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본의 음식문화 소개
2. 일본음식의 유형
3. 일본음식의 특징
4. 일본음식의 지역별 특징
5. 일본의 대표음식
(1) 스시
(2) 사시미
(3) 라멘
(4) 낫또
(5) 오니기리
(6) 오코노미야키
6. 일본의 식사예절
7. 금기시 하는행동
8. 결론 및 느낀점
9. 참고자료
2. 일본음식의 유형
3. 일본음식의 특징
4. 일본음식의 지역별 특징
5. 일본의 대표음식
(1) 스시
(2) 사시미
(3) 라멘
(4) 낫또
(5) 오니기리
(6) 오코노미야키
6. 일본의 식사예절
7. 금기시 하는행동
8. 결론 및 느낀점
9. 참고자료
본문내용
에도 수십 가지 종류가 있다. 다양한 종류에 값이 싸고 맛있기 때문에 간단한 식사로 이용하거나 야외에 나갈 때 도시락으로 준비하기도 한다.
(6) 오코노미야키
밀가루를 가쓰오부시 우린 물에 개어 고기·야채 등을 넣고 지진 일본요리이다. 한국의 전과 비슷하며, 일본의 대중음식이다. 오사카식과 히로시마식이 있다. 오사카식은 재료를 한꺼번에 섞어서 지지고, 히로시마식은 재료를 한 가지씩 차례대로 올린다. 재료에서도 히로시마식은 야키소바(볶은 국수)를 사용한다.
재료로는 소맥분, 가쓰오부시 우린 물, 양배추·파·돼지고기·참마·고구마·새우·오징어·파래가루·마요네즈 등이 필요하다. 오사카식으로 만드는 방법은 먼저 양배추·파 등의 야채를 채썬다. 밀가루에 가쓰오부시 우린 물과 참마를 갈아 넣고 반죽하여 채썬 야채를 넣어 섞는다.
프라이팬에 재료를 섞은 밀가루 반죽을 20cm 크기로 펴서 부친다. 여기에 돼지고기 삼겹살을 3장을 얹은 다음 뒤집는다. 고기가 어느 정도 익으면 다시 뒤집어 마요네즈와 오코노미야키 소스를 바르고, 그 위에 가쓰오부시 우린 물과 파래가루를 뿌린다.
히로시마식은 먼저 가쓰오부시 우린 물과 참마를 갈아 넣고 갠 밀가루를 뜨거운 팬에 얇게 펴서 부친다. 그 위에 가쓰오부시와 파래가루를 조금 뿌린다. 채썬 양배추·튀김·파·숙주나물 등을 올리고 돼지고기 삼겹살을 3장 정도 얹는다. 밀가루 반죽을 조금 부어 재료들이 서로 붙도록 한 후 뚜껑을 덮어서 익힌다. 살짝 눌러가며 양쪽을 고루 익힌다.
다른 팬에 소스로 간을 하여 국수를 볶는다. 먼저 요리한 부침개를 국수 위에 올린다. 이때 돼지고기 올린 쪽이 국수 쪽으로 가게 한다. 달걀을 풀어 또 다른 팬에 부침개와 같은 크기로 부친다. 부침개를 달걀 위에 올린다. 뒤집어서 달걀이 위로 오게 그릇에 담은 후 오코노미야키 소스를 바르고 파래가루를 뿌린다.
6. 일본의 식사예절
(1) 밥을 먹을 때
밥공기는 거의 사기그릇이며 밥공기는 왼손에 들고 먹는다.
일본사람들은 우리 나라처럼 밥공기를 식탁에 놓은 채 먹지 않고 밥공기를 왼손에 들고 먹는 것이 습관이 되어 있다.
엄지손가락을 밥공기 가장자리에 고정시켜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나머지 손가락들은 가지런히 모아서 펴서 그 한가운데에 밥공기 바닥이 오도록 쥐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2) 국을 먹을 때
된장국 그릇은 나무로 되어있고 이것은 왼손에 들고 먹는다.
국을 먹을 때에는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국그릇을 입에 갖다 대고 마신다.
(3) 국그릇 뚜껑
향기나 열을 보존하기 위해서 국그릇은 뚜껑을 덮어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뚜껑을 열 때에는 왼손으로 그릇의 테두리를 가볍게 잡고 오른손으로 그릇의 테두리를 가볍게 잡고 오른손으로 뚜껑을 잡은 후 자기 쪽에서 반대방향으로 살짝 열도록 한다.
식사가 끝난 후에는 원래대로 다시 뚜껑을 덮어 놓는다.
(4) 젓가락 사용법
젓가락은 대나무로 만든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정에서는 개인젓가락을 정해두고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검정색은 아버지용 빨간색은 어머니용이다.
손님을 대접 할 때는 1회용 나무젓가락을 내놓는다.
1회용이므로 청결할 뿐만 아니라 설거지도 간단하기 때문이다.
(5) 젓가락 받침대
식사 중에 젓가락을 잠시 내려놓을 경우 젓가락 받침대가 있으면 젓가락 아래쪽 부분을 그 받침대에 올려놓는다. 젓가락을 놓는 방법도 우리 나라와는 달리 가로로 놓는다.
(6) 음식을 덜어 먹을 때
음식이 큰 접시에 담겨 있을 때는 각 개인 접시로 음식을 덜어 먹는데 이때는 전용젓가락을 사용한다. 전용젓가락이 없을 경우에는 개인젓가락의 방향을 거꾸로 바꿔 사용한다.
일본사람들은 자기 입에 닿았던 부분으로 공용음식에 손대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7) 그 외의 식사예절
일본사람들은 숟가락을 쓰지 않으나 젓가락으로 집을 수 없는 죽이나 오므라이스, 카레, 볶음밥을 먹을 때에는 숟가락을 사용한다.
일본요리는 그 모양을 중시하는 탓에서 섞어서 먹는 습관이 없으므로 일본음식은 섞어 먹지 말아야 한다.
7. 금기시 하는행동
- 음식을 푹 찔러서 먹는 것.
- 젓가락을 핥아서 사용하는 것.
- 밥상을 넘어서 건너편에 있는 것을 먹는 것.
- 위에 있는 것을 치우고, 밑에 있는 것을 골라내는 것.
- 한 번 음식을 젓가락으로 집었다가 먹지 않고 다시 놓는 것.
- 그릇과 젓가락을 함께 드는 것.
- 젓가락을 들고 이것저것 망설이고 있는 것.
- 젓가락을 그릇 위에 걸쳐 올려놓는 것은 다 먹었다는 사인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주의
- 앞으로 상반신을 구부려서 음식을 먹는 것.
- 입안에 먼저 먹었던 것이 있는데, 다시 다른 것을 입안에 넣고 먹는 것.
- 주위를 혀로 핥으면서 음식을 먹는 것.
- 서로 젓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해서 음식을 주고받는 것은 금물. 사람이 죽었을 때 일본에서는 대부분 화장을 하는데 이 때 죽은 사람의 뼈를 같이 집어서 항아리에 넣는 풍습을 연상시키기 때문 특히 주의해야 한다.
- 가위로 음식을 자르는 것은 금물 (한국음식인 냉면과 삼겹살을 먹을 때 사용하는 식가위의 쓰임을 잘 설명해줄 필요가 있음)
8. 결론 및 느낀점
평소에 관심있었던 일본 음식의 문화를 조사하면서 더욱 더 많을걸 알게되었다
일본음식 하나하나 조리방법과 역사등 자세히 조사하여 재밌어서 시간가는줄 몰랐다. 우리나라 못지않게 일본의 화려하고 신기한 일본의 대중음식을 알아갈수록 신기하였고 직접찾아가서 맛을 봐보고 싶었고 스시가 가장관심이 많이가고 먹음직 스러웠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일본의 식사예절도 조사하여 평소에 잘 몰랐던 상식을 알게되었다. 일본의 식사예절을 조사하면서 우리나라와 비슷하면서도 다른게 많다는걸 알게되었고 이제 일본의 식사예절을 잘 알았으니 실수 하지않고 주의 해야겠다고 생각 했다. 일본의 식사에절과 일본의 대중음식을 조사하면서 이렇게 사진을 보면서 일본을 알아가는 것 보다 직접 찾아가서 몸소 느끼고 경험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고 기회가 한번 생긴다면 꼭 일본에서 일본의 예절과, 대중음식의 맛을 느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다.
9. 참고자료
동아시아식생활학회연구회, 세계의 음식문화
박춘란, 식생활문화
(6) 오코노미야키
밀가루를 가쓰오부시 우린 물에 개어 고기·야채 등을 넣고 지진 일본요리이다. 한국의 전과 비슷하며, 일본의 대중음식이다. 오사카식과 히로시마식이 있다. 오사카식은 재료를 한꺼번에 섞어서 지지고, 히로시마식은 재료를 한 가지씩 차례대로 올린다. 재료에서도 히로시마식은 야키소바(볶은 국수)를 사용한다.
재료로는 소맥분, 가쓰오부시 우린 물, 양배추·파·돼지고기·참마·고구마·새우·오징어·파래가루·마요네즈 등이 필요하다. 오사카식으로 만드는 방법은 먼저 양배추·파 등의 야채를 채썬다. 밀가루에 가쓰오부시 우린 물과 참마를 갈아 넣고 반죽하여 채썬 야채를 넣어 섞는다.
프라이팬에 재료를 섞은 밀가루 반죽을 20cm 크기로 펴서 부친다. 여기에 돼지고기 삼겹살을 3장을 얹은 다음 뒤집는다. 고기가 어느 정도 익으면 다시 뒤집어 마요네즈와 오코노미야키 소스를 바르고, 그 위에 가쓰오부시 우린 물과 파래가루를 뿌린다.
히로시마식은 먼저 가쓰오부시 우린 물과 참마를 갈아 넣고 갠 밀가루를 뜨거운 팬에 얇게 펴서 부친다. 그 위에 가쓰오부시와 파래가루를 조금 뿌린다. 채썬 양배추·튀김·파·숙주나물 등을 올리고 돼지고기 삼겹살을 3장 정도 얹는다. 밀가루 반죽을 조금 부어 재료들이 서로 붙도록 한 후 뚜껑을 덮어서 익힌다. 살짝 눌러가며 양쪽을 고루 익힌다.
다른 팬에 소스로 간을 하여 국수를 볶는다. 먼저 요리한 부침개를 국수 위에 올린다. 이때 돼지고기 올린 쪽이 국수 쪽으로 가게 한다. 달걀을 풀어 또 다른 팬에 부침개와 같은 크기로 부친다. 부침개를 달걀 위에 올린다. 뒤집어서 달걀이 위로 오게 그릇에 담은 후 오코노미야키 소스를 바르고 파래가루를 뿌린다.
6. 일본의 식사예절
(1) 밥을 먹을 때
밥공기는 거의 사기그릇이며 밥공기는 왼손에 들고 먹는다.
일본사람들은 우리 나라처럼 밥공기를 식탁에 놓은 채 먹지 않고 밥공기를 왼손에 들고 먹는 것이 습관이 되어 있다.
엄지손가락을 밥공기 가장자리에 고정시켜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나머지 손가락들은 가지런히 모아서 펴서 그 한가운데에 밥공기 바닥이 오도록 쥐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2) 국을 먹을 때
된장국 그릇은 나무로 되어있고 이것은 왼손에 들고 먹는다.
국을 먹을 때에는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고 국그릇을 입에 갖다 대고 마신다.
(3) 국그릇 뚜껑
향기나 열을 보존하기 위해서 국그릇은 뚜껑을 덮어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뚜껑을 열 때에는 왼손으로 그릇의 테두리를 가볍게 잡고 오른손으로 그릇의 테두리를 가볍게 잡고 오른손으로 뚜껑을 잡은 후 자기 쪽에서 반대방향으로 살짝 열도록 한다.
식사가 끝난 후에는 원래대로 다시 뚜껑을 덮어 놓는다.
(4) 젓가락 사용법
젓가락은 대나무로 만든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가정에서는 개인젓가락을 정해두고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검정색은 아버지용 빨간색은 어머니용이다.
손님을 대접 할 때는 1회용 나무젓가락을 내놓는다.
1회용이므로 청결할 뿐만 아니라 설거지도 간단하기 때문이다.
(5) 젓가락 받침대
식사 중에 젓가락을 잠시 내려놓을 경우 젓가락 받침대가 있으면 젓가락 아래쪽 부분을 그 받침대에 올려놓는다. 젓가락을 놓는 방법도 우리 나라와는 달리 가로로 놓는다.
(6) 음식을 덜어 먹을 때
음식이 큰 접시에 담겨 있을 때는 각 개인 접시로 음식을 덜어 먹는데 이때는 전용젓가락을 사용한다. 전용젓가락이 없을 경우에는 개인젓가락의 방향을 거꾸로 바꿔 사용한다.
일본사람들은 자기 입에 닿았던 부분으로 공용음식에 손대는 것을 다른 사람에게 불쾌감을 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7) 그 외의 식사예절
일본사람들은 숟가락을 쓰지 않으나 젓가락으로 집을 수 없는 죽이나 오므라이스, 카레, 볶음밥을 먹을 때에는 숟가락을 사용한다.
일본요리는 그 모양을 중시하는 탓에서 섞어서 먹는 습관이 없으므로 일본음식은 섞어 먹지 말아야 한다.
7. 금기시 하는행동
- 음식을 푹 찔러서 먹는 것.
- 젓가락을 핥아서 사용하는 것.
- 밥상을 넘어서 건너편에 있는 것을 먹는 것.
- 위에 있는 것을 치우고, 밑에 있는 것을 골라내는 것.
- 한 번 음식을 젓가락으로 집었다가 먹지 않고 다시 놓는 것.
- 그릇과 젓가락을 함께 드는 것.
- 젓가락을 들고 이것저것 망설이고 있는 것.
- 젓가락을 그릇 위에 걸쳐 올려놓는 것은 다 먹었다는 사인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주의
- 앞으로 상반신을 구부려서 음식을 먹는 것.
- 입안에 먼저 먹었던 것이 있는데, 다시 다른 것을 입안에 넣고 먹는 것.
- 주위를 혀로 핥으면서 음식을 먹는 것.
- 서로 젓가락과 젓가락을 사용해서 음식을 주고받는 것은 금물. 사람이 죽었을 때 일본에서는 대부분 화장을 하는데 이 때 죽은 사람의 뼈를 같이 집어서 항아리에 넣는 풍습을 연상시키기 때문 특히 주의해야 한다.
- 가위로 음식을 자르는 것은 금물 (한국음식인 냉면과 삼겹살을 먹을 때 사용하는 식가위의 쓰임을 잘 설명해줄 필요가 있음)
8. 결론 및 느낀점
평소에 관심있었던 일본 음식의 문화를 조사하면서 더욱 더 많을걸 알게되었다
일본음식 하나하나 조리방법과 역사등 자세히 조사하여 재밌어서 시간가는줄 몰랐다. 우리나라 못지않게 일본의 화려하고 신기한 일본의 대중음식을 알아갈수록 신기하였고 직접찾아가서 맛을 봐보고 싶었고 스시가 가장관심이 많이가고 먹음직 스러웠다. 그리고 우리나라와 다른 일본의 식사예절도 조사하여 평소에 잘 몰랐던 상식을 알게되었다. 일본의 식사예절을 조사하면서 우리나라와 비슷하면서도 다른게 많다는걸 알게되었고 이제 일본의 식사예절을 잘 알았으니 실수 하지않고 주의 해야겠다고 생각 했다. 일본의 식사에절과 일본의 대중음식을 조사하면서 이렇게 사진을 보면서 일본을 알아가는 것 보다 직접 찾아가서 몸소 느끼고 경험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고 기회가 한번 생긴다면 꼭 일본에서 일본의 예절과, 대중음식의 맛을 느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였다.
9. 참고자료
동아시아식생활학회연구회, 세계의 음식문화
박춘란, 식생활문화
추천자료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 비교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 비교
문화의 개념, 문화의 특성과 문화의 역사적 발전 및 독일의 음식문화, 한국의 음식문화, 북한...
세계각국의 음식문화에 대한 이해
일본 음식의 역사 일본의 대표음식 및 일반음식
[일본음식, 일식, 일본요리]일본음식(일식, 일본요리)의 특징, 일본음식(일식, 일본요리)의 ...
[일본음식문화][음식문화 특징][식사예절][라면][우동][초밥(스시)]일본음식문화의 특징, 일...
일본의 음식문화
일본의 음식문화 [일본 식사예절, 일본 대표음식, 일본음식 특징, 일본 음식문화 소개, 일본 ...
[일본음식문화 연구레포트] 일본음식문화의 특징,배경,역사분석및 일본음식문화의 식사예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