중량
전체 쓰레기
38±22Ⅰ-TEQ/kg-건조중량
유기성쓰레기
14±9Ⅰ-TEQ/kg-건조중량
none
none
none
none
none
Zinc
2500
2500
2800
150/223
2800
PCBs
10
1
none
none
1. Part 360-4.4 limits for sludge and septage which can be applied to field crops. Also applicable to Class II composts and sludge products, which may not be applied to food chain crops.
2. Part 360-5.3 standards fo Class I composts and sludge products, which may be applied to crops except those for direct human consumption.
3. Part 360-4.4 (g) Amount that may be added over time. Lower number applies to Ag Soil groups 1-3, higher number to groups 4-10. Dose not apply sludge products.
4. Limits for molybdenum were deleted form U.S. EPA rules pending reconsideration.
5. 캐나다의 퇴비관련 기준
▣ 농지이용 하수오니의 함유중금속 최대허용농도
중금속( mg/kg DS)
온타리오주
알버타주
브리티시 컬럼비아
퀘벡주
비소
170
-
75
15(30)
붕소
-
133
-
100(200)
카드늄
34
27
20(25)
10(15)
코발트
340
-
150
50(100)
크롬
2,800
2,000
-
500(1,000)
구리
1,700
2,700
-
600(1,000)
납
1,100
2,000
500(1,000)
300(500)
수은
11
13
5(10)
5(10)
몰리브덴
94
-
20
20(25)
니켈
420
400
180(200)
100(180)
세렌
34
-
14
14(25)
아연
4,200
4,000
1,850(2,500)
1,750(2,500)
▣ 퇴비 등급별 품질 기준
구 분
농 도 코 드
토양축적제한농도
(kg/ha)
비 고
Code 1
Code 2
Code 3
Code 4
규제항목
(ppm)
As
< or = 13
> 13-30
> 30-50
>50
15
-색상 : 갈색, 검정
-실온이상으로 20℃ 이상 재열이 발생이 없을 것.
-무게로 60℃% 이상의 유기물질 감소
Cd
< or = 2.6
> 2.6-5
> 5-20
>20
4
Cr
< or = 210
> 210-250
> 250-800
>800
Co
< or = 26
> 26-50
> 50-300
>300
30
Cu
< or = 100
> or = 100
> 100-500
>500
Pb
< or = 150
> 150-500
> 500-1000
>1000
100
Hg
< or = 0.8
> 0.8-2
> 2-10
>10
1
Mo
< or = 5
> 5-10
> 10-40
>40
4
Ni
< or = 50
> 50-100
> 100-500
>500
Se
< or = 2
> 2.6-3
> 3-10
>10
Zn
< or = 315
> 315-500
> 500-1500
>1500
등급
A Type
B Type
C Type
D Type
기타 원료혼합비
무게비1%이하
무게비2%이하
무게비10%이하
무게비10%이상
사용 용도
농경지, 가정 정원, 원예, 공원, 임업양식 산업외에 높은 품질의 상품을 요구하는 사업에 적용
숲이나 공원 또는 식용으로 활용되지 않는 원예, 양식 사업, 공급의 계약에 대한 제한된 잠재력을 지닌 개간 사업에 사용
상업지역, 공업지역, 제한된 개간사업에 적용
허가된 매립지에 처분
6. 유럽의 퇴비관련 기준
▣ 농지이용 하수오니 및 토양의 중금속의 농도(EC지침)
중금속
토양중의 농도(㎎/㎏ DS)
오니중의 농도
(㎎/㎏ DS)
토양중의 투여최대량
(㎏DS/㏊/년)
토양의 pH 6~7
토양의 pH 7 이상
Cd
1~3
20~40
0.15
Pb
50~300
750~1,200
15.0
Hg
1~1.5
16~25
0.1
Cu
50~140
50~210
1,000~1,750
12.0
Ni
30~75
30~112.5
300~400
3.0
Zn
150~300
150~450
2,500~4,000
30.0
▣ 유럽지역의 퇴비 등급별 품질 기준
구 분
네 덜 란 드
벨 기 에
프 랑 스
Compost
Clean
Compost
Very Clean
Compost
Agriland
Parkland
SSMO
Class A
Class B
As(ppm)
25
15
5
-
-
-
-
-
Cd(ppm)
2
1
0.7
5
1
8
8
3
Cr(ppm)
200
70
50
150
200
70
-
-
Co(ppm)
-
-
-
10
20
-
-
-
Cu(ppm)
300
90
25
100
500
90
-
-
Hg(ppm)
2
0.7
0.2
5
5
0.7
8
8
Mo(ppm)
5
-
-
-
-
-
-
-
Ni(ppm)
50
20
10
50
100
20
200
200
Pb(ppm)
200
120
65
600
1,000
20
200
200
Zn(ppm)
900
280
250
1,000
1,500
280
-
-
Inerts(%)
-
-
-
-
-
-
〈20
〈35
Glass
-
-
-
-
-
-
〈6
〈12
Plastic
-
-
-
-
-
-
〈0.5
〈1.2
ROM(%)
20
20
20
40
40
-
-
-
Particle size(mm)
-
-
-
-
-
-
≤11.2
-
*SSMO : Source Separated Mixed Organic, ROM : Reduction in Organic Matter
▣ 독일의 하수슬러지 및 퇴비중 다이옥신류 기준
하수슬러지
기 준
100 ng Ⅰ-TEQ/kg-건조중량
1986/87년 조사결과
202 ngⅠ-TEQ/kg-건조중량
1990년 조사결과
50~60ngⅠ-TEQ/kg-건조중량
퇴 비
가이드라인
17ngⅠ-TEQ/kg-건조중량
전체 쓰레기
38±22Ⅰ-TEQ/kg-건조중량
유기성쓰레기
14±9Ⅰ-TEQ/kg-건조중량
추천자료
음식쓰레기
농업잔재물의 발생처리 및 재활용에 따른 현황분석
우리나라 퇴비관련 법규 및 품질관리 제도의 개선방안
[퇴비][퇴비화][퇴비의 정의][퇴비의 필요성][퇴비의 부숙도평가][퇴비의 품질고급화 방안]퇴...
축산(축산업)과 유기축산, 축산(축산업)과 축산인, 축산(축산업)과 축산업 현황, 축산(축산업...
[일본, 폐기물 자원화, 폐기물 관리, 폐기물 처리방식, 폐기물 재활용기관(CJC)]일본의 폐기...
음식물쓰레기(유기성 폐기물) 사료화기술,퇴비화제도, 음식물쓰레기(유기성 폐기물) 퇴비화시...
약재 시호 조사
[농축산환경학 3학년] 현대농업은 안전한 먹거리 생산과 환경보전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