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따르면, 민주주의를 지키는 것은 문화되지 않은 규범이며, 그 중 \'상호관용\'과 \'제도적 자제\'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상호관용이란 서로 다른 집단을 가진 의견을 인정하는 정치인들의 집단적 의지를 말하며, 제도적 구속은 주어진 법적 권리를 조심스럽게 행사하는 태도를 말한다. 언뜻 보면 둘 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개념으로 보이지만, 이러한 규범이 무너지면 민주주의는 함께 무너진다. 저자들은 스페인에서 좌파 공화당과 우익 세력이 대립한 뒤 내전에서 규범이 파괴돼 민주주의가 붕괴된 대표적인 사례를 제시한다. 무엇보다 트럼프 당선 역시 민주주의를 지켜온 두 가지 규범이 무너지면서 극도의 정치적 양극화가 빚어진 결과로서 미국 200년 미국 200년 역사의 규범 형성과 정착, 파괴를 통해 생생하게 드러나고 있다.
추천자료
복지와 이데올로기 요약/분석
[우수평가자료]부의 8법칙 독후감.- 저자가 말하는 핵심 교훈과 시사점.
[철학의이해B형]후퇴하는민주주의(본문발췌와 독후감) 철학의이해 후퇴하는민주주의 철학의이...
[우수평가자료]불평등의 대가 독후감 서평, 개인적인 감상과 느낀 점과 교훈은 무엇인가?.
(철학의이해 E형) 에우튀데모스에 대한 발췌, 요약(본문 31 ~ 101 페이지) 및 독후감
MICHAEL J.SANDEL 의『 왜 도덕인가 』를 읽고
조지오웰 동물농장 감상평(독후감)
A+ 서평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
코로나 사피엔스 줄거리 요약과 가장 인상깊었던 내용 및 코로나 사피엔스 읽고 느낀점 - 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