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공자의 예약교육
● 공자의 예악교육에서 드러나는 미육적 특징
● 공자 사상의 핵심 ‘인’
● 공자의 논어에서의 ‘예악사상’
● 예기의 악기 : 가장 오래되고 깊은 철학이 담긴 동양의 음악이론
● 예악사상과 화해성
● 시–예-악의 교육 (예악교화)
● 예악교화의 통합성
● 조선시대 성균관의 예악교육 : 석전제례악
● 석전제례(釋奠祭禮)란?
● 조선시대 성균관 교육
● 성균관 예약교육의 양상
● 공자의 예악교육에서 드러나는 미육적 특징
● 공자 사상의 핵심 ‘인’
● 공자의 논어에서의 ‘예악사상’
● 예기의 악기 : 가장 오래되고 깊은 철학이 담긴 동양의 음악이론
● 예악사상과 화해성
● 시–예-악의 교육 (예악교화)
● 예악교화의 통합성
● 조선시대 성균관의 예악교육 : 석전제례악
● 석전제례(釋奠祭禮)란?
● 조선시대 성균관 교육
● 성균관 예약교육의 양상
본문내용
이전부터도 학교에서 선성선사(先聖先師)들께 드리던 제사의식이며, 유교의 비조(鼻祖)요 만세종사(萬世宗師)이신 공부자(孔夫子)를 비롯한 유교의 성인과 현인들을 추모하고 그 분들의 위대한 덕을 기리기 위한 행사
● 조선시대 성균관 교육
1. 성리학 전통시대의 특성상 정교일치 교육, 예악일치 교육, 지행합일 교육, 지정의의 조화로운 교육 등을 통해 현실적으로는 수기치인의 관료양성이었지만 이상적으로 추구했던 인간상은 군자가 되는 것이었다.
2. 예악사어서수(=六藝)를 기본으로 익혀야 하는 선비라면 음악이나 활쏘기, 말 타기도 사실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고 세월이 흐르면서 한쪽으로 치중되거나 어느 한쪽이 소홀히 되는 측면들이 생겨났다.
● 성균관 예약교육의 양상
철학적 배경
※ 성균 : 이름자체도 본래 음악교육과 연관이 있는 명칭이다. 성균은 음악의 가락을 맞춘다는 뜻으로 어그러짐을 바로잡아 지나치고 모자람을 고르게 한다는 의미를 지니는데, 음악을 통한 개인과 사회의 변화와 완성을 근본적인 목표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악을 통해 성균관 교육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한 정치, 철학, 교육의 목표는 조화로운 이상사회라고 여기는 대동세계, 즉 태평성대를 이룩한 평화세계를 지향하는 것
예악교육의 실태
※ 정조 : 성균관 교육의 활성화와 함께 음악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직접 주자의 시 415편을 선별해 『아송(雅誦)』이라는 책으로 엮게 하고 성균관 도서관인 존경각(尊經閣)에 소장해두게 했으며, 매달 고강(考講)하는 책으로 삼도록 했다.
공자가 『시경』교육을 중시했는데, 정조는 음악교육을 위해 시(노래)가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주자의 시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을 했던 것이고, 노래 스타일의 암송을 통해 음악교육을 적극적으로 장려한 것이다.
석전제례악에 의한 예악교육
편성악기 중에서 박을 제외하면 모두 아악기이다. 예악사상의 악(樂=陽)을 상징하는 등가(登
架)는 당상에 진설되며, 악기의 편성은 편종, 특종, 편경, 특경, 금, 슬 등으로 이루어지고 노래가 반드시 수반된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노래와 금, 슬이다. 현악기와 문덕을 노래하는 곡이 중심이 되는데, 이유는 노래와 현악기의 울림은 가벼워서 양의 청묘함과 같고 하늘을 상징하는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예악사상의 예(禮=陰)를 상징하는 헌가(軒架)는 당하에 진설되며 관악기로 훈, 지, 적, 약 등이 쓰이고 타악기로 노도, 진고, 축, 어, 부 등이 쓰인다. 무기를 가지고 정벌을 상징하는 무무(武舞)가 따르기 때문에 타악기 소리와 우렁찬 관악기가 장중하게 연주되는 것이다.
4. 교육 교화적 기능
※ 성균관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 (이상적인 군자로서 성장하는 것)
성균관 예악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성균관 유생들이 석전제례악을 통하여 예악을 조화시키고 인격의 수양과 덕성을 함양해서 군자가 되고 사회교화를 달성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성균관 예악교육의 이상은 자신의 심성을 갈고 닦아 조화로운 인간이 되어 국가와 사회를 위해 헌신하고 봉사하는 것이다.
● 조선시대 성균관 교육
1. 성리학 전통시대의 특성상 정교일치 교육, 예악일치 교육, 지행합일 교육, 지정의의 조화로운 교육 등을 통해 현실적으로는 수기치인의 관료양성이었지만 이상적으로 추구했던 인간상은 군자가 되는 것이었다.
2. 예악사어서수(=六藝)를 기본으로 익혀야 하는 선비라면 음악이나 활쏘기, 말 타기도 사실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고 세월이 흐르면서 한쪽으로 치중되거나 어느 한쪽이 소홀히 되는 측면들이 생겨났다.
● 성균관 예약교육의 양상
철학적 배경
※ 성균 : 이름자체도 본래 음악교육과 연관이 있는 명칭이다. 성균은 음악의 가락을 맞춘다는 뜻으로 어그러짐을 바로잡아 지나치고 모자람을 고르게 한다는 의미를 지니는데, 음악을 통한 개인과 사회의 변화와 완성을 근본적인 목표로 삼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악을 통해 성균관 교육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한 정치, 철학, 교육의 목표는 조화로운 이상사회라고 여기는 대동세계, 즉 태평성대를 이룩한 평화세계를 지향하는 것
예악교육의 실태
※ 정조 : 성균관 교육의 활성화와 함께 음악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직접 주자의 시 415편을 선별해 『아송(雅誦)』이라는 책으로 엮게 하고 성균관 도서관인 존경각(尊經閣)에 소장해두게 했으며, 매달 고강(考講)하는 책으로 삼도록 했다.
공자가 『시경』교육을 중시했는데, 정조는 음악교육을 위해 시(노래)가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주자의 시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을 했던 것이고, 노래 스타일의 암송을 통해 음악교육을 적극적으로 장려한 것이다.
석전제례악에 의한 예악교육
편성악기 중에서 박을 제외하면 모두 아악기이다. 예악사상의 악(樂=陽)을 상징하는 등가(登
架)는 당상에 진설되며, 악기의 편성은 편종, 특종, 편경, 특경, 금, 슬 등으로 이루어지고 노래가 반드시 수반된다.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노래와 금, 슬이다. 현악기와 문덕을 노래하는 곡이 중심이 되는데, 이유는 노래와 현악기의 울림은 가벼워서 양의 청묘함과 같고 하늘을 상징하는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예악사상의 예(禮=陰)를 상징하는 헌가(軒架)는 당하에 진설되며 관악기로 훈, 지, 적, 약 등이 쓰이고 타악기로 노도, 진고, 축, 어, 부 등이 쓰인다. 무기를 가지고 정벌을 상징하는 무무(武舞)가 따르기 때문에 타악기 소리와 우렁찬 관악기가 장중하게 연주되는 것이다.
4. 교육 교화적 기능
※ 성균관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 (이상적인 군자로서 성장하는 것)
성균관 예악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성균관 유생들이 석전제례악을 통하여 예악을 조화시키고 인격의 수양과 덕성을 함양해서 군자가 되고 사회교화를 달성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성균관 예악교육의 이상은 자신의 심성을 갈고 닦아 조화로운 인간이 되어 국가와 사회를 위해 헌신하고 봉사하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