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병태생리
2. 임상특성
3. 치료 및 간호
Ⅱ. 간호력
1. 간호사정
1) 환자정보
2) 자료수집
(1) 일반적 특성
(2) 현재의 건강문제
(3) 과거력
(4) 신체사정 자료
(5) 성장발달 단계별 기준에 따른 해동 아동의 상태
(6) 입원 중의 투약과 처치
1) 투약
2) 처치
(7) 진단검사
Ⅲ. 간호과정 (Nursing Process)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IV. 참고문헌
1. 병태생리
2. 임상특성
3. 치료 및 간호
Ⅱ. 간호력
1. 간호사정
1) 환자정보
2) 자료수집
(1) 일반적 특성
(2) 현재의 건강문제
(3) 과거력
(4) 신체사정 자료
(5) 성장발달 단계별 기준에 따른 해동 아동의 상태
(6) 입원 중의 투약과 처치
1) 투약
2) 처치
(7) 진단검사
Ⅲ. 간호과정 (Nursing Process)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평가하였다. 목표 달성을 위해 계속 간호할 예정이다.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는 11/1 20:00에 38.4℃로 체온이 측정되어 24시간 이내에 체온이 38.5℃ 이하로 내려간다는 목표를 달성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11/3 이후로 발열로 인한 울음이나 고통을 호소하지 않았으므로 목표를 달성하였다.
3. 간호과정 #2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IV line을 유지 중임
11/1
10:00
혈압
90/60mmHg
맥박
120회/min
체온
40℃
호흡
30회/min
SPO2
94%
검사내용
정상치
대상자 수치
일반진단검사 - CBC
11/1
11/2
ESR
0~20
mm/h
13
17
CRP
0~0.5
mg/dL
3.0▲
2.5▲
간호진단
질병 및 침습적 처치로 인한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1주일 내에 ESR, CRP 수치가 정상범위에 도달한다.
단기목표
-대상자의 보호자는 2일 내에 개인위생관리 방법을 2가지 아상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4일 내에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① 대상자의 V/S을 4간마다 측정한다.
② 퇴원 시까지 면회를 제한한다.
③ 대상자에게 이루어지는 모든 처치를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④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개인위생관리에 대해 설명하고 교육한다.
⑤ 대상자에게 감염예방을 위해 여러 사람이 밀집한 장소는 피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충분한 영양과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① 대상자의 V/S을 통해 상태를 빠르게 사정할 수 있다.
② 면회를 통해 미생물의 전파가 일어나 감염이 될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③ 무균적 처치를 통해 미생물의 전파를 차단시킬 수 있다.
④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하게 함으로써 미생물의 전파를 차단시킬 수 있다.
⑤ 면역력이 약한 상태로 사람이 밀집된 장소에 간다면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충분한 영양과 수분공급으로 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
대상자에게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감염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다.
간호수행
① 대상자의 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11/1
10:00
14:00
18:00
22:00
혈압
90/60mmHg
90/70mmHg
95/70mmHg
85/55mmHg
맥박
120회/min
120회/min
110회/min
115회/min
체온
40℃
39.4℃
38.8℃
38.5℃
호흡
30회/min
32회/min
35회/min
29회/min
SPO2
94%
94%
95%
93%
11/2
10:00
14:00
18:00
22:00
혈압
90/60mmHg
100/70mmHg
95/70mmHg
90/70mmHg
맥박
120회/min
110회/min
115회/min
120회/min
체온
38.5℃
38.3℃
38.5℃
38.2℃
호흡
35회/min
32회/min
32회/min
34회/min
SPO2
95%
96%
96%
97%
11/3
10:00
14:00
18:00
22:00
혈압
90/60mmHg
90/65mmHg
95/65mmHg
100/65mmHg
맥박
120회/min
120회/min
120회/min
120회/min
체온
37.9℃
37.8℃
37.8℃
37.6℃
호흡
35회/min
36회/min
38회/min
36회/min
SPO2
96%
95%
95%
97%
11/4
10:00
14:00
18:00
22:00
혈압
100/60mmHg
90/60mmHg
95/65mmHg
90/60mmHg
맥박
120회/min
110회/min
110회/min
115회/min
체온
37.5℃
37.4℃
37.6℃
37.5℃
호흡
35회/min
36회/min
38회/min
38회/min
SPO2
97%
96%
96%
97%
② 대상자에게 이루어지는 모든 처치를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대상자 병실에 들어갈 때마다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 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하였다.
③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개인위생관리에 대해 설명하고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손 위생 방법과 마스크 착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교육하였다. 손 위생과 KF94 마스크 착용을 적절히 수행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간단한 질문을 할 경우, 보호자가 대답할 수 있었다.
④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다.
수량
횟수
Caldolor inj.
(Ibuprofen)
120mg
#1
간호평가
장기목표
-부분달성: 11/4에 WBC와 ESR 수치는 정상범위 내에 도달하였으나, CRP 수치는 여전히 상승 상태를 보이고 있어 목표를 부분 달성하였다. 목표 달성을 위해 계속 간호할 예정이다.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의 보호자는 2일 내에 개인위생관리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었으므로 목표를 달성하였다.
-달성; 11/4 대상자의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으므로 목표를 달성하였다.
Ⅴ. 참고문헌
박호란(2019),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상), 현문사
박호란(2019),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하), 현문사
고일선(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2018-2020), 학지사메디컬
수분 섭취 교육 자료(간호 중재 시 이용할 교육 자료)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board/boardDetail.do?menu_no=3120&menu_grp=MENU_NEW01©Url=https://www.foodsafetykorea.go.kr:443/portal/board/board.do?menu_no=3120&menu_grp=MENU_NEW01&bbs_no=bbs001&ntctxt_no=1070950&start_idx=1&nticmatr_yn=N&bbs_type_cd=01&ans_yn=N&order_type=01&ctgry_type_cd=CTG_TYPE01&list_img_use_yn=N&atch_file_posbl_yn=Y&cmt_yn=N&kword_use_yn=N&natn_cd_use_yn=N&tag_use_yn=N&meta_use_yn=Y&search_type=title&search_keyword=%EC%88%98%EB%B6%84&show_cnt=10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는 11/1 20:00에 38.4℃로 체온이 측정되어 24시간 이내에 체온이 38.5℃ 이하로 내려간다는 목표를 달성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11/3 이후로 발열로 인한 울음이나 고통을 호소하지 않았으므로 목표를 달성하였다.
3. 간호과정 #2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IV line을 유지 중임
11/1
10:00
혈압
90/60mmHg
맥박
120회/min
체온
40℃
호흡
30회/min
SPO2
94%
검사내용
정상치
대상자 수치
일반진단검사 - CBC
11/1
11/2
ESR
0~20
mm/h
13
17
CRP
0~0.5
mg/dL
3.0▲
2.5▲
간호진단
질병 및 침습적 처치로 인한 상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1주일 내에 ESR, CRP 수치가 정상범위에 도달한다.
단기목표
-대상자의 보호자는 2일 내에 개인위생관리 방법을 2가지 아상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4일 내에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① 대상자의 V/S을 4간마다 측정한다.
② 퇴원 시까지 면회를 제한한다.
③ 대상자에게 이루어지는 모든 처치를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④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개인위생관리에 대해 설명하고 교육한다.
⑤ 대상자에게 감염예방을 위해 여러 사람이 밀집한 장소는 피하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충분한 영양과 수분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투여한다.
① 대상자의 V/S을 통해 상태를 빠르게 사정할 수 있다.
② 면회를 통해 미생물의 전파가 일어나 감염이 될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③ 무균적 처치를 통해 미생물의 전파를 차단시킬 수 있다.
④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하게 함으로써 미생물의 전파를 차단시킬 수 있다.
⑤ 면역력이 약한 상태로 사람이 밀집된 장소에 간다면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충분한 영양과 수분공급으로 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
대상자에게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감염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다.
간호수행
① 대상자의 V/S을 4시간마다 측정한다.
11/1
10:00
14:00
18:00
22:00
혈압
90/60mmHg
90/70mmHg
95/70mmHg
85/55mmHg
맥박
120회/min
120회/min
110회/min
115회/min
체온
40℃
39.4℃
38.8℃
38.5℃
호흡
30회/min
32회/min
35회/min
29회/min
SPO2
94%
94%
95%
93%
11/2
10:00
14:00
18:00
22:00
혈압
90/60mmHg
100/70mmHg
95/70mmHg
90/70mmHg
맥박
120회/min
110회/min
115회/min
120회/min
체온
38.5℃
38.3℃
38.5℃
38.2℃
호흡
35회/min
32회/min
32회/min
34회/min
SPO2
95%
96%
96%
97%
11/3
10:00
14:00
18:00
22:00
혈압
90/60mmHg
90/65mmHg
95/65mmHg
100/65mmHg
맥박
120회/min
120회/min
120회/min
120회/min
체온
37.9℃
37.8℃
37.8℃
37.6℃
호흡
35회/min
36회/min
38회/min
36회/min
SPO2
96%
95%
95%
97%
11/4
10:00
14:00
18:00
22:00
혈압
100/60mmHg
90/60mmHg
95/65mmHg
90/60mmHg
맥박
120회/min
110회/min
110회/min
115회/min
체온
37.5℃
37.4℃
37.6℃
37.5℃
호흡
35회/min
36회/min
38회/min
38회/min
SPO2
97%
96%
96%
97%
② 대상자에게 이루어지는 모든 처치를 무균적으로 시행한다.
-대상자 병실에 들어갈 때마다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 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하였다.
③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개인위생관리에 대해 설명하고 교육한다
-보호자에게 손 위생 방법과 마스크 착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교육하였다. 손 위생과 KF94 마스크 착용을 적절히 수행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간단한 질문을 할 경우, 보호자가 대답할 수 있었다.
④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을 투여하였다.
수량
횟수
Caldolor inj.
(Ibuprofen)
120mg
#1
간호평가
장기목표
-부분달성: 11/4에 WBC와 ESR 수치는 정상범위 내에 도달하였으나, CRP 수치는 여전히 상승 상태를 보이고 있어 목표를 부분 달성하였다. 목표 달성을 위해 계속 간호할 예정이다.
단기목표
-달성: 대상자의 보호자는 2일 내에 개인위생관리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었으므로 목표를 달성하였다.
-달성; 11/4 대상자의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를 유지하였으므로 목표를 달성하였다.
Ⅴ. 참고문헌
박호란(2019),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상), 현문사
박호란(2019),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하), 현문사
고일선(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2018-2020), 학지사메디컬
수분 섭취 교육 자료(간호 중재 시 이용할 교육 자료)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board/boardDetail.do?menu_no=3120&menu_grp=MENU_NEW01©Url=https://www.foodsafetykorea.go.kr:443/portal/board/board.do?menu_no=3120&menu_grp=MENU_NEW01&bbs_no=bbs001&ntctxt_no=1070950&start_idx=1&nticmatr_yn=N&bbs_type_cd=01&ans_yn=N&order_type=01&ctgry_type_cd=CTG_TYPE01&list_img_use_yn=N&atch_file_posbl_yn=Y&cmt_yn=N&kword_use_yn=N&natn_cd_use_yn=N&tag_use_yn=N&meta_use_yn=Y&search_type=title&search_keyword=%EC%88%98%EB%B6%84&show_cnt=10
추천자료
열성경련 간호과정,문헌고찰
[성인간호학][Acute Bronchitis][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Febrile seizures][열성경련]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A+) 편도선염 케이스 스터디 Tonsillitis case study
신생아 황달 (neonatal jaundice)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열성경련(Febrile convulsion) Case study
아동간호학 case study 천식(asthma)
아동간호학 실습 열성경련 간호과정
아동간호학실습, 아동 열성경련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