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당의 입장에서 한국사를 해석할 필요가 있는가?
2. 당의 급격한 팽창과 유목민족의 복속
3. 드러난 당의 기미 및 직접지배 시도와 신라의 저지
2. 당의 급격한 팽창과 유목민족의 복속
3. 드러난 당의 기미 및 직접지배 시도와 신라의 저지
본문내용
서회랑이 중요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르게 생각해본다면, 당나라는 20만 대군을 동원하여 신라를 공격할 정도로 신라멸망 혹은 신라 완전굴복에 대한 의지가 강했다. 만약 당나라의 대군이 신라를 완전히 굴복만 시켰다면, 동부전선에 투입된 군사와 복속된 신라의 군사를 투입하여 서부전선을 유리하게 끌어갈 수 있을 것이다. 즉, 서부전선이 중요하지만, 동부전선에서 승리만 거뒀다면 신라 땅을 포기할 이유가 전혀 없었다. 인과관계가 부족한 서술이라고밖에 볼 수 없는 것이다.
맺음말
지금까지 이기천의 논문을 비평해보았는데, 당나라를 중심으로 하여 주변국에 대해 기술했기에 보는 입장에서는 지식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만, 아쉬운 것은 다소 당의 입장에서 기술하는 면이 강했기 때문에, 당의 입장에서 본 역사적 추론을 사실인 것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당의 20만 군사를 격파한 매소성 전투에 대한 기술조차 없으며, 당에 대적하기 위해 신라가 주장성을 전진기지로 삼아 대비한 것 역시 전혀 나오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당연히 당에 입장에서 기술했기에, 생략될 수도 있겠지만 당의 입장에서 볼 때 오히려 자세히 기술되어야 했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맺음말
지금까지 이기천의 논문을 비평해보았는데, 당나라를 중심으로 하여 주변국에 대해 기술했기에 보는 입장에서는 지식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다만, 아쉬운 것은 다소 당의 입장에서 기술하는 면이 강했기 때문에, 당의 입장에서 본 역사적 추론을 사실인 것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강했다.
당의 20만 군사를 격파한 매소성 전투에 대한 기술조차 없으며, 당에 대적하기 위해 신라가 주장성을 전진기지로 삼아 대비한 것 역시 전혀 나오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당연히 당에 입장에서 기술했기에, 생략될 수도 있겠지만 당의 입장에서 볼 때 오히려 자세히 기술되어야 했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추천자료
고구려 대외관계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과외]중학 국사 2-2학기 중간 삼국의 성립과 발전
[과외]중학 국사 2-1학기 기말 03 삼국의 성립과 발전(교사용)
[과외]중학 국사 2-1학기 기말 03 삼국의 성립과 발전
[과외]중학 국사 2-2학기 중간1 삼국의 성립과 발전(교사용)
[중국인][중국][대만][세계관][중국인 사상]중국인의 특징(중국인의 사상, 지역에 따른 중국...
인간 존재에 대한 끊임 없는 탐구의 작가, 김동리에 대해서
[고구려][고구려사][고구려문화][고구려의 문화]고구려의 건국신화, 고구려의 성립, 고구려의...
전후 체제의 재편과 미군정의 점령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