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에 드러난 다성성 비교분석 - 황병승, 이장욱, 김언의 시를 비교분석하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시에 드러난 다성성 비교분석 - 황병승, 이장욱, 김언의 시를 비교분석하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 현대시 동향 개요

1. 분리할 수 있지만 분별할 수 없는 목소리 - 황병승 시 분석 <부식철판>

2. 혼화된 목소리 - 이장욱 시 분석 <오늘의 날씨>

3. 공백의 목소리 - 김언 시 분석 <유령-되기>

정리하며 - 타자화된 주체로부터 발생하는 목소리 의의 및 정리

본문내용

자라는 사건의 층위에서 입증되지 않고 오로지 ‘말’을 적는 기록에서 비롯된다. 그 말은 ‘허공’과 ‘바닥’, ‘흙발’과 ‘진흙발’ 어느 곳으로도 편향되지 않고 개인이라는 특정한 인격, 개성에 함몰되는 것이 아닌 ‘공기’ 즉 주변의 환경과 어떤 세태의 동요가 생길 때 자연스레 ‘나도 따라 걷게’ 되는 비특정, 비인칭적인 특성으로 간주된다. 그 말은 ‘유령’처럼 제 자신을 ‘누군가’ 라고 호명한다. 이처럼 자신이 모호한 위치에 선 존재임을 밝힘으로써 자신은 어떤 행렬과 움직임 속에 그저 ‘흘러 다니’게 되는, 주체성 없는 주체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체는 오로지 텍스트, 즉 기록된 산물에서만 존재하게 되고 그 목소리들은 화자의 실체를 적극 부정함으로써, 화자의 부수물이 아닌, 텅 빈 존재임을 부재-주인없음-로서 인증받는다.
정리하며
간단히 정리하자면 황병승의 시는 이질적인 목소리가 시각적인 기호로 분별되어 타자성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고 이장욱의 시는 목소리의 주인이 한정된 범위 안에서 특정 지을 수 없음을 특징으로 모호성을 그려내고 있다. 김언의 경우에는 ‘인칭’을 제거하여 목소리만 남게 되는 특이한 현상을 보이는데 위 세 시인의 균열된 목소리는 바흐친에 의하면 단순한 어법과 기교에서 빚어지는 외형적인 차이가 아니라 한 자아상에 담긴, 자아와 타자의 상호관계에 대한 인식과 사유로 말미암은 내적 결과라는 것이다.
타자는 나에게는 불가능한 차원에 다가갈 수 있는 자로서, 나보다 더 많이 보는 자이며 더 많이 아는 자이다. 타자의 비밀, 그것은 더 많은 봄과 앎에서 연유하는 식견의 잉여에서 나온다. 타자는 나와의 관계를 통해 정의되지만 나에 의해 포획되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나를 넘어선 존재다. 그런 의미에서 주체의 자유란 실상 내가 내 삶을 종결지을 수 없다는 무능력을 가장하는 말이다. 역설적이지만 그러한 무능력으로부터 윤리가 생겨나고 목소리가 발화된다. 타자의 보충이 없는 한 나는 결코 나 자신을 규정할 수 없다. 나의 삶은 내가 처음부터 끝까지 관장할 수 없다. 미리 보고 알 수 있다면 어떠한 자유로운 선택도 할 수 없을 것이다. 이미 결정된 결과를 ‘반복’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 경우 삶은 그 어떤 고민이나 심각한 결단도 가소로운 연극에 불과할 것이다. 내가 나에게 부여하는 주체성은 타자의 개입에 의해 사건화되는 미래의 주체성과 일치하지 않으며 오직 이러한 불일치로부터만 나는 행위할 수 있다. 요컨대 ‘나=나’의 동일성을 무너뜨리는 고리는 타자에게 있고, 타자성이야말로 삶과 행위, 윤리의 근거가 된다. 최근 현대 시의 경향은 이와 같은 타자의 속성을 짙게 내포하고 있다. 이 시대가 타자에 대한 숙고와 성찰이 요구되는 사회라 말할 때 다성성을 주목해야 될 필요는 여기 있다. 삶에 대한 응답과 책임이 삶의 결정불가능성, 비종결성에 철두철미하게 근거하기에, 단일한 주체의 목소리가 아닌 타자의 입을 빌린 목소리는 그자체로 ‘나’이면서 ‘우리’가 될 수 있다. 존재론의 뿌리는 타자에게 있다. ‘나’는 언제나 타자 이후에 온다.
  • 가격2,1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1.05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16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