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학이 필요한 순간』에 어울리지 않을까?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수학이란 완벽한 것이 아니며 수학을 잘 하려면 \'자기 주장이 어떻게 틀릴 수 있는지도 생각해 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가령 \'2, 4, 8\'이라는 수열을 보여주고 규칙을 찾으라 할 때, 최종적으로 정답을 입력하기 전에 얼마든지 정답을 맞춰보는 실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자. 그렇다면 보통은 이 수열을 각 항에 2를 곱하는 등비수열이라 생각하여 \'3, 6, 12\', \'5, 10, 200\'을 넣고 실험해 볼 것이다. 그때마다 기계는 \'예\'라고 답하는데, 이를 보고 피실험자는 답이 \'2를 곱하는 등비수열\'이라고 확신하고 답을 입력한다. 사실은 \'증가수열\'이 정답인데 말이다. 함정에 빠진 것이다. 이 답을 맞히려면 \'1, 2, 3, 51, 100, 777\'도 해봤어야 했다. 틀릴 가능성이 있는 답도 실험해 보았어야 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수학이란 정답을 찾는 게 아니라, 인간이 답을 찾아가는 데 필요한 명료한 과정을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그것은 수학적 사고를 통해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은 어떻게 깊게 생각할 수 있는가? 결국 모든 삶은 수학적으로 사고할 수 밖에 없다
//끝//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수학이란 완벽한 것이 아니며 수학을 잘 하려면 \'자기 주장이 어떻게 틀릴 수 있는지도 생각해 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가령 \'2, 4, 8\'이라는 수열을 보여주고 규칙을 찾으라 할 때, 최종적으로 정답을 입력하기 전에 얼마든지 정답을 맞춰보는 실험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자. 그렇다면 보통은 이 수열을 각 항에 2를 곱하는 등비수열이라 생각하여 \'3, 6, 12\', \'5, 10, 200\'을 넣고 실험해 볼 것이다. 그때마다 기계는 \'예\'라고 답하는데, 이를 보고 피실험자는 답이 \'2를 곱하는 등비수열\'이라고 확신하고 답을 입력한다. 사실은 \'증가수열\'이 정답인데 말이다. 함정에 빠진 것이다. 이 답을 맞히려면 \'1, 2, 3, 51, 100, 777\'도 해봤어야 했다. 틀릴 가능성이 있는 답도 실험해 보았어야 했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수학이란 정답을 찾는 게 아니라, 인간이 답을 찾아가는 데 필요한 명료한 과정을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그것은 수학적 사고를 통해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은 어떻게 깊게 생각할 수 있는가? 결국 모든 삶은 수학적으로 사고할 수 밖에 없다
//끝//
키워드
추천자료
[수학][수학의 가치][수학과 진법][수학과 명제][수학과 극한][수학과 문자][수학과 피타고라...
[독후감/서평]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최신A+) [지금우리에게필요한것은독후감][지금우...
반힐레의학습수준이론 분석과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에 대한모든것,오늘날 수학 교...
[아동수학지도]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 자연탐구 영역의 수학교육의 내용을 정리하시고 영...
수학이 필요한 순간 김민형 독후감 감상문
[A+ 독후감, 초깔끔] 내 치즈는 어디에서 왔을까(부제, 이 순간에도 주저하고 있을 현실 속 ...
[A+ 독후감, 초깔끔] 남한산성을 읽고(김훈 저, 부제, 문과 무, 이분법을 뛰어넘는 생명력이 ...
[A+ 독후감, 초깔끔] 코드그린 - 뜨겁고, 평평하고, 붐비는 세계(토머스 프리드먼, 부제 녹색...
[독후감] 수학이 필요한 순간 - 김민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