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4학년] 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현대인의 음식생활이 달라진 점은 무엇인지 개인적인 판단에서 제시하고, 그 변화의 원인을 환경적 관점, 경제적 관점,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각각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4학년] 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현대인의 음식생활이 달라진 점은 무엇인지 개인적인 판단에서 제시하고, 그 변화의 원인을 환경적 관점, 경제적 관점,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각각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현대인의 음식생활이 달라진 점은 무엇인지 개인적인 판단에서 제시하고, 그 변화의 원인을 환경적 관점, 경제적 관점,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각각 설명하시오. (15점)
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현대인의 음식생활이 달라진 점
(1) 가정간편식(HMR)
(2) 배달음식
(3) 편의식품
(4) 신선식품
2) 그 변화의 원인
(1) 환경적 관점
가. 코로나 19와 식생활 변화
나. 온라인 구매 시장의 보편화
다. 사회적 거리두기
(2) 경제적 관점
가. O2O(online to offline)의 발전
나. 배달요식업 산업의 발전
다. 온라인 플랫폼의 진화
(3) 사회문화적 관점
가. 라이프스타일
나. 일반 음식점에서 배달음식업으로의 전환
다. 식품소비패턴의 변화

2. 자신의 고향에 관한 간략한 설명과, 고향의 대표음식 중에서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것 1가지를 들어 음식의 특성을 설명하고, 가장 좋아하는 이유에 관한 배경을 지리적 환경, 가정 혹은 사회문화적 환경 등을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15점)
1) 자신의 고향에 관한 간략한 설명
2) 고향의 대표음식 중에서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의 특성 - 굴비
3) 가장 좋아하는 이유에 관한 배경
(1) 지리적 환경
(2) 가정 혹은 사회문화적 환경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비굴하게 살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그 맛이 변하지 않는 영광굴비를 진상하면서 ‘비굴’의 글자를 바꾸어 ‘굴비’ 라고 하였다고한다. 그때부터 영광굴비는 임금님의 수랏상에 진상되고 명물로 등장하여 각광을 받게 되었다.
3) 가장 좋아하는 이유에 관한 배경
(1) 지리적 환경
참조기는 일명 황조기라고도 하는 민어과에 속하는 생선으로 동중국해, 타이완, 일본 남부, 한국 등의 연근해에 분포한다. 연안성 어류로 수심 40∼200m의 바닥이 모래나 뻘인 해역에서 서식하며 산란기는 3∼6월이며, 산란장은 중국 연안과 한국의 서해안 일대이다. 조기는 한자어로 助氣(石首魚)라고 하는데 사람의 원기를 돕는다는 뜻이다. 이 조기를 건조한 것을 굴비(屈非, 仇非)라고 하며 영광굴비가 가장 맛이 좋다. 전통 영광굴비제법은 원두막 지붕을 뾰족하게 올려 통기구멍을 내고 경사진 지붕의 안쪽에 조기를 촘촘히 매달고 바닥에는 숯불을 피워 놓고 바닷바람에 서서히 말린다. 햇빛은 물론 안 쬔다. 산란하러 온 놈을 잡았으니 알이 뱃속에 꽉 차 있다. 살을 그대로 찢어 먹어도 구운 맛 이상을 낸다는 것이다. 그리고 말린 것은 통보리 속에 넣어 저장한다.
법성포 앞 바다인 칠산 바다에서 잡히는 참조기는 알이 비대할 뿐만 아니라 지방이 풍부하고, 지리적 기상요인(기온 10.5도, 습도 75.5%, 풍속4.8m/sec)과 서해에서 불어오는 계절풍(편서풍)의 영향으로 건조조건이 월등한 법성포의 특수한 자연환경 때문이다. 그리고 옛부터 전래되어온 1년 이상 간수가 빠진 천일염으로 염장하는 특이한 제조법, 전혀 오염되지 않은 물로써 세척하기 때문에 대단히 위생적이다. 염장 재료인 소금(천일염)맛이 굴비의 맛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법성포는 서해안의 특성상(동고서저의 지형)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퇴적층이 많아, 영양이 풍부한 뻘밭이 많은 지역으로 이 부근에서 주로 염전이 형성된다. 한 여름에 생산한 소금을 1년 이상 저장하여 두면 소금의 수분이 완전히 빠진(간수) 상태가 되는데, 굴비의 염장재료는 바로 이런 한여름 천일염을 이용해 굴비의 제맛을 내고 있다.
(2) 가정 혹은 사회문화적 환경
예전 할머니가 살아계셨을 때, 반찬으로 굴비가 빠지면 안됐다. 할머니께서 항상 즐겨 드시던 음식이 바로 굴비였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어머니 집에 가면 항상 반찬으로 굴비가 나온다. 조리법도 다양해서 질리지 않고 항상 즐겨 먹을 수 있는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다.
굴비는 양념에 따라 소금구이와 양념구이로 나눌 수 있다. 소금구이는 생선이 신선할 때 소금을 뿌려 두었다가 직접 불에 굽는 것으로 생선의 맛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조리법이며, 양념구이는 생선을 양념장에 재워 두었다가 양념의 맛이 적당히 배이면 굽는 요리이다. 굴비가 냄새나는 것을 방지하려면 굴비 담은 그릇 밑에 숯을 담고 수수깡 같은 것을 걸쳐서 그 위에 굴비를 담아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 두고 종이로 입을 봉하여 둔다. 굴비는 원래 굽는 것이 아니고 말린 것을 살을 뜯어먹는 것이다. 뜯을 때는 굴비를 세워들고 등성마루에서 가운데 뼈를 방망이로 두들겨 가지고 껍질을 벗기고 살을 칼이 뼈에 닿게 저며내듯 떼내서 손으로 잘게 찢어 담고 알은 조심스럽게 꺼내어 곁드린다. 식성에 따라 고추장을 찍어서 먹는다.
장아찌는 장지(醬漬) 또는 장과(醬瓜)라고도 하며 무, 오이, 깻잎 등의 채소류와 굴비, 전복등의 어패류, 김, 파래 등의 해조류를 간장, 된장, 고추장, 젓갈, 식초, 술지게미 등의 절임원에 담가 침장액의 삼투와 효소의작용으로 독특한 풍미를 내게 하는 저장발효식품이다. 굴비장아찌에 사용하는 조기는 너무 많이 말리면 질기고, 덜 말리면 물러서 맛이 없다.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3일 정도 말리는 것이 가장 좋다. 굴비장아찌는 굴비를 고추장에 잠깐 박았다 쓰는데 굴비는 잠깐 담갔다 먹어야 제 맛이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1.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현대인의 음식생활이 달라진 점은 무엇인지 개인적인 판단에서 제시하고, 그 변화의 원인을 환경적 관점, 경제적 관점,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각각 설명, 2. 자신의 고향에 관한 간략한 설명과, 고향의 대표음식 중에서 본인이 가장 좋아하는 것 1가지를 들어 음식의 특성을 설명하고, 가장 좋아하는 이유에 관한 배경을 지리적 환경, 가정 혹은 사회문화적 환경 등을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았다. 현대 소비자들의 음식 소비 행태는 서구의 외식 패턴의 영향을 받으면서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외식을 하거나 조리된 음식을 구입해 식사를 해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가정에서 식사를 하더라도 집에서 전부 조리 하지 않고 반조리, 완전조리 식품을 구입해서 가정에 가져와 먹거나 주문 배달해 먹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가정간편식(HMR)에 대한 수요가 급성장하는 이유는 1인 가구 증가의 원인으로는 불안정한 고용으로 인한 소득수준의 저하,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와 같은 경제적인 요인과 교육 수준의 향상, 초혼 연령의 증가, 이혼율의 상승과 더불어 의학의 발달로 인한 고령화 증가 등의 사회적 요인이 결합하여 늘어나면서 HMR 상품에 대한 수요를 증가 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철원,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2017).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국제무역통상연구원(2020).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전자상거래 트렌드.
대한상공회의소(2021). 코로나시대 소비형태 변화와 시사점 조사. 보고서.
삼정KPMG 경제연구원(2020). 코로나19에 따른 소비재산업 영향 분석 .
오픈서베이(2021). 온라인 식료품 구매 트렌드 리포트 2021.
배규식 (2020). 코로나 19로 늘어난 택배와 배달노동, 한국교통연구원, 월간교통.
이규성 (2020). \"코로나 19 출현에 따른 외식업체 생존전략 분석 한식업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김민경(2020). 외식 O2O플랫폼 품질 특성이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이경원 외1인(2010), 한국 음식문화를 기반으로 한 한식 식사패턴 지수의 개발과 검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 가격6,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2.03.31
  • 저작시기202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62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