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레쥬르 SWOT분석과 마케팅,경영전략분석 및 뚜레쥬르 업계1위 도약위한 전략제언 - 뚜레쥬르 기업전략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뚜레쥬르 SWOT분석과 마케팅,경영전략분석 및 뚜레쥬르 업계1위 도약위한 전략제언 - 뚜레쥬르 기업전략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뚜레쥬르 소개

2. 뚜레쥬르 브랜드컨셉

3. 시장환경분석 (5 Forces Model분석)

4. 뚜레쥬르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뚜레쥬르 경영전략
(1) 물류프로세스와 재고관리전략
(2) 친환경전략
(3) 해외진출전략
- 중국진출전략
- 미국진출전략

6. 뚜레쥬르 마케팅전략
(1) 서비스마케팅
(2) 마케팅믹스 4P전략
- Product
- Price
- Place
- Promotion

7. 뚜레쥬르가 업계2위인 이유와 1위로 올라서기 위한 전략제언
(1) 현 문제점
(2) 업계1위 도약위한 전략제언

본문내용

중국인들이 식감 때문에 꺼려할 수 있는 ‘딱딱한 빵류’는 제외하고, ‘로우송(말린 고기가 뿌려진 빵)과 같이 중국인들이 즐겨먹는 제품들을 추가하는 등 지속적인 매장 테스트를 통해 중국 현지화를 가능토록 한다는 전략이다.
2) 미국진출전략
뚜레쥬르의 첫 글로벌 매장은 LA에 오픈하였다. 교민이 많이 살고 있어 뚜레쥬르 브랜드에 바교적 익숙한 장점도 있었고 매장을 처음 오픈하였을 때는 직접 한국에서 냉동생지를 공수하여 빵을 만들었다. 계획보다 높은 인기를 얻게 되면서, 미국에 직접 생산설비를 마련하여 새로 오픈되는 점포에 물량을 공급하기 시작했다. 이후 미국 LA에 신축 공장을 건설하고 미국 시장에서의 R&D와 함께 시장 확대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그간 LA를 중심으로 서부에 매장들이 집중되어 있었는데, 맨해튼과 메사추세츠에 매장을 오픈하면서 본격적으로 동부 지역으로의 확대를 진행하였다.
6. 뚜레쥬르 마케팅전략
(1) 서비스마케팅
뚜레쥬르는 외식업체나 기타 유통업체에서 사용되어 오던 고객 마일리지 카드를 업계 최초로 도입하여 고객들에게 혜택을 제공해 성공을 거두었다.
그리고 뚜레쥬르의 제품들은 본사에서 완제품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본사에서 제공되는 냉동 생지를 이용해 각 매장에서 상품을 만드는 것이므로 각 매장에서는 고객들의 의견,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여 상품에 고객들이 원하는 문구나 그림이 삽입이 가능하다.
(2) 마케팅믹스 4P전략
1) Product
- 빵 (건강빵, 간식빵.), 음료, 샐러드, 일부지역 파스타 및 피자.
2) Price
- 1000원대부터 3만원대 안팍
3) Place
- 뚜레쥬르 쇼핑몰 및 온라인 매장 활성화와 배달 시스템에 힘쓰고 있다.
- 전국 1400여개에 육박하는 정도의 매장 유지(주요 상권에 많이 위치)
4) Promotion
- 웰빙/건강한 빵에 대한 이미지 구축
- 뚜레쥬르는 김연아를 시작으로 원빈, 김수현 등 인기스타를 모델로 하여 - 홍보 효과 및 매출 신장
- 통신사 및 멤버쉽 카드를 통한 할인혜택
7. 뚜레쥬르가 업계2위인 이유와 1위로 올라서기 위한 전략제언
(1) 현 문제점
현재 뚜레쥬르가 업계 2위일 수 밖에 없는 이유를 분석해본 결과 총 5가지의 이유가 나왔다.
먼저 뚜레쥬르 브랜드를 연상시키는 확고한 로고의 부재이다. 경쟁사인 파리바게트는 에펠탑이라는 상징적인 심벌과 PB라는 약자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브랜드를 연상시킨다. 반면 뚜레쥬르는 브랜드를 대표하는 상징적인 로고가 없어 소비자들에게 확실한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데 실패하였다.
그리고 뚜레쥬르는 경쟁사에 비해 미흡한 광고 컨셉을 가지고 있다. 상품이나 브랜드 자체의 컨셉에 주력하기보다 스타, 사은품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여 전형적인 업계 2위 기업의 홍보 전략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파리바게트에 비해 적은 점포수로 인한 접근성 부족이다. 국내 점포 수 현황을 살펴보면 뚜레쥬르는 파리바게트 점포수의 절반 정도에 미치는 점포를 보유하고 있다. 뚜레쥬르는 국내 점포수를 늘리기 보다 해외 점포수를 늘리는데 주력하겠다고 하였지만 해외 점포수 조차 파리바게트에 뒤쳐지고 있다.
그리고 뚜레쥬르 빵 신제품에 대한 홍보 부족이다. 뚜레쥬르는 주기적으로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프로모션이 기존 고객을 대상으로 한 이벤트에 집중되고 있어 효율적인 홍보효과를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낮은 소비자 선호도이다. 뚜레쥬르는 빵의 맛 측면에서는 경쟁사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접근 가능한 점포수가 경쟁사인 파리바게트보다 낮아 결과적으로 소비자 인지도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는 브랜드 충성도에서 뚜레쥬르와 파리바게트의 격차를 늘리는 요인이 되었다.
(2) 업계1위 도약위한 전략제언
먼저 뚜레쥬르가 기존의 베이커리에만 집중하던 것에서 벗어나 소비자들이 원하는 베이커리, 카페, 레스토랑을 합친 복합적인 공간으로 거듭난다면, 더 많은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소비자들의 인식을 변화시켜 건강 빵에만 집중한 것이 아닌, 뚜레쥬르만의 고유한 이미지를 연상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확실한 브랜드 로고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브랜드 이미지 연상이 부족했던 로고를 탈피하여 뚜레쥬르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하나의 상징적인 로고를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CJ 자회사를 통한 복합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CJ 자회사들 간의 협동 이벤트 기획을 통해 자회사의 소비자층을 뚜레쥬르로 끌어 들일 필요가 있다.
  • 가격4,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3.29
  • 저작시기202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5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