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
1. 연구목적 ------------------------------------------- 1
2. 문헌고찰 ------------------------------------------- 1
Ⅱ.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 4
1. 사례연구 기간 --------------------------------------- 4
2. 사례연구 방법 --------------------------------------- 4
Ⅲ. 간호과정 ------------------------------------------- 4
1. 간호사정 --------------------------------------------- 4
2. 간호과정 적용 --------------------------------------- 11
Ⅳ. 결론 및 실습 후 소감 ---------------------------- 15
1. 결론 ------------------------------------------------- 15
2. 실습 후 소감 ---------------------------------------- 15
Ⅴ. 참고문헌 ------------------------------------------- 15
1. 연구목적 ------------------------------------------- 1
2. 문헌고찰 ------------------------------------------- 1
Ⅱ.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 4
1. 사례연구 기간 --------------------------------------- 4
2. 사례연구 방법 --------------------------------------- 4
Ⅲ. 간호과정 ------------------------------------------- 4
1. 간호사정 --------------------------------------------- 4
2. 간호과정 적용 --------------------------------------- 11
Ⅳ. 결론 및 실습 후 소감 ---------------------------- 15
1. 결론 ------------------------------------------------- 15
2. 실습 후 소감 ---------------------------------------- 15
Ⅴ. 참고문헌 ------------------------------------------- 15
본문내용
마다
통증척도를 사정한다.
2. 의식적인 이완, 호흡법을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격려한다.
3. 자주 체위를 변경하게 해준다.
1. NRS 척도는 대상자가 느끼는 통증 정도를 객관적으로 수치화시켜준다.
2. 호흡법은 복부근육의 이완을 촉진시키고 복강의 크기를 증가시켜 수축 시 자궁과 복벽의 마찰로 오는 불편감을 줄여준다.
3. 자주 체위변경을 하게 함으로써 긴장을 풀어주고 편안함을 증진시킨다.
간호수행
1. NRS 척도를 통해 30분마다 통증척도를 사정하였다.
13:00-8 13:30-7 14:00-5 14:30-5
2. 의식적인 이완, 호흡법을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격려하였다.
3. 자주 체위를 변경하게 해주었다.
심스체위, 측위로 변경
간호평가
단기목표 - 달성
: 대상자는 30분 이내에 효과적인 호흡법을 스스로 시행하였다.
장기목표 - 달성
: 대상자는 출산 시까지 통증완화요법에 대해 이해하고 스스로 시행하여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이야기 하였다.
“정말 호흡법과 자세변경을 같이하니까 통증이 감소된 것 같아요.”
간호진단 #2 분만과정과 관련된 불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1. \"아기는 언제 나와요. 오늘 안에 나오나요?\"
2. \"아프기만 하고 아기가 안나올 수도 있나요?\"
3. \"배가 많이 아픈데 아기는 괜찮은건가요?\"
1.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보인다.
2. 얼굴 표정이 어둡고 불안해보인다.
3. 식은땀으로 시트가 젖어있다.
4. 산과력 0-0-0-0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분만진행과정을 이해하고 불안이 경감을 표현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출산 시까지 자신의 능력에 확신감을 갖고 분만 과정에 참여한다.
간호계획
1.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한 감정들을 말로 표현하게 한다.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분만과정과 분만 중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설명해준다.
3. 옆에서 지켜보고 산모를 격려하고 지지해준다.
1. 불안의 정도와 원인을 파악하여 불안을 효율적으로 경감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2. 분만에 관한 지식은 분만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돕는다.
3. 분만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키고 불안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간호수행
1.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한 감정들을 말로 표현하게 하였다.
“아이를 만나는 건 기쁘지만 제가 잘 견딜 수 있을지 분만 도중
아이가 잘못 되지는 않을지 걱정이에요..”
2. 대상자, 보호자에게 분만과정과 분만 중 일어날 수 있는 일들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3. 옆에서 지켜보고 산모를 격려하고 지지해주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부분달성
: 1시간 이내에 분만진행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불안이 경감되었음을 표현하였다.
“분만 과정을 알아서 그나마 안심이에요.”
장기목표 - 달성
: 출산 시까지 자신의 능력에 확신감을 갖고 분만 과정에 참여하였다.
간호진단 #3 분만 중 힘주기와 관련된 신체불편감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1. \"힘을 너무 많이 줘서 팔다리가
너무 아파요.\"
2. \"손이랑 다리가 계속 저리고 아파요.“
3. ”온몸이 뻐근해서 힘이 안들어가요.“
1. 진통 시 힘을 준 후 팔다리에 힘
이 없고 경미한 떨림을 일으켰다.
2. 침상에서 혼자 상체를 세울 수 없
어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하였다.
3. 팔 근육이 단단해지고 손이 퉁퉁
부은 모습을 보였다.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2-3시간 이내에 떨림을 멈춘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출산 시까지 신체적 불편감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1. 산모가 불편감을 느끼는 부위와 신체변화를 사정한다.
2. 따뜻한 수건을 이용해서 근육이 뭉친 부위에 대준다.
3. 보호자에게 옆에서 손으로 산부의 팔과 다리 등 신체부위를 마사지 해줄 수 있도록 설명한다.
산보의 현재 상태를 불편감 호소하는 부위와 이유를 알 수 있다.
2. 더운물 찜질은 혈류 및 림프액 순환을 촉진하고 울혈이 감소한다.
3. 근육을 이완시켜 신체불편감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간호수행
1. 산모가 불편감을 느끼는 부위와 신체변화를 사정하였다.
- 불편감을 느끼는 부위 : 팔, 다리
- 팔, 다리 근육이 단단하고 손, 발의 부종 관찰
2. 따뜻한 수건을 이용해서 근육이 뭉친 부위에 대주었다.
3. 보호자에게 옆에서 손으로 산부의 팔과 다리 등 신체부위를 마사지 해줄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부분달성
: 대상자는 2-3시간 이내에 떨림이 감소되었다.
장기목표 - 부분달성
: 대상자는 출산 시까지 신체적 불편감이 감소되었다고 말하였다.
“확실히 전보다는 감소 된 것 같지만 아직도 팔다리는 쑤시네요.”
Ⅳ. 결론 및 실습 후 소감
이번 모성간호학 실습 사례연구 대상자 김OO님은 초산부로 2019년 3월 29일 오전에 진통을 느껴 병실에서 분만실로 내려오셨고 약 6시간의 분만기전을 거쳐 17시 40분에 정상 분만으로 3.54kg 남아를 출산하였다.
대상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중심으로 증상 완화를 위해 대상자의 현재 상태를 사정하고 사정결과에 따라 적용 가능한 간호과정을 계획해보았다. 계획은 사정적 계획, 치료적 계획, 진단적 계획으로 나누어서 계획하였고 계획을 수행한 결과 대상자는 간호목표를 모두 달성 및 부분달성 하였다.
분만실에서 실습하면서 많은 산모들이 힘겹게 진통을 겪으시고 우시는 모습을 보면서 같이 힘들었지만 태아와 산모에게 아무 문제없이 출산이 끝나면 그만큼 보람도 컸다. 또한 출생하여 이제 막 태어난 신생아를 보고 생명의 신비함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으며, 엄마가 되는 것은 위대한 것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알게 되었다.
Ⅴ. 참고 문헌
정산분만, 국가건강정보포털
정상분만 2017, 의학백과사전, 서울대학교병원
분만 시 준비, 2017, 의학백과사전,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조사,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박영주 외 (2017). 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박영주 외 (2017).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이동숙 외 (2016).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출판사
변영순 외 (2013). 건강사정. 한미의학
통증척도를 사정한다.
2. 의식적인 이완, 호흡법을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격려한다.
3. 자주 체위를 변경하게 해준다.
1. NRS 척도는 대상자가 느끼는 통증 정도를 객관적으로 수치화시켜준다.
2. 호흡법은 복부근육의 이완을 촉진시키고 복강의 크기를 증가시켜 수축 시 자궁과 복벽의 마찰로 오는 불편감을 줄여준다.
3. 자주 체위변경을 하게 함으로써 긴장을 풀어주고 편안함을 증진시킨다.
간호수행
1. NRS 척도를 통해 30분마다 통증척도를 사정하였다.
13:00-8 13:30-7 14:00-5 14:30-5
2. 의식적인 이완, 호흡법을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격려하였다.
3. 자주 체위를 변경하게 해주었다.
심스체위, 측위로 변경
간호평가
단기목표 - 달성
: 대상자는 30분 이내에 효과적인 호흡법을 스스로 시행하였다.
장기목표 - 달성
: 대상자는 출산 시까지 통증완화요법에 대해 이해하고 스스로 시행하여
통증이 경감되었다고 이야기 하였다.
“정말 호흡법과 자세변경을 같이하니까 통증이 감소된 것 같아요.”
간호진단 #2 분만과정과 관련된 불안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1. \"아기는 언제 나와요. 오늘 안에 나오나요?\"
2. \"아프기만 하고 아기가 안나올 수도 있나요?\"
3. \"배가 많이 아픈데 아기는 괜찮은건가요?\"
1.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보인다.
2. 얼굴 표정이 어둡고 불안해보인다.
3. 식은땀으로 시트가 젖어있다.
4. 산과력 0-0-0-0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1시간 이내에 분만진행과정을 이해하고 불안이 경감을 표현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출산 시까지 자신의 능력에 확신감을 갖고 분만 과정에 참여한다.
간호계획
1.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한 감정들을 말로 표현하게 한다.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분만과정과 분만 중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설명해준다.
3. 옆에서 지켜보고 산모를 격려하고 지지해준다.
1. 불안의 정도와 원인을 파악하여 불안을 효율적으로 경감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한다.
2. 분만에 관한 지식은 분만에 대한 두려움을 제거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도록 돕는다.
3. 분만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키고 불안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간호수행
1.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한 감정들을 말로 표현하게 하였다.
“아이를 만나는 건 기쁘지만 제가 잘 견딜 수 있을지 분만 도중
아이가 잘못 되지는 않을지 걱정이에요..”
2. 대상자, 보호자에게 분만과정과 분만 중 일어날 수 있는 일들에 대해
설명해주었다.
3. 옆에서 지켜보고 산모를 격려하고 지지해주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부분달성
: 1시간 이내에 분만진행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불안이 경감되었음을 표현하였다.
“분만 과정을 알아서 그나마 안심이에요.”
장기목표 - 달성
: 출산 시까지 자신의 능력에 확신감을 갖고 분만 과정에 참여하였다.
간호진단 #3 분만 중 힘주기와 관련된 신체불편감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1. \"힘을 너무 많이 줘서 팔다리가
너무 아파요.\"
2. \"손이랑 다리가 계속 저리고 아파요.“
3. ”온몸이 뻐근해서 힘이 안들어가요.“
1. 진통 시 힘을 준 후 팔다리에 힘
이 없고 경미한 떨림을 일으켰다.
2. 침상에서 혼자 상체를 세울 수 없
어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하였다.
3. 팔 근육이 단단해지고 손이 퉁퉁
부은 모습을 보였다.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2-3시간 이내에 떨림을 멈춘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출산 시까지 신체적 불편감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1. 산모가 불편감을 느끼는 부위와 신체변화를 사정한다.
2. 따뜻한 수건을 이용해서 근육이 뭉친 부위에 대준다.
3. 보호자에게 옆에서 손으로 산부의 팔과 다리 등 신체부위를 마사지 해줄 수 있도록 설명한다.
산보의 현재 상태를 불편감 호소하는 부위와 이유를 알 수 있다.
2. 더운물 찜질은 혈류 및 림프액 순환을 촉진하고 울혈이 감소한다.
3. 근육을 이완시켜 신체불편감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간호수행
1. 산모가 불편감을 느끼는 부위와 신체변화를 사정하였다.
- 불편감을 느끼는 부위 : 팔, 다리
- 팔, 다리 근육이 단단하고 손, 발의 부종 관찰
2. 따뜻한 수건을 이용해서 근육이 뭉친 부위에 대주었다.
3. 보호자에게 옆에서 손으로 산부의 팔과 다리 등 신체부위를 마사지 해줄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부분달성
: 대상자는 2-3시간 이내에 떨림이 감소되었다.
장기목표 - 부분달성
: 대상자는 출산 시까지 신체적 불편감이 감소되었다고 말하였다.
“확실히 전보다는 감소 된 것 같지만 아직도 팔다리는 쑤시네요.”
Ⅳ. 결론 및 실습 후 소감
이번 모성간호학 실습 사례연구 대상자 김OO님은 초산부로 2019년 3월 29일 오전에 진통을 느껴 병실에서 분만실로 내려오셨고 약 6시간의 분만기전을 거쳐 17시 40분에 정상 분만으로 3.54kg 남아를 출산하였다.
대상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중심으로 증상 완화를 위해 대상자의 현재 상태를 사정하고 사정결과에 따라 적용 가능한 간호과정을 계획해보았다. 계획은 사정적 계획, 치료적 계획, 진단적 계획으로 나누어서 계획하였고 계획을 수행한 결과 대상자는 간호목표를 모두 달성 및 부분달성 하였다.
분만실에서 실습하면서 많은 산모들이 힘겹게 진통을 겪으시고 우시는 모습을 보면서 같이 힘들었지만 태아와 산모에게 아무 문제없이 출산이 끝나면 그만큼 보람도 컸다. 또한 출생하여 이제 막 태어난 신생아를 보고 생명의 신비함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었으며, 엄마가 되는 것은 위대한 것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알게 되었다.
Ⅴ. 참고 문헌
정산분만, 국가건강정보포털
정상분만 2017, 의학백과사전, 서울대학교병원
분만 시 준비, 2017, 의학백과사전,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조사, 의약품사전, 약학정보원
박영주 외 (2017). 여성건강간호학1. 현문사
박영주 외 (2017). 여성건강간호학2. 현문사
이동숙 외 (2016).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포널스출판사
변영순 외 (2013). 건강사정. 한미의학
추천자료
NSVD - 분만과정 및 간호
모성케이스스터디- 정상자연분만(NSVD)
모성간호학 case study-정상자연분만(NSVD)-
[모성간호학] 자연분만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케이스 CASE
[모성간호학][자연분만][NSVD][PROM]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A+ 케이스스터디] A+맞은 모성간호학 NSVD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자연분만)...
여성간호학 모성간호학 자연분만 케이스 스터디(문헌고찰, 흡인만출, 간호진단 등 포함)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 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모성케이스, 여성간호학 case, A+++, ...
모성 case study 자연분만 NSV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