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니클로 기업개요
2. 유니클로 SCM 특성분석
3. 유니클로 SCM 도입사례 분석
(1) 유니클로의 TCM 시스템
(2) 디자인 과정
(3) 생산체제
(4) 아웃소싱
(5) 생산 및 재고관리
4. 유니클로 SCM 도입효과 연구
5. 유니클로의 SCM 개선방안 제시
2. 유니클로 SCM 특성분석
3. 유니클로 SCM 도입사례 분석
(1) 유니클로의 TCM 시스템
(2) 디자인 과정
(3) 생산체제
(4) 아웃소싱
(5) 생산 및 재고관리
4. 유니클로 SCM 도입효과 연구
5. 유니클로의 SCM 개선방안 제시
본문내용
접 관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웃소싱이라는 한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품질 관리상의 문제를 우려하여, 제조하는 아이템의 종류는 최소화하는 대신, 품목당 생산량은 최대화하고 있다. 생산되는 제품의 가짓수를 줄여 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생산, 재고, 품질 관리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대량 생산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는 것이다. 그 대신 이렇게 제한된 종류의 제품군으로 인해 소비자 선택의 폭이 줄어드는 단점은, 단일 아이템에 대해 다양한 컬러의 제품을 시장에 내놓음으로써 극복하고 있다. 가령 양말 제품의 경우에는 한 가지 디자인에 대하 50가지 이상의 색상을 출시하고 있다.
(5) 생산 및 재고관리
제품 생산량의 계획은 전년도 판매 자료와 시장예측자료, 판촉활동계획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제품별, 공장별 생산량을 확정한다. 이후 유니클로가 가지고 있는 정보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수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생산계획과 재고를 관리하고 있다.
유니클로는 “All Better Change(ABC)”라는 프로그램을 1998년부터 시행하면서, 재고관리에 대한 JIT(Just-In-Time)의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ABC의 주된 내용은 계획에 의한 밀기 방식(Push)의 공급사슬 운영을 수요에 근거한 끌기 방식(Pull)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매장의 판매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본사에 전송되고 있으며, 본사는 각 매장에 필요한 제품을 적시에 공급해주고 있다. 제품에 대한 재고관리는 판매데이터와 매장 재고의 분석을 통해 주 단위로 이루어지며, 수요에 근거하여 재고는 수시로 보충된다. 아울러 주 단위의 판매 데이터 분석을 통해 프로모션을 계회가는데, 매 시즌이 끝날 무렵 재고관리자, 마케팅관리자, 그리고 구매담당자는 재고 소진을 위한 판촉활동을 함께 계획하고 있다.
4. 유니클로 SCM 도입효과 연구
의류 기업들 대부분은 급변하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장기간 실적 부진을 지속했으나 유니클로는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었다.
이는 의류가격 하락과 함께 백화점 비중 감소와 전문점 비중 확대를 통한 유통채널의 변화라는 구조적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지배력을 키워간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로써 Fast Retailing(SPA 브랜드 ‘유니클로’ 보유 기업)의 시가총액은 1990년대비 1,361% 증가했다. 좋은 품질의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자체적인 유통채널인 전문점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었다.
5. 유니클로의 SCM 개선방안 제시
부서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는 각각의 부서가 쌍방의 화살표를 바탕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니클로는 현재 ‘R&D - 구매부서 - 생산부서’로 이어지는 순차적인 흐름 대신 세 개의 부서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띠고 연결되는 병렬적 구성을 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유니클로는 Cross Functional Team을 구성할 수 있다. Cross Functional Team이란 전체 조직의 성과를 위해 각 팀의 구성원들을 모아서 부서별 이해관계보다는 기업의 목표를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팀이다. 이를 통해 기업 차원에서는 협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관점에서 기업이 처한 문제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Cross Functional Team은 생산관리에서 디자인, 마케팅, 생산, 회계 등 각 팀의 관계자들을 제품 디자인 단계부터 함께 논의하게 하는 Concurrent Engineering과도 연계되는 것으로, 부서간의 소통을 활성화하여 전반적인 제품 개발 과정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제품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다.
(5) 생산 및 재고관리
제품 생산량의 계획은 전년도 판매 자료와 시장예측자료, 판촉활동계획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제품별, 공장별 생산량을 확정한다. 이후 유니클로가 가지고 있는 정보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수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생산계획과 재고를 관리하고 있다.
유니클로는 “All Better Change(ABC)”라는 프로그램을 1998년부터 시행하면서, 재고관리에 대한 JIT(Just-In-Time)의 도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 ABC의 주된 내용은 계획에 의한 밀기 방식(Push)의 공급사슬 운영을 수요에 근거한 끌기 방식(Pull)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매장의 판매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본사에 전송되고 있으며, 본사는 각 매장에 필요한 제품을 적시에 공급해주고 있다. 제품에 대한 재고관리는 판매데이터와 매장 재고의 분석을 통해 주 단위로 이루어지며, 수요에 근거하여 재고는 수시로 보충된다. 아울러 주 단위의 판매 데이터 분석을 통해 프로모션을 계회가는데, 매 시즌이 끝날 무렵 재고관리자, 마케팅관리자, 그리고 구매담당자는 재고 소진을 위한 판촉활동을 함께 계획하고 있다.
4. 유니클로 SCM 도입효과 연구
의류 기업들 대부분은 급변하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장기간 실적 부진을 지속했으나 유니클로는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었다.
이는 의류가격 하락과 함께 백화점 비중 감소와 전문점 비중 확대를 통한 유통채널의 변화라는 구조적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지배력을 키워간 결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이로써 Fast Retailing(SPA 브랜드 ‘유니클로’ 보유 기업)의 시가총액은 1990년대비 1,361% 증가했다. 좋은 품질의 제품을 저렴한 가격에 자체적인 유통채널인 전문점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소비자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었다.
5. 유니클로의 SCM 개선방안 제시
부서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는 각각의 부서가 쌍방의 화살표를 바탕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니클로는 현재 ‘R&D - 구매부서 - 생산부서’로 이어지는 순차적인 흐름 대신 세 개의 부서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띠고 연결되는 병렬적 구성을 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유니클로는 Cross Functional Team을 구성할 수 있다. Cross Functional Team이란 전체 조직의 성과를 위해 각 팀의 구성원들을 모아서 부서별 이해관계보다는 기업의 목표를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팀이다. 이를 통해 기업 차원에서는 협력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관점에서 기업이 처한 문제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Cross Functional Team은 생산관리에서 디자인, 마케팅, 생산, 회계 등 각 팀의 관계자들을 제품 디자인 단계부터 함께 논의하게 하는 Concurrent Engineering과도 연계되는 것으로, 부서간의 소통을 활성화하여 전반적인 제품 개발 과정을 원활히 함과 동시에 제품 개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방안이 될 수 있다.
추천자료
전자무역 RFID(도입효과 및 시장전망,도입 시 문제 및 한계,기술 활용 개선방안 )
제3자 물류시장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논의
SCM사례 - 델(Dell)컴퓨터, 삼보컴퓨터 SCM전략, SCM 정의,등장배경,중요성,도입효과,주요기...
[백화점][명품판매][노드스트롬 백화점][마케팅]백화점의 의미, 백화점의 종류, 백화점의 경...
[ 자라 SCM 도입성공사례분석 레포트 ] ZARA 자라 SCM 도입사례와 활용사례분석및 타기업들의...
SCM 을 이용한 기업 분석(대형마트, 이마트)
공급사슬관리(SCM) 사례연구
SCM 정의 구축방법 도입효과 분석 및 SCM 기업 도입사례분석과 SCM 도입 성공방안 제시 및 나...
SCM 도입 성공 실패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