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영화 <델타 보이즈>의 등장 캐릭터 중 1명을 선택하여
(1) ‘캐릭터의 재현 방식’에 대해 분석적으로 서술한다.
분석 항목은 ‘캐릭터의 재현 방식’ 중 간접 제시 방식의 항목(행위, 말의 형식적인 면, 말의 내용적인 면, 외모, 환경)들을 활용한다.
(2) 보고서 형식은 3단 구성(1.서론-2.본론-3.결론)으로 하되, 본론의 각 절에서는 내용을 대표하는 소제목을 활용한다.
- 결론 다음에 작성에 참고한 참고문헌 2개 이상 반드시 기재한다.
1. 서론
2. 본론
1) <델타 보이즈>
2) 캐릭터 분석 이론
3) <델타 보이즈>의 일록
(1) 외형적 특성
(2) 언어적 요소
(3) 행위
(4) 환경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캐릭터의 재현 방식’에 대해 분석적으로 서술한다.
분석 항목은 ‘캐릭터의 재현 방식’ 중 간접 제시 방식의 항목(행위, 말의 형식적인 면, 말의 내용적인 면, 외모, 환경)들을 활용한다.
(2) 보고서 형식은 3단 구성(1.서론-2.본론-3.결론)으로 하되, 본론의 각 절에서는 내용을 대표하는 소제목을 활용한다.
- 결론 다음에 작성에 참고한 참고문헌 2개 이상 반드시 기재한다.
1. 서론
2. 본론
1) <델타 보이즈>
2) 캐릭터 분석 이론
3) <델타 보이즈>의 일록
(1) 외형적 특성
(2) 언어적 요소
(3) 행위
(4) 환경
3. 결론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환경이며 미국에서 온 절친 예건이 나타난 뒤에야 누군가와 일상을 함께 한다. 중창단 결성 후 사실을 알아챈 매형이 쓸모 있는 사람이 되라며 자신을 나무라자 분노를 표출하며 가출을 감행하는데 이 이후에는 아는 형의 창고로 사용되는 옥탑방에 기거하며 어려운 생활을 이어 간다. 씻을 수 있는 시설조차 마땅치 않은 환경에서 색색의 클립을 구부려 만든 ‘Delta Boys’라는 명패를 소중히 여기는 모습은 환경 요소를 통해 일록 캐릭터의 감정선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영화에는 옥상 빨랫줄에 걸린 거울이 주요 모티프로 등장하는데 일록이 거울이 바라볼 때는 뺨을 때리며 자책할 때, 누나와의 통화에서 다툼을 벌일 때이다. 일록의 얼굴이 비치는 거울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일록의 감정상 갈등도 시각적으로 암시된다.
3. 결론
<델타 보이즈>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안고 있는 어딘지 부족한 네 명의 캐릭터가 모여서 남성 4중주 중창단을 결성하고 대회를 준비하는 짧은 과정을 보여주는 영화로 소소히 발생되는 문제들과 갈등을 제외하면 특별한 서사 구조가 관찰되지 않는다.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꿈을 포기하지 않는 의지의 중요성이라는 함축적인 영화의 주제를 관객에게 온전히 전달하는 주체는 개성 있게 구축된 네 명의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자신감이 없고 나약한 존재였으나 주도적으로 중창단의 결성에 참여하고 성장하는 일록, 여유롭고 해외 생활을 해본 엘리트라는 점을 과시하지만 외국과 한국 그 어느 곳에서도 제대로 쓰이지 못하는 예건, 노래라는 꿈에 전적으로 매달려 열정을 불태우는 대용, 아내와의 현실적 갈등으로 갈팡질팡하지만 내면으로는 노래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준세, 멍청하고 무능하고 지나치게 허술하지만 밉지 않은 캐릭터들의 향연을 바라보면서 극영화에서 캐릭터의 힘과 분석의 중요성을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이종현, 임대근, 「‘트랜스 아이덴티티’ 스토리텔링으로 분석한 한국영화 여성 캐릭터 연구 ―영화 <친절한 금자씨>와 <마더>를 중심으로―」,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15, pp. 209-229, 2019.
2) 시모어 채트먼 저/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995.
3) Propp, V., 『Morpology of the Folktale』, University of Texas Press, 1968/1990.
4) Todorov, T., 『The Poetics of Prose』, Oxford: Blackwell, 1971/1977.
5) Barthes, R., 『S/Z: An essay (R. Miller Trans)』, New York: Hill and Wang, (Original work published 1974), 1991.
6) Chatman, S., 『Story and Discourse』,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1993.
7) 조진희, 「한일 공동제작 초국적 로맨스 영화의 내러티브 전략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7), 2016.
3. 결론
<델타 보이즈>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안고 있는 어딘지 부족한 네 명의 캐릭터가 모여서 남성 4중주 중창단을 결성하고 대회를 준비하는 짧은 과정을 보여주는 영화로 소소히 발생되는 문제들과 갈등을 제외하면 특별한 서사 구조가 관찰되지 않는다. 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꿈을 포기하지 않는 의지의 중요성이라는 함축적인 영화의 주제를 관객에게 온전히 전달하는 주체는 개성 있게 구축된 네 명의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자신감이 없고 나약한 존재였으나 주도적으로 중창단의 결성에 참여하고 성장하는 일록, 여유롭고 해외 생활을 해본 엘리트라는 점을 과시하지만 외국과 한국 그 어느 곳에서도 제대로 쓰이지 못하는 예건, 노래라는 꿈에 전적으로 매달려 열정을 불태우는 대용, 아내와의 현실적 갈등으로 갈팡질팡하지만 내면으로는 노래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준세, 멍청하고 무능하고 지나치게 허술하지만 밉지 않은 캐릭터들의 향연을 바라보면서 극영화에서 캐릭터의 힘과 분석의 중요성을 새삼 깨달을 수 있었다.
4.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이종현, 임대근, 「‘트랜스 아이덴티티’ 스토리텔링으로 분석한 한국영화 여성 캐릭터 연구 ―영화 <친절한 금자씨>와 <마더>를 중심으로―」,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15, pp. 209-229, 2019.
2) 시모어 채트먼 저/김경수 역,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995.
3) Propp, V., 『Morpology of the Folktale』, University of Texas Press, 1968/1990.
4) Todorov, T., 『The Poetics of Prose』, Oxford: Blackwell, 1971/1977.
5) Barthes, R., 『S/Z: An essay (R. Miller Trans)』, New York: Hill and Wang, (Original work published 1974), 1991.
6) Chatman, S., 『Story and Discourse』,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1993.
7) 조진희, 「한일 공동제작 초국적 로맨스 영화의 내러티브 전략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7), 2016.
추천자료
현대의 신화 [프랑켄슈타인]
만화 “궁”과 드라마 “궁”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
스타 매니지먼트의 개념, 유래, 연예, 마케팅 성공사례, 성공요인, 전략, 경영, 마케팅, 변화...
[내러티브, 내러티브 의미, 내러티브 구조, 내러티브 유추, 내러티브 추론, 내러티브 구조주...
일본 애니일본 애니메이션메이션
현대의서양문화4C)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은 대중문화를 활용하여 현대 서양문화를 반영하고 있...
(인간과사회 A형)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를 하나 골라서 사회학적 상상력과 분...
2021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영화나 드라마의 의례적인 상황과 의미)
2021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영화나 드라마의 의례적인 상황과 의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