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연구 기말 2022년] 1. 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외적 통제방법 2. 연구문제를 평가 시 고려하게 되는 평가의 기준 3. 무엇에 대한 설명 4. 중앙값, 표준편차 5. 표준정규분포표 6. 용어 7. 모수적 통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가정 8. 가설검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9. 빈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연구 기말 2022년] 1. 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외적 통제방법 2. 연구문제를 평가 시 고려하게 되는 평가의 기준 3. 무엇에 대한 설명 4. 중앙값, 표준편차 5. 표준정규분포표 6. 용어 7. 모수적 통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가정 8. 가설검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 9. 빈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외생변수 통제방법 중, 외적 통제방법 6가지를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5점).

2. 관심 있는 연구문제를 선정한 후에는 수행할 만한 가치가 있는 연구인지 결정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평가하게 된다. 이때 고려하게 되는 평가의 기준 3가지를 쓰고 각각을 상세히 설명하시오(10점).

3. 다음을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4점, 순서에 맞춰 답안 작성)

4. 다음은 간호연구 수강생 9명의 기말고사 성적표이다. ⓐ 중앙값, ⓑ 표준편차는 얼마인가? (과정도 간략히 기술할 것,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4점, 순서에 맞춰 답안 작성)

5. 표준정규분포표를 활용하여 Z= 1.96의 확률(넓이)을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3점).

6.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2점)

7. 추론통계는 적용되는 가정에 따라 모수적 통계와 비모수적 통계로 나뉜다. 이때 모수적 통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가정을 만족해야 하는지 기술하시오(6점).

8. 가설검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2가지)는 무엇인지 설명하고,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기술하시오(4점).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2점)

10. 참고자료

본문내용

22). 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7. 추론통계는 적용되는 가정에 따라 모수적 통계와 비모수적 통계로 나뉜다. 이때 모수적 통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떤 가정을 만족해야 하는지 기술하시오(6점).
모수적 통계는 모집단에 대해 아래와 같은 가정을 할 수 있을 때 적용할 수 있는 통계분석이다.
첫째, 자료의 측정수준이 등간척도 이상이다.
둘째, 검정하고자 하는 변수가 모집단에 정규분포를 이룬다.
셋째, 검정하고자 하는 변수가 모집단에서 등분산이다. 이용숙 외(2017). 간호연구. 수문사.
8. 가설검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2가지)는 무엇인지 설명하고,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기술하시오(4점).
1) 가설검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2가지)는 무엇인지 설명
가설검정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2가지)에는 1종 오류와 2종 오류가 있다.
첫째, 1종 오류(α-오류)는 귀무가설이 맞는데도 불구하고 틀렸다고 결론을 내리는 오류로, 유의수준과 같은 말이다. 이 오류의 크기를 α라고 한다.
둘째, 2종 오류(β-오류)는 대립가설이 맞음에도 불구하고 영가설이 맞다고 결정하는 오류이며 오류의 크기를 β라고 한다. 이용숙 외(2017). 간호연구. 수문사.
2)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기술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를 동시에 줄이는 검정이 바람직한 검정 방법이지만, 표본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제1종 오류를 줄이면 제2종 오류가 커지게 된다. 이런 경우에 두 종류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표본의 크기 n을 크게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통계적 가설검정에서는 유의수준 α를 고정시키고, 제2종 오류를 범할 확률을 최소화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안승철(2014). 이공계생을 위한 확률과 통계. 한빛아카데미.
9. 다음은 빈칸에 알맞은 용어는? (2점)
( )은 논문에서 인용한 모든 문헌을 일정한 형식에 맞춰 작성한 것이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참고한 논문뿐만 아니라, 신문, 데이터베이스, 인터넷 자료 등 모두 포함해서 작성해야 하며, 디지털 콘텐츠에 부여되는 고유 식별번호인 DOI가 있는 논문은 각 서지사항 마지막에 기술하도록 한다.
<정답> 참고문헌
참고문헌 목록은 논문 집필에 참고·인용한 문헌을 일정한 양식에 맞추어 총괄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자신이 찾아서 활용한 근거 문헌의 출처에 대한 기록방법을 이해하고 명백하게 밝히는 것은 중요하다. 즉 본문에서 인용한 문헌은 참고문헌 목록에도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문헌의 본문에서,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서 참고문헌 목록을 작성하는 기준은 APA, NLM, Vencouver, Chicago style 등 다양하다. 박영숙,김정희(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0. 참고자료
정성희,이수진(2022). 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박영숙,김정희(2019). 고급간호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안승철(2014). 이공계생을 위한 확률과 통계. 한빛아카데미.
이용숙 외(2017). 간호연구. 수문사.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4.27
  • 저작시기202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79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