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금계촌, ▲안동의 내성, ▲보은의 속리산, ▲운봉 두류산(지리산), ▲예천의 금다동, ▲공주의 유구천과 마곡천 사이, ▲영월의 정동 상류, ▲무주의 덕유산, ▲부안 변산, ▲성주의 만수동입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역사에 있어서 특별합니다. 왜냐하면 그 이전에는 어느 누구도 우리나라 각 지방을 실제로 돌아다닌 후에, 그 경험을 이렇게 체계적으로 기록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택리지는 이중환이 발로 쓴 우리나라 최고의 지리서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책에는 단순히 우리의 살 곳에 대한 기록만이 아니라 그 당시 조선 사회의 불합리한 제도와 관습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책을 읽음으로써 조선 시대 각 지방의 사람들이 실제 어떻게 살고 있었는지 생생하게 알게 될 것입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역사에 있어서 특별합니다. 왜냐하면 그 이전에는 어느 누구도 우리나라 각 지방을 실제로 돌아다닌 후에, 그 경험을 이렇게 체계적으로 기록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택리지는 이중환이 발로 쓴 우리나라 최고의 지리서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책에는 단순히 우리의 살 곳에 대한 기록만이 아니라 그 당시 조선 사회의 불합리한 제도와 관습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책을 읽음으로써 조선 시대 각 지방의 사람들이 실제 어떻게 살고 있었는지 생생하게 알게 될 것입니다.
소개글