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기능 가족의 특성에 대하여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가족구성원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은 채, 오로지 다른 가족구성원을 비난하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가족구성원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상대방에게 용서를 구했더라면, 이러한 가족은 애초 역기능 가족이 아닌 기능적 가족으로 분류되었을 것이다. 가족구성원들이 자신의 잘못은 인정하지 않고, 상대방을 비난하면서 모든 책임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하기 때문에 결국에는 역기능 가족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족은 가족구성원간에 대화가 단절되고, 상호간에 친밀한 유대관계를 느끼지 못함에 따라 결국 가족해체를 경험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가족의 행복함을 유지·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상대방 탓을 할 것이 아니라 자신을 먼저 뒤돌아 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역기능 가족은 비인간적이고 가족의 체계 자체가 너무 폐쇄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가족구성원이 아닌 사람이 자신의 가족에 대해 언급하거나 가족의 문제를 지적할 때는, 불같이 화를 내면서 ‘너나 똑바로 해라’라는 식으로 상대방을 비난하게 되는 것이다.
2. 참고자료
가족치유 마음치유 (역기능가정에서 자라나 성인아이를 위한 치유 안내서) 팀 슬레지 저 | 노용찬 역 | 요단출판사 | 2011.10.10
-역기능 가족은 비인간적이고 가족의 체계 자체가 너무 폐쇄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가족구성원이 아닌 사람이 자신의 가족에 대해 언급하거나 가족의 문제를 지적할 때는, 불같이 화를 내면서 ‘너나 똑바로 해라’라는 식으로 상대방을 비난하게 되는 것이다.
2. 참고자료
가족치유 마음치유 (역기능가정에서 자라나 성인아이를 위한 치유 안내서) 팀 슬레지 저 | 노용찬 역 | 요단출판사 | 2011.1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